검색결과 필터

[전체] “호화선”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9)

  • 박상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애 및 활동사항] 1936년 동양극장의 전속극단인 ()에 입단하였고 이어 중앙무대(中央舞臺)‧현대극장‧자유극장‧청탑(靑塔)‧극예술협회의 창립단원이었으며, 신협(新協)과 국립극장의 단원 등으로 활약하였다. 그의 주요작품으로는 <촌...
  • 차홍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최독견(崔獨鵑)작 <승방비곡 僧房悲曲>으로부터 시작하여 수많은 작품에서 조역과 주역으로 활약하였고, 역시 동양극장 전속극단인 ()에서는 단연 주연배우로 인기를 독차지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배역은 <춘향전>의 춘향역과 1936년 여름에...
  • 원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장 전속단체인 청춘좌(靑春座)‧()의 무대미술을 담당하였다. 동양극장 이후에도 아랑(阿娘)‧성군(星群) 등 극단의 작품을 주로 맡아서 하였다. 이러한 활약은 광복 직후까지 지속되어 극단 백화(白花) 등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1950년 6‧25동란이...
  • 어머니의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37년 이서구(李瑞求)가 지은 희곡. [내용] 1937년 이서구(李瑞求)가 지은 희곡. 3막 5장으로 동양극장의 전속극단인 ()이 1937년 12월에 공연하여 크게 인기를 모은 작품이다. 같은 시기에 공연되어 역시 크게 성...
  • 최독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中外日報) 학예부장을 역임하였으며, 광복 후 평화신문 부사장, 서울신문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편, 연극에도 관여하여 동양극장 지배인(1932), 연극협회 이사(1940)를 역임하였으며, 박진(朴珍)‧이서구(李瑞求) 등과 신극단 청춘좌(靑春座)‧(...

고서·고문서(3)

  • 戊寅에 炳璇이 仙塘에게 보낸 간찰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候書 玩壺潭水石之勝飽吳庄花樹之樂歸臥林 廬有若覺也仍承翰命愈勝向日 情話之悅也深感罔喩謹詢書後寒緊 靖裡棣體湛重觀玩滋味渾忘世慮庇節勻 安更溯區區之至族從劣狀依遣餘何仰煩第所 言事揆諸事理情地宜有其心旣有其心更 求伐薪固其道也如璇陋拙安能爲斧也 然仰念深眷方隱探其適處然姑不得如意 良悶良悶然...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 白波蹴立て颯爽と進みゆくは釜山と下關を連絡する、興安丸の英姿である。金剛丸の姉妹船で共に玄海の花形として活躍している. 釜山·關釜連絡船、興安丸. (진해만 요새사령부 허가필). 부산, 부산과 시모노세키 사이의 연락선, 곤고마루. 하얀 파도 일으키며 씩씩하게 나아가는...
    자료명부산 관부연락선 | 발행처およし茶屋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였다. 부산, 관부연락선, 흥안호 일본어 한현석 신동규 신동규 內鮮を結ぶ. 釜山, 關釜連絡船, 碧海を截つて颯爽と進みゆくは釜山と下關を絡ぐ, 興安丸の英姿である. 金剛丸の姉妹船で共に玄海の花形として活躍してゐる.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 일본과 조선...
    자료명부산, 관부연락선 | 발행처およし茶屋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5)

  • / [예술·체육/연극]

    동양극장의 전속극단인 사극 위주의 동극좌와 희극 전문의 희극좌가 1936년 9월 병합되면서 조직된 극단. 같은 극장의 전속극단 청춘좌와 함께 쌍벽을 이루어 많은 공연활동을 폈으나, 진용이 청춘좌에 비해 약하며 인기도 그에 못미쳤다. 은 1941년 11월 명칭을

  • 차홍녀 / 車紅女 [예술·체육/연극]

    로부터 시작하여 수많은 작품에서 조역과 주역으로 활약하였고, 역시 동양극장 전속극단인 ()에서는 단연 주연배우로 인기를 독차지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배역은 〈춘향전〉의 춘향역과 1936년 여름에 청춘좌가 공연한 임선규(林仙圭) 작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의

  • 부민관 / 府民館 [예술·체육/영화]

    비롯하여 상업극단들인 중앙무대, 화랑원, 인생극장, 예원좌 등 동양극장 전속이 아닌 극단들이었다. 1937년부터 동양극장 전속극단인 청춘좌와 도 부민관을 공연장으로 이용했다.

  • 신파극단 / 新派劇團 [예술·체육/연극]

    무대, , 조선연국협회, 조선연극사 등이 있었다. 신파극의 전형적인 연극 양식은 1910년부터 1930년에 이르는 시기에 공연된 일련의 연극을 지칭한다.

  • 배구자 / 裵龜子 [예술·체육/무용]

    레뷰무대에 중심을 두었다.1935년에 홍순언과 함께 회전무대와 호리존트를 갖춘 당시로는 최신식의 동양극장을 지었고, 전속극단 청춘좌, 희극좌, 동극좌, 을 운영하며 일제강점기 후반의 대중극을 일으켰다. 레파토리는 노래, 소규모 관현악, 레뷰춤, 가극, 만극 등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