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호위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57)
- 호위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다. 이와 같은 호위청의 편제는 현종 때 호위3청으로 개편되었다. 대장은 대개 시‧원임대신 및 국구(國舅) 중에서 겸하고, 실제 군사 지휘권자로 별장 3명을 두었다. 각 청에는 군관 350명씩을 편제하여 이른바 최고 관료층의 군사기반화 형태를 갖추었다....
- 호위청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623년 인조반정 직후 궁중 호위를 위해 반정 참여 군사들을 주축으로 조직된 군영(軍營).정의1623년 인조반정 직후 궁중 호위를 위해 반정 참여 군사들을 주축으로 조직된 군영(軍營).[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owicheong | MR표기Howi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호위청(扈衛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호위청 호위청 扈衛廳 용호영(龍虎營)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오종록 1623년(인조 1)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후기에 왕의 호위를 구실로 설치된...관련어용호영(龍虎營)
- 별선군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신체가 건강하면서 힘이 센 자로 선발되어 특별히 대전(大殿)을 호위(扈衛)하는 군관. [내용] 호위청(扈衛廳)에 있는 군관 400인은 서울에 거주하며 궁술에 능한 자로 각 영장(領將)이 책임을 지고 선발하여 충당한다. 유...
- 무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군영(軍營). [내용] 1881년(고종 18) 11월 종래의 5군영(五軍營)을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용호영(龍虎營)‧호위청(扈衛廳)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이칭별칭무위소(武衛所)
고서·고문서(38)
- 궁복(弓福)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273 B030273 궁복 弓福 인물 東史綱目第五上 戊申三年 夏四月 _ ○以張保皐爲淸海鎭大使⁄保皐小字弓福遣使作弓巴入唐仕爲徐州武寧軍小將騎而用槍無能敵者時⁄中國人常從海路掠我邊民保皐還國謁王曰遍中國以我人爲奴婢願得⁄鎭淸海使不得掠人西去淸海鎭今康津之莞島王與 ...출처전거東史綱目第五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993 B07099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20年 11月 7日_013 ○有政。 吏批, 判書沈煥之進, 參判未差, 參議韓用龜, 行都承旨黃昇源進。 以徐龍輔爲吏曹參判, 李魯春爲副修撰, 權漢緯爲吏曹正郞, 金載七爲南部令, 金勉柱爲黃海監司, 洪義浩爲靑松府使, 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궁파(弓巴)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355 B030355 궁파 弓巴 인물 東史綱目第五上 戊申三年 夏四月 _ ○以張保皐爲淸海鎭大使⁄保皐小字弓福遣使作弓巴入唐仕爲徐州武寧軍小將騎而用槍無能敵者時⁄中國人常從海路掠我邊民保皐還國謁王曰遍中國以我人爲奴婢願得⁄鎭淸海使不得掠人西去淸海鎭今康津之莞島王與卒萬人使鎭淸海淸海爲海路...출처전거東史綱目第五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曹參議, 朴萊壽爲永陵令, 韓在益爲禁府都事, 申在植爲京畿監司, 徐有民爲安州牧使, 李玄好爲靑松府使, 洪淳謨爲槐山郡守。 濟州牧使單朴長復, 東萊府使李鐸遠今加通政加資事承傳。 安山郡守金原淳, 振威縣令李儒勝, 盈德縣令兪鼎柱, 健元陵令申錫履, 以上仍任事承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中衛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1070_010_0110_2015_024_XML 024 中衛司。扈衛大使公一人,別將中大夫二人,驍騎常侍下大夫四人,驍騎郞上士四人ㆍ中士六人,扈衛軍官三百人,其敎鍊軍官四人。○書吏二人,皁隷二十人。 中衛司者,扈衛廳ㆍ別軍職之合成者也。大使一人...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8)
-
호위청 / 扈衛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궁중을 호위하기 위해 설치된 군영. 1623년 인조반정에 공이 있었던 김류·이귀 등의 훈신들이 숙위가 소홀하다고 하여, 반정 직후인 9월에 설치해 10월에 군영의 체제를 갖추었다. 설치이유는 왕권호위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반정공신들이 모집해 거사에 이용했던
-
내병조 / 內兵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궁궐내에 설치하였던 병조의 지부. 궁궐내의 시위·의장 등 군사사무를 보기 위한 병조 관리들의 출장소였다. 경복궁에는 근정문 밖에, 창덕궁에는 호위청 서쪽에, 경희궁에는 건명문(建明門) 밖 동편에 각각 설치하였다
-
금군삼청 / 禁軍三廳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겸사복·우림위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1623년 인조반정을 주도한 공신세력에 의해 호위청이 설치되어 본래의 금군인 내삼청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금군삼청이 1755년(영조 31)에는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었으나, 그 조직이나 기능에는 별
-
무위영 / 武衛營 [역사/근대사]
1881년 왕궁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영. 1881년 11월 종래의 5군영을 무위영과 장어영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 용호영, 호위청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였다. 무위영은 1874년 4월에 설치되었던 무위소의 연장으로, 왕궁을 지키는 친군 내지
-
별장 / 別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사제도상의 관직. 훈련도감별장 2인, 어영청별장 1인, 호위청별장 3인은 정3품이고, 용호영 금군별장 1인은 종2품, 수어청별장은 2인으로 여주목사와 이천부사가 겸임하고 관리영별장(管理營別將) 2인을 두었다. 그리고 각 지방 산성과 나루터 등의 수비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