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현신교위” 에 대한 검색결과 1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5품에 해당하...
  • 창신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의 종5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여져『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무산계
  • 종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 부사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5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창신교위(彰信校尉)라 별칭되었다. 태종 초에는 섭사직(攝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부사직으로 개칭되어...
    이칭별칭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섭사직(攝司直)
  • 공인(恭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호(爵號). [내용] 문산계 정5품 통덕랑(通德郎)·통선랑(通善郎), 종5품 봉직랑(奉直郎)·봉훈랑(奉訓郎)의 아내와, 무산계 정5품 과의교위(果毅校尉)·충의교위(忠毅校尉), 종5품 ()·창신교위(彰信校尉)의 아내를 가리킨다. 조선 건국 초인 1...
    상위어오품(五品), 외명부(外命婦) | 관련어봉작(封爵), 작호(爵號)

고서·고문서(140)

  • 進勇校尉 守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82 1181_01 進勇校尉 守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32.JPG 進勇校尉 守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進勇校尉 守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83 1181_02 進勇校尉 守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32.hwp 兵曺萬曆三十三年 六月初十日奉 敎進勇校尉...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奉直郞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10 1195_01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奉直郞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46.JPG 行訓鍊院 判官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奉直郞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211 1195_02 行訓鍊院 判官 朴震英을 奉直郞 行慶源都護府 判官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MP046.hwp 吏曺萬曆三十三年 七月初...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592년 황진(黃進)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592년 9월에 병조에서 동복현감황진에게 훈련원판관을 겸하도록 임명하는 교첩이다. 임진왜란의 군공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 대곡 장수황씨문중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5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좌권독·우권독·부사직·현령 등이

  • 부사직 / 副司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5품 관직. 태종 초에는 섭사직(攝司直)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부사직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123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자 그 수가 102인으로 줄

  • 창신교위 / 彰信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종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종오품 / 從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봉훈랑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