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9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23)
사전(3,305)
- 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縣)의 종6품직 관직이다. [내용]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강화작업의 일환으로 설치하였는데 원래 그 전신은 고려 예종 이후부터 지방에 파견되었던 감무(監務)이다. 지방수령 중 ...
- 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현(縣)에 파견된 종6품의 동반 외관직.정의조선시대 현(縣)에 파견된 종6품의 동반 외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yeon-gam | MR표기hyŏn’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縣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649 縣監 관직 守令, 監務, 吏胥, 擇遣士, 各道監務, 縣監, 服闋還任, 裝不滿一駄, 築隄 高麗明宗元年, 永樂十一年 諸州, 五十三縣 辛昌, 我太宗, 琴儀, 鐵相公, 宣和, 禹訓, 許晩石 D_17_08_04 대동운부군옥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8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玄堪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D_0753 玄堪 시 梅月堂頭流山 D_08_03_25 대동운부군옥 8권 3장 2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3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강서 현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옥린의 외숙이다. 계속된 흉년으로 전백이나 얻을 양으로 찾아온 이옥린을 모른 척한다. 떠나겠다는 옥린을 잡는 척하지만 끝내 그냥 보낸다. 후에 방종직에게 잡혀 감영에 갇혀 있던 옥린과 경패의 처지를 알고 풀어준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7,183)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834 B04783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世宗實錄 九年(1427) 冬十月 세종실록_10910024_002 ○命還給前濟州判官文獻、前大靜縣監李伸職牒。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835 B047835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世宗實錄 八年(1426) 十一月 세종실록_10811017_003 ○濟州察訪金爲民啓: “濟州牧使趙希鼎濫刑私奴洪龍致死。 衙內入役皮匠, 托以進上, 收斂民間耳瑱眞珠, 受私奴金祿玉纓, 使祿强婚守信, 私婢式分。 前旌義縣監梁孟智...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836 B047836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世宗實錄 十六年(1434) 夏四月 세종실록_11604026_005 ○吏曹啓: “馬政, 軍國重務。 各道監牧官, 令二品以上薦而差之, 獨良馬所出濟州監牧官, 自歲辛亥始用土人差之, 非徒別無成効, 反有作弊之事。 勿差土着人, 以...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837 B047837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中宗實錄 十五年(1520) 十月 중종실록_11510018_001 ... 、大靜, 人戶皆空云。 別令措置可也。” 袞曰: “濟州之事, 朝廷晩聞, 今則不可救也。 臣等亦以爲慮, 將更聞其弊而欲啓耳。 聞其處之人, 以海産爲生利,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838 B047838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中宗實錄 十五年(1520) 十月 중종실록_11510018_001 ... 故民不能支而逃散。 如進上之數, 蠲減可也。” 上曰: “濟州之所供, 已令蠲減矣。 但海外故民間之弊, 朝廷未易得聞也。” 特進官金鍚哲曰: “小臣前爲大靜...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9)
- 현감 토정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를 간단하게 마치면서, 토막얘기이니 한 가지 더 하겠다고 했다.*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무을면 | 제보자김기인
- 순천현감이 감동한 효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산호 제보자가 이야기 하는 동안 제보자가 효자 이야기를 기억하고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09.02.06 | 조사장소구례군 문척면 죽마리 죽연마을 401-2번지 죽연마을회관 | 제보자고용운(남, 76세)
- 덕천 현감의 삼수정과 그의 정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여러 가지 가문의 자랑을 문헌과 기록물을 보고 늘어 놓았다. 단편적인 사실이기 때문에 녹음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삼수정에 관한 유래를 물었더니 길게 이야기해 주었다. 마을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만했다. *조사일시1984-02-13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 제보자정화영
- 현감이 물 길어먹던 주동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쌍둥이 마을로 유명해진 이야기와 산세 등을 이야기한 후, 곧바로 정정권 씨가 기록에 남아있는 마을 관련 이야기를 이어갔다.조사일시2011. 4. 16(토)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현천리 박경만씨 댁 | 제보자정종권
- 소복 입은 여인의 소원을 풀어준 현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지칠 줄 모르고 이야기를 구연했다. 앞서 이야기가 끝나자 사또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냐고 물었던 것을 생각하고 다음의 이 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2009.04.11 | 조사장소구례군 토지면 구산리 구만마을 119번지 구산리사무소 | 제보자이희철(남, 76세)
기초학문(3)
- 체현감각 :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원진, 게재일 : 201457151 송원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체현감각 :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김현감호〉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61328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김현감호〉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7
