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호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3)
사전(181)
- 호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仁寧府尹) 황사후(黃士厚)의 건의를 받아들여 먼저 호패사목(號牌事目)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실시하였다. 호패제는 그 뒤 지속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 그 치폐과정(置廢過程)을 보면 1416년 6월 폐지, 1459년(세조 5) 2월 실시, 1...연계항목호패(號牌)
- 호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에 시작되어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착용하게 한 신분을 증명하는 패.정의고려 후기에 시작되어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착용하게 한 신분을 증명하는 패.[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opae | MR표기hop’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호패(號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호패 호패 號牌 호적(戶籍), 장정(壯丁), 뿔패[角牌], 황양목패(黃楊木牌), 소목방패(小木方牌), 대목방패(大木方牌) 정치사법/법제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태조~고종 정긍식 [정의]관련어호적(戶籍), 장정(壯丁), 뿔패[角牌], 황양목패(黃楊木牌), 소목방패(小木方牌), 대목방패(大木方牌)
- 호패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신분을 증명하고 조세를 수취하기 위해 16세 이상의 남자들에게 호패를 착용하도록 한 법령.정의조선시대 신분을 증명하고 조세를 수취하기 위해 16세 이상의 남자들에게 호패를 착용하도록 한 법령.[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opaebeop | MR표기hop’ae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胡拔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478 胡拔都 인물 拔都僅遁, 都指揮使 辛禑九年 女眞, 端州 我太祖 麗史 D_15_04_28 대동운부군옥 15권 4장 2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4장 2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46)
- 호패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행정 및 내무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高麗逐胡拔都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國兵鑑 東國兵鑑 卷下 高麗逐胡拔都 문종(文宗, 朝鮮) 命編 37 高麗辛禑八年女眞人胡拔都自遼東率兵一千潛渡鴨江突至義州圍上萬戶張侶家侶與子思吉思冲力拒之侶被槍二子俱中矢胡拔都奪侶財産及馬以去副萬戶崔元沚追擊斬首二十餘級胡拔都又入東北面虜掠人民而去禑以我太祖世管其道軍務威信素著遣以撫慰九...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호적 호패에 관련한 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조선의 호적 및 호패에 관하여 조사한 자료들을 엮은 것이다. 호적대장과 호구단자 등 실제 장부와 문서는 물론, 각종 개인 저술과 일성록, 역대 왕조실록,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의 관련 법령, 나아가 조선의 호적제도에 대한 연구성...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호패(실록발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행정 및 내무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용례숙어)호패의 종류 제사상속 등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구술자료(1)
- 빨치산 치하의 힘들었던 날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너마지기, 신촌도 두마지기, 저 밀어태도 두마지기. 전시 논이라. 그 래갖고 인자 호패를 모으노면 잡아 죽일란께. 그만 아즉도 모르고 점심도 모르고 가서 얕으며는, 그때는 긁어다가 속에도 이어고 우에 퇴, 퇴비를 인자 썩어로가고 우에다 인제 이렇게 막 엉성-허 니 재갖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신문·잡지(14)
- 号牌無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각쳐에 협잡등이 호회샤를 셜시고 십삼도에 호법을 일졀시쟈데 그본의 호를상고야 젹경을예방케다나 협잡에불과고 젹경을예방쟈면 각기군에셔 작통야 그통에셔 거난 빙표만 시면 젹경은연 업슬터이니 호건은 아모리운동야도 실시치못리라...게재일1906년 10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号牌會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드른즉 모모인들이 호회샤를 셜시하고 명에 호를 한식 츌급하되 한셩부 확인을 맛쳐 시하기로 하고 십삼도에 지샤를 셜시 터인데 호 개에 엽젼 한돈식 슈봉하되 만약 호를 차지아니한 쟈 도젹의 률노 쳐치 터이라더라게재일1901년 7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書請戶牌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경무관 김홍제씨가 의졍부로 장셔 엿는데 그 를 드른즉 젼국 각호문를 졍부에셔 마련야쥬고 셰납을 뎡야 슈쇄케쟈고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中國兵變 面面觀(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040 1924 11 4 6 1 民世 안재홍 中國兵變 面面觀(一) 신문 조선일보 1면5단석간 논문 국제정세 직접자료 선집외 馮玉祥, 吳佩孚, 段棋瑞 A19241104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中國兵變 面面觀(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041 1924 11 5 6 2 民世 안재홍 中國兵變 面面觀(二) 신문 조선일보 1면6단 논문 국제정세 직접자료 선집외 奉直戰, 吳佩孚, 張作霖, 孫傳芳 A19241105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1)
- 발해 사신 왕문구 등에게 연회에 참석할 것을 요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月)戊午 天皇御武德殿 覽馬射 六軍擁節 百寮侍座 有勅 令文矩等陪宴 宣詔曰 天皇我詔旨良萬止宣布勅命乎 使人等聞給止宣久 五月五日爾藥玉乎佩天飮酒人波 命長久福在止奈毛聞食須 故是以藥玉賜比 御酒賜波久止宣 日暮乘輿還宮 (『續日本後紀』 19 仁明紀)대표표제어발해 사신 왕문구 등에게 연회에 참석할 것을 요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8년(戊辰/신라 문성왕 10/발해 이진 19 咸和 19/唐 大中 2/日本 承和 15, 嘉祥 1)
주제어사전(7)
-
호패 / 號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발급한 패. 오늘날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것으로 호구 파악, 유민 방지, 역(役)의 조달, 신분 질서의 확립, 향촌의 안정 유지 등을 통한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호패제가 처음 실시된 1413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되기 시
-
누정 / 漏丁 [경제·산업/경제]
에 호패법이 다시 실시되고, 1461년에는 2정1보 원칙에 입각한 보법에 의해 새 군적이 만들어지면서 많은 누정이 색출되었다.
-
민적법 / 民籍法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에 제정, 공포된 호적에 관한 법률. 1909년 3월 법률 제8호로 공포되었다. 조선시대에 식년호적제도와 이를 보완하는 인보정장법, 호패법 등이 있었다. 시행 초기에는 호적부의 관장을 경찰관서에서 맡는 등 행정 단속법의 성질을 지녔으나 일제 강점 후인 191
-
사영김병기일가옷 / 思潁金炳冀一家─ [생활/의생활]
원삼이 1점 있다. 이 밖에 호패와 술이 있다.
-
오가작통 / 五家作統 [정치·법제/법제·행정]
다 관령을 둔다.”는 것이다. 오가작통법은 향약의 실시 또는 호패법의 실시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실시되고 있었다. 그 기능은 강도·절도방지, 풍속의 교화와 유민방지, 호적작성에 있어서의 탈루자 방지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