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허후” 에 대한 검색결과 1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5)

사전(78)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삼문이 세 가지 허물230)을 들어 참석할 수 없다고 하자, 자신이 벼슬한 때는 단종이 계실 때였으며 축하연에서 홀로 고기를 먹지 않았다고 항변해 연회에참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계유정란을 일으킨 수양대군이 황보인ㆍ김종서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잡자, 황보인의 무죄를 주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8(선조 21)∼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초명은 열(說). 자는 중경(重卿), 호는 관설(觀雪)‧둔계(遯溪)‧일휴(逸休). 좌찬성 자(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강(橿)이고, ...
    이칭별칭 중경(重卿)| 관설(觀雪), 돈계(遯溪), 일휴(逸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하양(河陽). 윤창(允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귀룡(貴龍)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조(稠)이며, 어머니는 대사헌 박경(朴經)의 딸이다. 그의 가문은 대대로 ...
    이칭별칭 일영(一寧)| 정간(貞簡)
  • TD_L14_D_2461 인물 守口, 謹身 本傳 D_12_04_79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7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7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8)

  • 經史門1_首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首露 三國之際, 櫝出、卵生之類, 都不可信, 余旣有成說. 按, 《輿地勝覽》引崔致遠《釋利貞傳》云: “伽倻山神正見母主, 乃爲天神夷毗訶所感, 生大伽倻王懰窒朱日、金官國王懰窒靑裔二人, 則懰窒朱日爲伊珍阿豉王之別稱, 靑裔爲首露王之別稱也.” 又《釋順應傳》: “大伽倻國月光太子, 乃...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七]論史門四_首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首露 三國之際, 櫝出、卵生之類, 都不可信, 余旣有成說. 按, 《輿地勝覽》引崔致遠《釋利貞傳》云: “伽耶 耶: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倻’로 되어 있다.山神正見母主, 乃爲天神夷毗訶所感, 生大伽耶 耶: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2_109728 18776_0130 奎 18776 宣禧宮(1774) 경상도 金海府 左部面 南伐員 경상도 金海府 左部面 南伐員 80 80결 백(白) 백(白)
    자료번호18776_0130 [奎 18776]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33665 B033665 남산 南山 산악 咸境道邑誌 慶源邑誌 慶源都護府 烽臺 十坐○南山烽在府東南七里義洞社前應二十里許東林烽後應十里訓烽以烟氣午時初準厚訓烽在府東北九里城川社前應十里許南山 ...
    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3634 B063634 도인 島人 도서 도인(島人) 世宗實錄 二十五年(1443) 秋七月 세종실록_12507018_004 ○召禮曹參判謂曰: “近倭奴擄去人物, 未知的在何島, 故只問對馬島。 今皮尙宜來啓: ‘對馬、一歧兩島人同謀虜掠, 而姑置一岐州。’ 先問對馬島 ...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9)

  • 졍삼품 로 함경 북도 각둔토 세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삼품 로 함경 북도 각둔토 세젼 샤검위원을 명 고 슈원부 쥬 김유동은 직무를 근실이 지 안고로 일삭감봉 다
    게재일1900년 2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漢詩와史話片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B19341215신조0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警官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길쥬항 경무관 씨갈닌에 울진군슈 김좌붕씨가 피임엿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兩郡守叙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참셔관 심영셥씨 리쳔군슈를 피임고 셩진경무관 씨 울진군슈를 피임엿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監理轉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길쥬항감리 심후씨 공관 참셔관을 젼임고 울진군슈 씨 강원도 양디감리를 겸임엿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588(선조 21)∼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자의 증손, 할아버지는 강, 아버지는 교이다. 목의 사촌형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공조좌랑, 은사현감, 선공감부정, 장령, 장악원정 등을 역임하였다. 원주 도천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둔계집』이 있다.

  • 화암서원 / 花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8년(영조 14)()·전유형(全有亨)·박세무(朴世茂)

  • 고려사전문 / 高麗史全文 [역사/고려시대사]

    착수는 1438년(세종 20)부터 시작되었다. 그 해 3월 ()와 권제가 『고려사』의 체재에 대해 논하고, 이어 7월 실제로 춘추관에서 편찬이 착수되었다. 이 책에서 보완 개수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고려사전문』이라는 명칭에서 보이듯이 고려실록을 통해

  • 육신전 / 六臣傳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사육신의 전기. 작자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8과 조기영(趙基永)의 『생육신문집(生六臣文集)』 권7에 수록되어 있다. 『추강선생문집』에는 「육신전」 외에도 계유정란 때 세조를 따르지 않았던 ()의 전(傳)도 남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