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호은집”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규장각도서에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 화가 홍수주의 문집. 아들 우철이 편집하고, 종질 우부가 간행하였다. 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유기(有璣)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해인사 소장본에는 1785년(정조 9)에 쓴 채백규(蔡伯規)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김몽화(金夢華)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제김응정중거문(祭金應鼎重擧文) 등 ...
  • 의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의 제자 유기(有璣) 등이 행장을 짓고 비는 현풍 유가사(瑜伽寺)에 세웠다. 『()』 의눌의비 1666(현종 7)∼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이칭별칭 낙암(洛巖), 능허(凌虛)
  • 신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저술활동] 저서로는『』이 있다.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명제유고(明齊遺稿)』
    이칭별칭 양지(?之)| 호은(湖隱)
  • 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총섭(摠攝)이 되었으며, 나이 78세로 해인사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 4권 1책, 『보권문(普勸文)』 1책, 「해인사사적비문(海印寺史蹟碑文)」이 있다. 『불조원류(佛祖源流)』 『한국...
    이칭별칭 해봉(海峯), 호은(好隱)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8세기) 14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杏堂集 杏亭遺稿 杏村遺稿 杏村集 虛齋詩集 虛齋集 虛靜集 虛舟窩遺稿

고서·고문서(5)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卷一 薦悼疏 十一首代人作 亡師를 追薦하는 齋를 設하는 내용의 疏 11首이다. 亡師는 생전에 柔婉하게 處하고 謙遜으로 가르쳤는데, 60세에 病死하자 師恩에 보답하고자 낮에는 經을 읽고 밤에는 水陸齋를 嚴設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三寶가 亡師의 魂을 가엽게 여겨서 塵塵世...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序 1721. 詩를 짓는 방법에는 ‘二道’가 있는데 ‘天機’와 ‘人工’이 그것으로 두 가지를 잘 조섭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天機를 위주로 하여 시를 짓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홍수주는 이러한 방법으로 시를 지어 뛰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 國朝이후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은 서문이다. 김소와는 풍기 魯谷里에 정자를 짓고 棲息하면서 시회를 열어 창수하였다. 사후 20여년이 지나 후손 金洙榮이 시첩을 보이면서 화운과 서문을 청 하기에 그 효성에 감동하여 지어준 것이다. 跋 族父跋 19 宋程欽(1839)∼1883)의 동생 湖隱 宋...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추안급국안 : 역적 이괄(李适) 범죄사건 문서(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其 銀爲乎矣欲令權聄李佑一處出給爲白去乙矣身卽還 家則孽叔來在金光熽家招矣身語之曰聞李佑文晦等 謀逆而吾二人名在其文書中將不免赤族之禍須速共 爲告變可也矣身曰此人浮誕難以憑據告變須得其文 書及取其所証告變可也我當往宿其家更爲探 問曉頭共爲上變相約而去矣韓訢其夜獨爲上變矣身 段不及爲白齊銀三千兩...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의 승려 유기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해인사 소장본에는 1785년(정조 9)에 쓴 채백규 서문, 권말에는 김몽화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제김응정중거문 등 11수, 중간기신론소기·무하선사시고서·도리사석종서·반룡사법당기 등 1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 홍수주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아들 우철이 편집, 종질 우부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1721년(경종 1)에 쓴 최석항의 서문, 권말에 1722년에 쓴 우부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294수, 권4는 소 8편, 불윤비답 4편, 교서

  • 유기 / 有璣 [종교·철학/불교]

    들을 지도하였다. 1772년(영조 48)에 표충사 총섭, 78세로 해인사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4권 1책,《보권문》1책,《해인사사적비문》이 있다.

  • 홍수주 / 洪受疇 [종교·철학/유학]

    매도」(1704)와 「묵포도도」, 간송미술관 소장의 「포도도」등이 전한다. 문집으로『』을 남겼다.

  • 도리사세존사리탑금동사리기 / 桃李寺世尊舍利塔金銅舍利器 [예술·체육/공예]

    다가 현재는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석종형(石鐘形) 부도(浮屠)의 모습을 한 세존사리탑은 1743년 윤4월에 건립된 것으로, 『()』의 「도리사 석종기(桃李寺石鐘記)」에 의하면 원래 석적사(石積寺) 터에 있던 옛 탑에서 발견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