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형주” 에 대한 검색결과 1,1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8)

사전(436)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인척 사이의 손위 형님. 친구 사이에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인 ‘형(兄)’과는 전혀 다른 말이다. ‘주(主)’는 주(主)’는 항렬이 높은 일가 유복친(一家有服親)을 지칭하는 말뒤에 붙여 존경을 표하는 접미사. 數日前 得見成川書 欲預知定穴及定日 以爲凡百周旋之地 而...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궁의 형님이다. 동궁이 모처의 연못가 누각에서 베푼 주연에백의에 베옷을 두르고 참석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를 버리고 선(禪) 공부에 정진하였다. 황해도 안악군 연등사(燃燈寺) 남암(南庵)에서 몇 년 동안 선에 정진하다가 입적일시를 예고한 다음 앉은 채 입적하였다. 법맥은 휴정(休靜)―유정(惟政)―응상(應祥)―금봉―로 이어지며 저술은 전하지 않는다....
    이칭별칭 무구(無垢)| 백화(白華)
  • 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원나라 신하이다. 장백 일행이 연주 등 칠십여 성을 토벌하고 백만 대병을 거느려 장안으로 쳐들어오자 긴급한 상황을 황제에게 장계로 올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자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초옥에게 수청을 강요하던 자사이다. 최보운이 떠난 사이 기생 초옥에게 수청들기를 강요한다. 그러나 초옥이 보운과 결연하였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하자 초옥을 옥에 가둔다. 그리고 초옥을 죽이려하는 순간 대원수가 되어 돌아온 보운에게 잡혀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4)

  • 종묘와 궁묘: 조선 왕실의 조상제사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한형주...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
    유형단행본
  • (조선왕실의 일상 1)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0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시대의 왕 (1) 왕에 주목하는 이유 (2) 조선시대의 왕과 왕권 (3) 호칭으로 본 왕과 왕실 (4) 조선시대 정치 운영의 특징과 왕의 일상 (5) 왕
  • (조선왕실의 일상 2)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09.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시대의 왕비 (1) 왕비의 위상과 역할 (2) 왕실 여성의 위계와 왕비의 궁중생활 (3) 다양한 왕비의 모습들 2. 왕비의 간택과 책봉 (1) 만민을 친
  • (조선왕실의 일상 3)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4.0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의 세자 (1) 권력의 주요변수, 세자 (2) 세자의 일상, 왕이 되기 위한 준비 과정 (3) 역사 속 비운의 세자들 2. 탄생, 책봉 그리고 교육 (1

고서·고문서(565)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팔일공사 래승대대 8 2 , 점령, 익주, 연합...
    대표표제어형주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촌소 장 남자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치로하향 3 3 사촌소, 익산군, 망성면, 무형리, 고산부락, 나...
    대표표제어사촌형주소 | 성씨
  • 前上平書 時序漸寒伏問 大度幷若何孟秋以後屢 有去札而一無來音來者 之遲留如是則去者之稽 緩推可知也而益歎旧使 之又有事端在焉未暇及 於討書以送而然也古人 言一日一月之不見只如三月三 歲之久而不言一歲不見之 爲如何者曾以尋常看過也 豈謂身踐斯境也第有一事 之往來于心者臨年之兩家老 人及楊根愼姑...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前上平書 拜違日富鬱陶難堪春日多 戾伏未審間來 體力無損渾儀吉適農務將 殷雨澤普洽可耕播以時而兩 麥亦有望否所願者只豊登免 餓死耳舍弟初境聞接極其辛 酸稍久成習亦可支吾但所欠者 無醫藥二人中若有不虞之疾則 頓沒下手處是用悶沓耳春姪 婚事間有完議處否時奇有可聽 否竊聞列邑行會有異樣舡勿爲 檢申之...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前上答書 舡還伏讀五月至六月三日三次 下翰細悉其內凡百許多伏念 稍可釋也而只調度告乏未有 定計雖云所料曷勝煎悶又聞 東槎才返兇醜踵至而迎納城 內待以客禮修好之道安得不 然此所謂制倭接洋幷行不悖 者耶世人之以此漢蒙譴謂由 二三句語之觸忤聖明者實 是假飾粧撰不足取信其根別 入之輩去首絶尾孤行純坤無...
    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2)

  • 07_110 전북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부안군_아과시 아과시 만두리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 1986.4.30 素86-4-30②B, (김 녹음: 86-5-6A) 김판술 김판술(1909년생.남.3대째 토민) 이소라, 김 이소라 1. 느린 방게류 2.
    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옹중리 | 녹음날짜1986.4.30 | 가창방식1, 2 멕받형 (선후창) 3. 복창
  • 정수인 심청가 공연녹음 ④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청가 중 \'여러 맹인들도 눈을 뜨고 심생원도 함께 춤을 추고 노는디. 그 중에 눈 못뜬 맹인 하나가 아무 물색 모르고 함부로 뛰고 놀다가 여러 맹인들 눈떴단 말을 듣더디마는\'라는 아니리로 시작. 심청가 중 \'무릉태수 자사는 내직으로 입시허고, 도화동 백성들은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수인

기초학문(18)

