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호저집”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8)

  • ()[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232 문헌 ()[1] 1748년 통신사행 때 조일 문사 간에 주고받은 시 등을 모아 엮은 필담창화집. 1책. 묵본(墨本). 1748년 정사 홍계희(洪啓禧) ∙ 부사 남태기(南泰耆) ∙ 종사관 조명채(曺命...
    유형분류문헌
  • ()[2]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233 문헌 ()[2] 1764년 통신사행 때 조일 문사 간에 주고받은 시 등을 정리하여 엮은 필담창화집. 2권 1책. 필사본.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
    유형분류문헌
  • 고무로 분요(小室汶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박경행(朴敬行), 서기 이봉환(李鳳煥) ‧ 유후(柳逅) ‧ 이명계(李明啓) 등 조선문사와 교유하였고, 이때 주고받은 시 등이 『임가한관증답(林家韓館贈答)』‧『()』 등에 수록되어 있다.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
    유형분류인물
  • 스가 도키노리(菅時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이때 주고받은 시 등을 정리하여 『()』으로 엮었다. 당시 시를 주고받은 기록이 남옥의 『일관기(日觀記)』에도 남아 있다. 저서로는 『춘추원도병시(春秋園圖幷詩)』‧『소구원집(小丘園集)』 등이 있다. 南玉,『日觀記』; 菅時憲,『』; 高橋昌彦,「朝...
    유형분류인물
  • 다자이 슌다이(太宰春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만나 교유하였고, 이때 주고받은 필담과 시가 『한관창화고(韓館倡和稿)』에 수록되어 있다. 1748년 통신사행 때에는 필담창화집 『()』에 대해 지어(識語, 시키고)를 지어주었다. 주요 저서로는 『논어고훈(論語古訓)』‧『논어고훈외전(論語古訓外傳)』‧『공자가어증...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

  • 官職에 空窠가 없으니 우선 四書를 印給해준다는 有旨書狀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義冊子邀致附近邑有文識儒生相 與再三較正繕寫本十八編目錄一編上 选儒生姓名後錄馳啓矣前主簿崔興遠 向有除職之命而見今當窠以 景慕宮上事出六賞典諸人 未及區處之故姑未差擬此則更欲提飭 銓曹而虗付司果之數至於十餘人之多 從近復職未易今番效勞又甚不些令 本道印給四書具諺解各一件其餘儒 生各食物米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

    저자 박장암(1790-?). 필사본. 표제는 <>으로 되어 있다. <>은 박제가가 중국 지식인과 교유한 구체적 자료를 모아 엮은 저작이다. 호저는 국제간에 친구를 사귈때 주고받은 선물이나 교제를 뜻하는 말이다. 각 책은 햇수별로 나누어 편집하여 177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