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현량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125)
- 현량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데, 현량과의 실시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들은 종래의 과거제가 제도 자체의 본질적인 모순으로 과유(科儒)에게 사장(詞章)의 학습만을 일삼게 한 나머지, 성리학의 학리추구와 실천궁행(實踐躬行)을 소홀히 하도록 만든다고 여겼다. 뿐만 아니라, 그 시행 과...
- 현량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건의에 따라 실시한 관리 등용 제도.정의조선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건의에 따라 실시한 관리 등용 제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yeollyanggwa | MR표기hyŏllyangg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현량과(賢良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현량과 현량과 賢良科 과거(科擧) 대책(對策), 무과(武科), 문과(文科), 방정과(方正科), 제술(製述), 조광조(趙光祖)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정의] 151...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대책(對策), 무과(武科), 문과(文科), 방정과(方正科), 제술(製述), 조광조(趙光祖)
- 천거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현량과(賢良科). 초야에 묻혀 있는 학자‧문신‧효행자를 추천하여 등용하는 제도. 京無別奇 但沈貞爲判尹 諫院駁之 且薦擧科 京外幷百二十人中禮曺更擇 以四十人 磨勘入啓, 이연경(李延慶), 9-7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서복성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서몽상과 권채운의 맏아들로, 17세에 현량과에 올라 제음공주(濟陰公主)와 혼인하고 벼슬은 태상경 및 각로를 지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4)
- ○해인사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년(중종 11)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19년에 賢良科에 급제하여 주서에 임명되었고, 이후 검열‧주서‧전적‧陽城縣監 등을 지냈다. 1521년 신사무옥 때 宋祀連이 바친 書記에 이름이 올라 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1537년에 사면되었다. ‧송구(宋拘) 등을 위해서 소식...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家, 鼓動邪說, 疑惑人聽, 所關甚重, 請於三省交坐處, 窮極推鞫。 前知中樞府事權橃, 常稱柳仁淑爲豪傑之才, 交厚往來, 異於他人, 其聞逆語必屢矣。 及仁淑被罪之際, 上達申救, 而只罷其職。 物情未便, 請削官爵。 江陰縣監柳貞, 以賢良科被罷後, 欲得復進, 巧候時勢, 陰結羅湜, 共爲...출처전거明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初等小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ᄒᆞ야 舊日의 獘ᄅᆞᆯ 업시ᄒᆞ고 一新ᄒᆞᆫ 開化ᄅᆞᆯ ᄒᆞ고져 ᄒᆞ더라. 是以로 公이 堅確ᄒᆞᆫ 志操와 卓越ᄒᆞᆫ 識見으로 먼져 詩賦의 科法을 廢ᄒᆞ고 賢良科ᄅᆞᆯ 設ᄒᆞ야 全國의 人才ᄅᆞᆯ 需用코져 ᄒᆞ고 貴賤은 關係치 아니ᄒᆞ더라. 趙公이 大司憲으로 法을 司ᄒᆞᄆᆡ...서명初等小學 | 자료명第二十四 趙光祖
- 주역대전 : 해제_6. 박지계(朴知誡)의 주역차록(周易箚錄)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옮기고,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면서 권흥(權興)‧조익(趙翼) 등과 도학을 강론하였다. 1623년(인조1년) 인조반정 후 왕의 부름으로 사헌부지평을 제수 받았다. 그는 당시 과거제도의 폐단을 논해, 주자(朱子)의 덕행과(德行科), 조광조(趙光祖)의 현량과(賢良科), 이이(...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하면서 학행으로 賢良科에 천거되어 전적‧좌랑 등을 지냈다. 기묘사화로 파직되어 향리에서 학문에 전심했다. 1545년(명종 즉위년) 다시 복관되어 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다가 을사사화로 다시 파직되었다. 이문건이 도형의 인물됨과 행적을 서술한 간략한 글이 묵재집 권6...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충렬왕, 안유, 최충, 우탁, 백이정, 이제현, 국초(國初), 성균관, 사학, 훈민정음, 중종, 조광조, 김정, 김식, 기준, 김안국, 현량과, 신무문의 화, 남곤, 심정, 명종, 주세붕, 백운동, 백록동, 백운서원, 소수서원, 손조, 갑오경장, 공립, 사립, 허명...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10)
-
현량과 / 賢良科 [정치·법제]
조선 중종 때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게 하여 대책만으로 시험한 제도.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시행되었다. 1519년(중종 14) 한나라의 현량방정과(賢良方正科)를 본떠 실시하였다. 현량과는 당시 시대적 성격과 급제자의 신분을 관련시켜볼 때, 지치(至治)
-
남을진 / 南乙珍 [종교·철학/유학]
1331∼1393. 고려 후기의 충신. 할아버지는 익저, 아버지는 천로이다. 1368년(공민왕 17)에 현량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문하부사에 이르렀다. 정몽주·길재와 교유가 있었으며, 고려말에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양주의 사천현 봉황산에 은거하였다.
-
성수침 / 成守琛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득식 증손, 할아버지는 충달, 아버지는 세순이다. 어머니는 김극니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산현감, 토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청
-
신잠 / 申潛 [종교·철학/유학]
1491(성종 22)∼1554(명종 9). 조선 전기의 화가. 숙주 증손자, 종호의 아들이다. 1519년(중종 14) 현량과에 급제하였으나, 같은해에 기묘사화로 인하여 파방되었다. 1521년 신사무옥 때 안처겸 사건에 연루되어 장흥으로 귀양갔다가 양주로 이배되었으며,
-
양팽손 / 梁彭孫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45(인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사위 증손, 할아버지는 담, 아버지는 이하, 어머니는 최혼의 딸이다. ,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으며, 또 현량과에 발탁되었다. 교리, 정언, 용담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포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