  • 의적 형벌정책에 관한 비판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나현, 게재일 : 2016
    67083 안나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중의적 형벌정책에 관한 비판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쉽 검사지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형주, 게재일 : 1997
    10278 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학회 1997 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쉽 검사지 개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1997
  • 고대음악문화사 연구 -그리스 신화와 전승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지형주, 게재일 : 2013
    42139 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음악연구소 2013 고대음악문화사 연구 -그리스 신화와 전승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형주, 게재일 : 2010
    30130 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포스트모던 연극에 대한 반성과 한국연극의 미학적 지평 : ‘정치적 글쓰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형주, 게재일 : 2014
    53018 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극학회 2014 포스트모던 연극에 대한 반성과 한국연극의 미학적 지평 : ‘정치적 글쓰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52)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刊] 線裝 卷中 27.9x20.0 1. 版心의 일부 張次 아래 '房氏申春' 등 人名이 刻印 2. 표지에 梵魚寺 도서 購買紙가 附着되어 있음 印(앞표지): ?(圓印, 1.5x1.5); 印(卷首): 梵魚寺印(四角朱印, 6.0x6.0), ?(圓印,...
    대표표제어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3 | 대표서명緇門警訓註 | 한글서명치문경훈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출판경찰보 110호 성중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회당을 포위 방화하고 창으로부터 도주하는 남녀노소는 한명도 빠짐없이 사살되었다. 또한 한성 감옥에서는 독립을 외치며 체포된 수천의 여자를 모조리 의복을 벗겨 ()에 묶어 먼저 음부에 고약을 발라 그 음모를 뽑고 불꽃을 음도에 삽입하여 점화하고 기뻐하며 또한 여자...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0호 성중일보 | 출판물명성중일보(星中日報) 1937년 10월 23일
  • 정지강, 리유택, 채필근, 강문구, 김, 배덕영, 문리호, 최창신, 김창림, 박동선, 리학봉, 김취성, 김관식, 김화식 내선기독교련합회 (교도들 인식 정도는?) (평남지사발) 대동아전쟁이 발발한 객년 납월 8일 이래 내선기독교련합회에서는 평양부 내...
    대표표제어정로_1946_0331_03
  • 1970년도의 전기계를 이야기한다 장병찬 9 1970년도의 전기계를 이야기한다 우 11 상공부령으로 제정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좌담회-한국전기계의 급속한 발전을 위하여 박용철, 서승구, 장병찬, 우, 박승찬, 이판개, 성원모 12 건축과 전기와 생활-전기회관 설계를 마치고 이희태 2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멀티미디어(2)

  • 용인 좌항리 고려분묘군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기소병) 2013-11-04_0.6724207_사진24. 제3호 석곽묘 출토유물(토기병, 토기소병).jpg j3-0002_3 유물 사진53. 제7호 석곽묘 출토유물(백자과자) 2013-11-04_0.1780512_사진53. 제7호 석곽묘 출토유
    제목용인 좌항리 고려분묘군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각지 시.발굴조사보고서-부안 진서리 20호 청자요지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가마폐기물층 평면.jpg cc2-0001_1 유물 도판 28. ①,②과자‧③양각연판문 향로‧④~⑥잔탁‧⑦분합‧⑧합신 2014-12-17_0.1761133_도판 28. ①,②과자‧③양각연판문 향로‧④~⑥잔탁‧⑦분합‧⑧합신.jpg cc2-0
    제목각지 시.발굴조사보고서-부안 진서리 20호 청자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89)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559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5면 (학과)본과신제도 김;金 경성부 명륜정 2정목 8 19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3972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3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I. 1937년 3월 졸업 윤;尹 (본적)함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39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6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I. 1937년 3월 졸업(42명) 윤;尹 (본적)함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57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 제1회 졸업생 (1919년 3월 졸업);(1) 문과 김;金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35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6면 1. 3. 각 과별 졸업생;20) 제20회 졸업생 (1938년 3월 졸업);(3) 數物科 우;禹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불교]

    사에 머무르면서 학인들에게 교를 가르쳤다. 도명이 높았으나 만년에는 교를 버리고 선공부에 정진하였다. 법맥은 휴정―유정―응상―금봉―로 이어지며 저술은 전하지 않는다.

  • 구묘 / 方構墓 [역사/선사시대사]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보통이다. 대체로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에 걸쳐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유행하였다. 방구묘는 주구로 둘러싼 공간 내부에 널무덤 1∼2기가 매장시설로 축조되며 유물은 매장시설 안이나 주구에서 발견된다.

  • 백자 병형 주전자 / 白磁甁 [예술·체육/공예]

    조선 전기의 백자 주전자. 국보 제281호. 높이 29㎝, 입지름 6.㎝, 밑지름 11.4㎝. 호림박물관 소장. 구부(口部)는 약간 벌어져 세워지고 짧은 목에 어깨에서 서서히 벌어져 동하부(胴下部)에 중심을 이룬 풍만한 병 모양 몸체의 주전자로, 높은 굽다리를 하였다.

  • 씨수연경축가 / 氏壽筵慶祝歌 [문학/고전시가]

    뒤 일찍 홀몸이 되어 바느질을 업으로 삼고, 온갖 고생을 다 겪으면서도 어질고 착한 성품으로 원근 친족 붕우간에도 우애 있게 지내며, 5남 2녀를 훌륭하게 길러내어 시가에서 정절비를 세우려는 씨에 대한 칭송을 읊었다. 또한 그의 회갑연을 맞이하여 일가친척, 벗들과

  • 보령관창리유적 / 保寧寬倉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고려대학교·대전보건대학·아주대학교·충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고인돌[支石墓]·돌널무덤[石棺墓]·무논[水田]·방구묘(方溝墓)를 비롯해 철기시대 독무덤[甕棺墓], 조선시대 일반무덤[民墓] 등이 확인되었다. 고려대학교박물관이 조사한 지역에서만도 집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