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호두” 에 대한 검색결과 9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5)

사전(2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나무의 열매. [내용] 열매의 핵(核) 속의 인(仁)을 식용으로 삼는다. 는 본래 동북아시아에 있었는데 이것은 가래나무 열매로서 추자(楸子)라 한다. ‘楸’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이다. 그러다가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장...
    이칭별칭추자(楸子)|당추자(唐楸子)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174 동식물 나무의 열매. 호도(胡桃), 추자(楸子), 당추자(唐楸子), 핵도인(核桃仁) 등으로 부른다. 는 본래 동북아시아에 있었는데 이것을 가래나무 열매로서 추자(楸子)라 했다. 그러다가 한(漢)나라 무제(武帝...
    유형분류동식물
  • 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번식도 실시되고 있는데 이것은 유전적으로 우량한 개체를 선발해서 형질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산림경제≫에서는 “를 뿌릴 때에는 기와조각을 땅속에 묻고 그 위에 를 얹고 흙을 덮은 다음 물을 충분히 준다. 가을에 이렇게 파종하여 놓으면 겨울 동안 껍...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를 간 것에 무리(쌀을 갈아 가라앉힌 앙금)를 넣고 끓인 죽. [내용] 가 양질의 지방이 많은 견과류이므로 열량섭취에 효율성이 큰 음식이며,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이므로 회복기의 환자나 노인의 보양음식으로 적합하다. 만드는 법은 ...
  • 비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머리가 호두 모양으로 생긴 비녀.
    정의머리가 호두 모양으로 생긴 비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odu binyeo | MR표기hodu piny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569)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대외면( 大外面) 1825년 대외면( 大外面) 第二十堤下里 2 第二統統首星 第一戶 烽燧軍星年肆拾陸庚子本海州父起碩祖泰辰曾祖溫文外祖姜岳壽本晋州妻李 召史年肆拾陸庚子本慶州父彦木祖富業曾祖世右外祖李莫乃本永川女召史年拾捌戊辰女 召史年拾伍辛未等壬午...
    연도_면이름1825년_대외면( 大外面) | 면이름대외면( 大外面) | 마을이름第二十堤下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청양면(靑良面) 1864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二新村里 1 第一統統首權 第一戶 幼學權年陸拾乙丑本海州父嘉善大夫得宗祖嘉善大夫元栽曾祖學 生萬碩外祖學生宋廷佑本恩津妻張氏年陸拾參壬戌本仁同父學生昌栢祖嘉 善大夫漢得曾祖嘉善大夫億尙外祖學生姜世森本...
    연도_면이름1864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二新村里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1년_웅촌면(熊村面) 1771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四肝谷里 4 第四統統首卜 第一戶 肝谷驛吏卜年肆拾壹辛亥本海州父通政積興祖通政必伯曾祖嘉善時昌外祖金癸丑本金海妻姜召史年肆拾 壹辛亥本晋州父通政太齊祖通政渭迪曾祖通政石上外祖朴時萬本密陽率子云澤今故率侄云...
    연도_면이름1771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四肝谷里
  • 玄武禪師壁觀顧滄洲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460 玄武禪師壁觀顧滄洲畵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을해년 오두환(煥) 고목(告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구술자료(10)