-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류준경, 게재일 : 201036354 류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소설학회/한국고소설학회 2010 〈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4)
- 젼현감 김려황金麗煌 김쥰영金準榮 김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현감 김려황金麗煌 김쥰영金準榮 김셕영金錫永 고쥰경高俊慶 륙군부위 심상윤沈相潤으로 뎡삼품을 승다以上光武五年七月九日 륙품 김병욱金炳旭 군슈 고영쳘高永喆 류교영柳喬榮 륙품 죠룡호趙龍鎬 김죵金宅宗 김학식金學植 박필셕朴必셕으로 뎡삼품을 승다以上一月九日 례식원 참리관 박...게재일1902년 2월 19일 | 기사분류관보
- 젼 현감 황긔연씨가 작일 하오 여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 현감 황긔연씨가 작일 하오 여셧시에 쟝일 증역 삼년에 쳐 엿는 그 실인즉 동학 괴슈 최시형이 갓첫슬에 황씨가 샹소 기를 졍부에 최시형이 당이 만타고 긔 벼이 현감 인 군슈로 샹소에 잘못 쓴 이라는 집도업고 팔십 노인의 졍경이 칙은더라게재일1898년 8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경상북도 문경군사 젼 현감 김현우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북도 문경군사 젼 현감 김현우씨 본 가세가 불빈고 년젼 동요시에 가산즙물을 모다 견탈고 탕진가산이더니 근일 슈의어 김하영씨가 나려가셔 김씨를 비도 여당이라고 잡아 가두엇다고 김씨의 죡하 김규셩씨가 부에 호소 다더라게재일1900년 5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義州郡古郡面居前縣監洪在瑛氏가四兄弟分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義州郡古郡面居前縣監洪在瑛氏가四兄弟分矜各居에互相讓義隣郡共知어니와其伯在瑛氏가駸駸然債帳如山야幾不能自保러니其末弟前正言在現氏가盡賣自己庄土야債償合産同△에以完乃伯之尤愛益篤니不勝欽仰야替此佈賀홈 同郡 金光湜 告白게재일1901년 5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義州郡古郡面居前縣監洪在瑛氏가四兄弟分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義州郡古郡面居前縣監洪在瑛氏가四兄弟分矜各居에互相讓義隣郡共知어니와其伯在瑛氏가駸駸然債帳如山야幾不能自保러니其末弟前正言在現氏가盡賣自己庄土야債償合産同△에以完乃伯之尤愛益篤니不勝欽仰야替此佈賀홈 同郡 金光湜 告白게재일1901년 5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9)
- 현감;玄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942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85면 7. 졸업;15) 同 제3회 졸업자 (1919년 3월) 현감;玄堪 (출신)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감;玄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159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81면 7. 졸업자;15) 同 제3회 졸업자 (1919년 3월) 현감;玄堪 (출신)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감;玄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5892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4면 현감;玄堪 京城府;미상 제4회 191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곡사정이 고구려로 도망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위축되었다. 양현감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서신이 이르자 황제가 군대를 돌렸다. 병부시랑 곡사정은 양현감의 무리로 고려로 망명했다. 고려가 일의 사정을 알고 정예병을 이끌고 와서 추격하니 후위의 군대가 크게 패했다. (通典 186 邊防 2 東夷 下 高句麗) 【번역...대표표제어곡사정이 고구려로 도망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13년(癸酉/신라 진평왕 35 建福 30/고구려 영양왕 24/백제 무왕 14/隋 大業 9/倭 推古 21)
- 가야의 사신이 백제에 소환되어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之 假使卓淳國主不爲內應新羅招寇 豈至滅乎 歷觀諸國敗亡之禍 皆由內應貳心人者 今麻都等 腹心新羅 遂着其服 往還旦夕 陰搆奸心 乃恐任那由茲永滅 任那若滅 臣國孤危 思欲朝之 豈復得耶 伏願天皇玄鑒遠察 速移本處 以安任那 (日本書紀 19 欽明紀)대표표제어가야의 사신이 백제에 소환되어 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44년(甲子/신라 진흥왕 5 建元 9/고구려 안원왕 14/백제 성왕 22/梁 大同 10/倭 欽明 5)
주제어사전(415)
-
현감 / 縣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의 종6품직 관직.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작업으로 설치하였는데 원래 그 전신은 고려 예종 이후부터 지방에 파견되었던 감무(監務)이다. 감은 동반 정·종6품의 관직명으로 태종 13년 10월에 종래의 감무를 현감(縣
-
김현감호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호랑이 설화. 신라 때 처녀로 변신한 호랑이가 김현(金現)과 부부 인연을 맺은 뒤 그를 위해 죽음을 택했다는 설화. 『삼국유사』 권5 효선편(孝善篇) 김현감호조에 수록되어 있다. 두 편의 설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김현설화’이고, 다른 하나는 ‘신도
-
현령현감판관안 / 縣令縣監判官案 [정치·법제]
전국의 현령, 현감, 판관의 설치 지역을 수록한 관안. 절첩 형식이다. 본문은 먼저 현령이 설치된 지역을 기록하고 이어 중간 부분에 '현감'이라 표기한 뒤에 현감이 설치된 지역을 기록하였다. 모두 74개의 지역이 기록되었다. 지방의 현령, 현감 등의 인사를 위해 작성
-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 金龍洛 殷山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1840년(헌종 6)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29일 행평안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도순찰사관향사평양부윤이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1년(헌종 7) 4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4월 초9일에 이조에서
-
김종수 연풍현감 해유문서 / 金宗壽 延豊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종수 연풍현감 해유문서. 1809년(순조 9) 9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9월 17일에 수공충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10년(순조 10) 1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1월 초10일 이조에서 김종수에게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