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호포” 에 대한 검색결과 5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2)

사전(1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필, 중호 1필, 소호 반필이었다. 1517년(중종 12) 함경도의 무격(巫覡:무당)들에게 를 징수하여 군자(軍資)로 사용하였고, 1601년(선조 34)에는 조사지대(詔使支待:칙사를 위한 접대)를 위하여 외방에 빈잔호(貧殘戶)를 제외하고 를 징수하기도 하였다....
  • TD_E4_I_0002 정책-제도 里布, 屋粟, 職事, 夫家之稅, 夫稅, 家稅, 平吳, 戶調之式, 丁男, 絹, 綿, 女, 次丁男, 半輸 晋 武帝 周禮 I_01_10_02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10장 2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0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2_D_0091 무기 遇敵卽攻, 胡壘 李奎報詩魔文 D_16_03_15 대동운부군옥 16권 3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3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형명(形名) 기치(旗幟), 대열(大閱), 의장(儀仗), 작문(作門), 장호적(掌號笛), 행행(幸行), 수(手) 왕실왕실의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 이왕무 [정의]...
    상위어형명(形名) | 관련어기치(旗幟), 대열(大閱), 의장(儀仗), 작문(作門), 장호적(掌號笛), 행행(幸行), 호포수(號砲手)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역(軍役), 군포(軍布) 호전(戶錢), 동포(洞布) 경제재정/역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 정연식 [정의] 양인 신분의 사람에게 양역으로 부과하던 포를 가호에 부과하려던
    상위어군역(軍役), 군포(軍布) | 관련어호전(戶錢), 동포(洞布)

고서·고문서(258)

  • 포리捉(착)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포리捉(착)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집단월북, 사건, 피랍, 추격 ...
    대표표제어포리號捕捉(호포착)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집단월북, 사건, 피랍, 추격
  • 조세징수의 방식에 관한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1907년(광무 11) 3월 20일 탁지부령 제4호인 세액의 산출에 이위(厘位) 이하의 단수(端數)절사의 건, 1894년(개국 504) 9월 7일 법령 제15호인 지세와 전에 관한 건, 1909년(융희 3) 2월 26일 칙령 제20호인 지세와 호세의 납...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식산계원의 전용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昭和 十八年 三月十日 定山金融組合理事 各殖産契主事 殿 殖産契員의 全容에 關한 件 首題의 件에 關하야는 慮次貴意를 得한바오나 特히 今年 부터는 肥料의 一元的配給이 確立되어 規定上非殖産契員에 게는 肥料를 配付치 못하게 되얏사오니 貴管內居住農家도 全戶殖産契員...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39년 오포() 방매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9년에 오포가 작성한 논 매매문서이다. 오포는 전라도 나주군 북삼가면에 있는 논을 24냥 5전에 팔았다. 다음 해의 세금은 새 논 주인이 내겠다는 단서가 붙어 있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박물관
  • 欲賦役之大均,必講行ㆍ口錢之法,民生乃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60 牧民心書 卷六 ITKC_MP_0597A_1260_030_0110 欲賦役之大均,必講行ㆍ口錢之法,民生乃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牧民心書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17)

  • 皇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에셔 황궁 슈호규측을 뎡야 실시다 궁셩안에 대포걸어노코 무삼변이잇에  노올터인데 비상변이 잇에 다셧번을노코 화가잇에 셰번을노키로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請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텰산군거련참은연로에 쳐야 갑진년 봄이후로 군병왕에 셩이젼졉지못고 가호가착락이되야 부셰 납슈업슴으로 그츈등 젼은 죠칙을봉승야 임의감급얏거니와 그동리호춍 일십삼호의젼갑진츄등죠와을츈츄량등죠를 이것 민간에슈봉치도못고 상납즁에도 감하치못야 한...
    게재일1906년 3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에셔 각관찰부로 훈령기를 관찰와 슈령이 공납 건체 건으로 리와 포리를 압상려즉 관찰슈령이 두호야 방보고로 쳐분이 나리시기를  이런폐단이 잇거든 상 쥬징판라 신고로 미리 훈칙니 챡념 거라 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特減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황뎨폐하 어진과 황뎐하 예진을 셔경으로 모실에 연로각군 인민들이 지야 응공지라 쳐분이 나리시기를 부비가 업지못 엿슬터인즉 그 곤로것을 각지 아니슈 업시니 금년츄등는 특별이 견감라 셧더라
    게재일1903년 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請減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교동군에셔는 부로 보고기를 본군 원호가 일쳔일 구십호인데 류리호가 일오십이호이니 탁지부로 조회야 를 견감케 라고 쟝연군에셔는 보고기를 륙월쟝마에 팔십여호가 무너졋시니 탁지부로 조회야 를 견감케 여 달나고 엿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