  • 둔갑술을 쓴 벽해도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창리에서 소개를 받아 김봉권 제보자를 찾아가게 되었다. 제보자는 농사를 지으면서도 진안향교 전교를 맡는 등 사회활동을 다양하게 해 왔다. 제보자는 별로 아는 것이 없다고 겸손해 하면서 조사자의 요청에 성심껏 응해 주었다. 예전 어른들한테 들은 이야기라고 하면서 ...
    조사일시2010. 2. 3(수)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반송리 반송길 8-5 김봉권 제보자 자택 | 제보자김봉권
  • 사초를 하면 안 되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 후에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년 2월 10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강진면 부흥리 519번지 이목 마을회관 | 제보자이정인
  • 에머라즈와 네팔의 죽음 의식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서 이야기를 이어서 구술하였다. 청자로 카멜라와 어디갈디 걸퍼나가 참여했다. 에머라즈는 죽음과 관련된 신이다. 네팔에서는 에머라즈를 쫓아내기 위해 문턱에서 를 깨기도 하고 꽃목걸이 같은 것도 걸어준다. 또 살아생전에 착한 일을 하면 좋은 곳에 가고 나쁜 일을 하면
    국가네팔 | 제보자스레스탄졸티 [네팔,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죽음의 신 에머라즈와 티하르 축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생을 데리러 올 때, 에머라즈 신을 막기 위한 행동에서 시작된 축제라고 한다. 에머라즈, 티하르, 더사인, , 티까, 저승, 축제, 네팔, 비멀, 경기도, 고양시, 민속, 문화 [조사자2: 혹시 저승에 관련된 저승을 지키는 신이 있어요?] 저승 뭔데요? [조사자
    국가네팔 | 제보자비멀 [네팔, 남, 1987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고. 아무것도 없으니까 가루랑 뼈(벼)랑 그거를 섞어서 같이 이제 물도 넣고 그, 도 넣고 그, 그거를 이제 섞어서 죽 같은 거를 만들어요. 죽 같은 거를 만들어서, 밤새 만들어요. 그거를. 밤새 만들어서 다음날 먹을 수 있게 하는데. 그런 역사를, 담아서 우리가
    국가타지키스탄 | 제보자무나바르 [타지키스탄, 여, 1995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5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煥(煥商店) 서울 煥商店 南米倉町市日 3 식료품 - 과일(果物) 소매 52.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扈斗煥(扈斗煥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일(果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思春期處女의物 處女性을일흔女性과그批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93 1936 5 1 1 1 處女性問題 思春期處女의物 處女性을일흔女性과그批判 신문 조선일보 3면 5단 석간 기사 여성 간접자료 선집외 處女性, 思春期, A19360501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兩使 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후에  일본공 림권죠씨가 인항에 도박 군함 대도호 화함장과 장관등을 동여 폐현엿고 작일 오후시에 아공 파후로우씨가 귀국 로 폐현엿데 팔시량에 궁부에셔 아공를 쳥야 연회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7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本年七月十九日以後로本組合及本組合五江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年七月十九日以後로本組合及本組合五江支所에新加入者이住所及氏名이如左홈 本組合 鄭완榮 東署梨峴 五江支所 朴元七 西署玄湖 朴宗潤 西江坊倉前里 金德裕 西署東幕 梁完益 西署東幕 高相叔 西署東幕 張雲亨 西署士亭 李秉均 西署麻浦 泳 西署麻浦 邵寛七 西署士亭 右廣告홈 漢城手形組合...
    게재일1906년 7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本年七月十九日以後로本組合及本組合五江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年七月十九日以後로本組合及本組合五江支所에新加入者이住所及氏名이如左홈 本組合 鄭완榮 東署梨峴 五江支所 朴元七 西署玄湖 朴宗潤 西江坊倉前里 金德裕 西署東幕 梁完益 西署東幕 高相叔 西署東幕 張雲亨 西署土亭 李秉均 西署麻浦 泳 西署麻浦 邵寛七 西署士亭 右廣告홈 漢城手形組合...
    게재일1906년 7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6)

기타자료(43)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269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5면 이;李 평남 1922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전;永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184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7면 영전;永田 영천군 영천읍 제24회 194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두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117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48면 오두열;烈 경성부 종로구 안국정 26-1 제19회 194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두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73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7면 오두엽;燁 제1회 1934년 3월 23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두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409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75면 오두영;泳 충남 예산군 신암면 탄중리 본과 제12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1)

  • / [과학/식물]

    나무의 열매. 열매의 핵(核) 속의 인(仁)을 식용으로 삼는다. 는 본래 동북아시아에 있었는데 이것은 가래나무 열매로서 추자(楸子)라 한다. ‘楸’자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이다. 그러다가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장건(張騫)이 서역에서 새로운 추자를 가지

  • 오두인 /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정방 증손, 할아버지는 사겸, 아버지는 상, 어머니는 이효길의 딸이다. 숙부 숙에게 입양되었다. 1648년(인조 26)에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공조참판, 호조참판,

  • 실과 / 實果 [생활]

    연회상에 차려졌던 과일. 조선 시대 궁중 연회상에 차려진 과일은 배, 대추, 황률, , 송백자, 홍도, 포도, 사과 등 38종류 이상이었는데 실과는 1회 차려졌다. 배가 가장 많이 차려진 과일이다.

  • 백산자 / 白散子 [생활]

    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백산자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

  • 용호도 / 龍虎島 [지리/자연지리]

    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96명(남 152명, 여 14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50세대이다. 취락은 북서쪽에 위치한 용초(龍草)마을과 동쪽에 위치한 ()마을에 집중해 있다. 이 두 마을의 이름을 따서 용호리가 되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