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형태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0)
사전(90)
- 형태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의미를 지닌 가장 작은 단위. [내용] 달리 어소(語素) 또는 형태부라 일컫기도 한다. 형태소를 주시경(周時經)은 ‘늣씨’라고 하였다. 형태소가 국어문법의 단위로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 구조문법이 수용되면서부터이다.
- 의존 형태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정의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 | 문광부표기uijon hyeongtaeso | MR표기ŭijon hyŏngt’ae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자립 형태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른 말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혼자 설 수 있는 형태소정의다른 말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혼자 설 수 있는 형태소 | 문광부표기jarip hyeongtaeso | MR표기charip hyŏngt’ae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분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체언이나 어간 등 어휘형태소가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오는 조사나 어미 등 문법형태소가 모음으로 시작될 때의 표기와 관련된 맞춤법의 용어. [내용] 자음을 어휘형태소의 받침으로 표기함으로써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를 구분하면서 어휘형태소가...
- 복합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내용] 다형태소적 단어(多形態素的單語, polymorphemic word)라고도 한다. 하나의 형태소로만 이루어진 단어인 단일어에 대응되는 용어이다. 복합어를 구성하고 있는 둘 이상의 형태소의
고서·고문서(18)
- 서하서사_西夏書事34 紹興六年 [金天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894 중국 사서 서하서사 004 인종(仁宗) 14 1136 6 西夏書事34 紹興六年 [金天會十四年] 夏六月 金人以主名來報 僞齊劉豫表請金主以御名音切及同音 字型大小 來降示 金主從禮臣議竝報夏高麗二國 외국정세, 기타, ...국가중국 | 서명서하서사 | 왕대인종(仁宗) 14
- 리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민족연구소, 언어연구실, 조선, 연구사업, 종사, 우리말, 계통학, 흥취, 몇년간, 이곳, 터어키어, 한종류, 위글어, 공부, 문법형태소, 비교사업, 조언, 공개적, 발표, 글, 금후, 중국, 연구, 학자, 없어서, 지도, 받을곳, 없습니다, 다행, 장기간, 몽골어...대표표제어리선생님 | 성씨김
- 〈標準手話辭典(KOREAN STANDARD SIGNLANGUAGE DICTIONARY)〉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따른 수어의 도입을 추구하였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한국수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국어의 문법형태소 조사, 어미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문법형태소에 해당하는 수어 어휘를 지문자와 수어 어휘로 조어한 점이다. 이러한 조어는 단지 국어의 문법형태소를 손으로 표현한 데 지나지...대표표제어〈標準手話辭典(KOREAN STANDARD SIGNLANGUAGE DICTIONARY)〉 해제 | 편저자 표준수화사전편찬위원회 | 권수 1책
- 〈동아새국어사전〉(1989)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언어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예문을 확대한다는 원칙’, ‘형식 형태소(조사, 어미, 접사 등)나 상징어의 다양한 갈래를 최대한 발굴하여 정리한다는 원칙’ 등의 편찬 방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아새國語辭典 동아출판사 편집국 13cm ☓ 19cm 1책...대표표제어〈동아새국어사전〉(1989) 해제 | 편저자 동아출판사 편집국 | 권수 1책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덧붙인 이론편,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사전편, 홍고 테루오의 학위논문 부록을 전재한 자료편으로 구성된 〈조선이두사전〉을 일본어로 간행하였다. ② 학문적 가치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한국어는 문법 형태소가 매우 발달한 교착어(膠着語)에 속하고 중국어는 문법...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기초학문(31)
- 말본 형태소의 공형태소 되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하치근, 게재일 : 200008137 하치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글학회 2000 말본 형태소의 공형태소 되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한자어 형태소 인식력의 개인차가 형태소 점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배성봉, 게재일 : 201716709 배성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7 한자어 형태소 인식력의 개인차가 형태소 점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선어말 형태소 '-니-'의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유기, 게재일 : 201343395 이유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사학회 2013 선어말 형태소 '-니-'의 기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형태소 교체의 규칙성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1458788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학회 2014 형태소 교체의 규칙성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古代國語의 文法 形態素 ‘-긔’의 再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재형, 게재일 : 201446182 조재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古代國語의 文法 形態素 ‘-긔’의 再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
- 투사신문_1948_111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평양사범전문학교, 평양사범전문학교 부속인민학교 지난 13일 오후 2시부터 평양사범전문학교 부속인민학교에서는 인민학교교육방법연구회가 개최되었다. 먼저 제4학년 잇과□들의 세 가지 형태소에 대한 공개 교수는 동 학년 잇과 교수에 커다란 성과를 가져오게...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16_02
연구과제(1)
-
언간에 나타난 분류사의 분포와 의미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배영환 | 제주대학교 | 2013 | 국내 | 제주
주제어사전(23)
-
형태소 / 形態素 [언어/언어/문자]
의미를 지닌 가장 작은 단위. 형태소가 국어문법의 단위로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 구조문법이 수용되면서부터이다.그 뒤 주시경의 늣씨가 형태소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 지적되고, 형태소 분별을 위한 기준 문제가 논의되면서 형태소의 정립이 문법
-
복합어 / 複合語 [언어/언어/문자]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는 둘 이상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며, 파생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결합된 것이다. 복합어와 합성어에 대한 이러한 술어사용의 구분은 문법학자간의 일치를 보여주지 않는다. 어떤 경우는 위와 정반대로 합성어를 상위개념
-
단일어 / 單一語 [언어/언어/문자]
단어의 구성에 있어서 그 어간이 하나의 형태소(形態素)로만 이루어진 단어. ‘집, 나무, 민들레, 오늘, 일찍, 벌써’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형태소로 되어 있어서 더 이상 분석하면 의미 없는 요소가 될 뿐이다. 위의 예들은 체언이나 수식언 등
-
교체 / 交替 [언어/언어/문자]
한 형태소나 음소가 결합이나 음운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소나 음소로 바뀌는 현상. 먼저, 음운론적 교체는 음소와 음소의 결합을 제한하는 음소 배열 제약과 음절과 음절의 결합에 대해 제한하는 음절 배열 제약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하여, 형태소 경계를 없애면 대부분
-
표의문자 / 表意文字 [언어/언어/문자]
글자 하나하나가 형태소(形態素) 각각을 대표하는 문자체계. 글자 하나가 의미의 단위인 형태소(대개는 단어) 하나씩을, 더 정확히 말하면 그 형태소(및 단어)의 의미를 대표하는 문자체계를 일컫는다. 가장 대표적인 표의문자로는 한자를 들 수 있다. ‘衣, 木, 東, 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