  • 쇼와20년칙령제542츠담선언 수락에 수반하여 발하는 명령에 관한 건에 기반한 교직원의 제거 취직금지 및 복직 등의 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쇼와20년칙령제542츠담선언 수락에 수반하여 발하는 명령에 관한 건에 기반한 교직원의 제거 취직금지 및 복직 등의 건 쇼와20년칙령제542츠담선언 수락에 수반하여 발하는 명령에 관한 건에 기반한 교직원의 제거 취직금지 및 복직 등의 건
    범주1국제협력 | 형식문서
  • 강■선;康■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남형제산면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도몽이 감문을 받고 일본 조정의 행사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실로 그 뜻을 받자왔습니다. 이에 따라 도몽 등은 폐읍의 남해부 토에서 출발하여 서쪽 대마도 죽실(竹室, 다케무로)진으로 향했습니다. 그렇지만 바다에서 바람을 만나 금지하는 경계에 도착했습니다. 약속을 깨뜨린 죄, 더욱이 피할 곳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續日本...
    대표표제어사도몽이 감문을 받고 일본 조정의 행사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7년(丁巳/신라 혜공왕 13/발해 문왕 大興 41/唐 代宗 大曆 12/日本 光仁天皇 寶龜 8)
  • 사도몽이 감문을 받고 일본 조정의 행사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실로 그 뜻을 받자왔습니다. 이에 따라 도몽 등은 폐읍의 남해부 토에서 출발하여 서쪽 대마도 다케무로(竹室)진으로 향했습니다. 그렇지만 바다에서 바람을 만나 금지하는 경계에 도착했습니다. 약속을 깨뜨린 죄, 더욱이 피할 곳이 없습니다”고 하였다. (『續日本紀』 34...
    대표표제어사도몽이 감문을 받고 일본 조정의 행사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7년(丁巳/ 신라 혜공왕13/ 발해 문왕 大興 41/ 당 代宗 大曆 12/ 일본 光仁 寶龜8)
  • 고려가 후백제에 질자 진호의 시신을 보내고견훤이 말을 돌려줄 것을 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절영도의 명마가 이르면 백제가 망한다고 하였다는 것을 듣고, 이에 그것을 보낸 것을 후회하고 사람을 시켜 그 말을 돌려줄 것을 청하였다. 왕이 웃으며 허락하였다. (󰡔高麗史節要󰡕 1 太祖神聖大王) 【원문】 夏四月 眞死 萱謂高麗人故殺 怒擧兵 進軍於熊津 太祖命諸城堅...
    대표표제어고려가 후백제에 질자 진호의 시신을 보내고견훤이 말을 돌려줄 것을 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주제어사전(8)

  • / [경제·산업/경제]

    저포를 징수하였다. 조선은 태조 때 요역 대신 양인호에게서 베를 징수, 1601년(선조 34)에는 외방에 빈잔호를 제외하고 를 징수하기도 하였다.

  • 계 / [사회/촌락]

    전통시대 호(戶)를 단위로 하여 징수하던 포(布)를 바치기 위해 조직한 일종의 납세단체. 계는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 각각 존재하였다. 고려 중순 1296년(충렬왕 22)에 잡공(雜貢)을 없애기 위해 처음 제를 실시하였는데, 정작 잡공은 없어지지 않고, 까지

  • 용진 / 龍津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문천지역의 옛 지명. 고려시대에 용진(龍津)이라 이름을 바꾸고 진(鎭)을 두었다. 1006년(목종 9)에 성을 쌓았는데 주위가 3,004척, 높이가 5척이고 삼면이 바다에 둘려 있으며 성내에 우물이 하나 있었다. 축성 후인 공민왕 때 문주(文州, 지금의 文川)

  • 동포 / 洞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말기 반상에게 공동으로 부관된 군역세. 동포제는 조선 후기 균역법이 법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과도기적 형태로서 집단수취체제라는 것을 제외한다면 법과 거의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일률적으로 시행한 것이 아니라 지방에 따라 편

  • 공세곶창 / 貢稅串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조창. 조선 초기 공세곶·범근내·오음안포·추·이포·경양포·연천·패암 등 선박의 정박이 편리한 곳에서 충청도지방의 세곡을 각기 분납, 수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