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허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2)
사전(145)
- 허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소세광의 장인이다. 위험에 처하였을 때 세광의 도움을 받아 구출된 후 딸과 세광을 혼인시킨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고약한 버릇이 있어 걷지 못한다고 하면서 궐에 출입할 때에 교자를 타고 다닌다. 이런 모습을 미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오성 이항복도 마음에 두고 있던 바, 선조를 모시고 파천을 할 때 높은 고개에서 쉽게 내려가는 모습을 보고 ‘각기병에는 난리가 좋은 약인가?’란 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자(加資:정3품 이상의 품계를 올림)를 받았다. 이 때에 정원(政院)‧사헌부‧사간원에서 허준의 의료에 관한 공로는 인정하나 의관으로서 당상가자를 받는 것은 지나친 상사라 하여 여러 차례 그 가자를 거두기를 계청(啓請:왕에게 청을 올림)하였으나, 그것은 당연한...이칭별칭 청원(淸源)| 구암(龜巖)
-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표하면서 소설 창작에 전념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소설 문단에 드러나기 시작한 심리주의적 경향을 잘 대변하고 있는 허준은 「탁류」‧「야한기(夜寒記)」(『조선일보』, 1938.9.3∼11.11)‧「습작실에서」(『문장』, 1941.2) 등과 같은 주목할 만한 작품...
- 허준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명의(名醫) 허준의 묘.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128호. 묘역은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에 있으며, 임진강(臨津江) 건너 비무장 지대의 해발 159m에 위치하고 있다. 이 묘는 재미 고문서연구가 이양재(李亮載)...연계항목허준묘(許浚墓)
단행본(4)
- 许浚与《东医宝鉴》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 출판사 : 中央民族大学出版社 | 출판일 : 2011.0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1) (2) (3) (4) (5) (6) (7) (8) (9)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3 (소지류)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3.04.0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제1장 해제 제2장 수록자료 강릉 관동대학교박물관 소장 자료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 소장 자료 삼척시립박물관 소장 자료 양양 고금홍씨댁 소장 자료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1 (호적류 1)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0.02.2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제1장 해제 제2장 수록자료 춘천 유용태씨댁 소장 자료 인제 최창호씨댁 소장 자료 춘천 홍순근씨댁 소장 자료 춘천 홍종흔씨댁 소장 자료 춘천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2 (호적류 2)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1.02.2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제1장 해제 제2장 수록자료 원주 이정동씨댁 소장 자료 원주 역사박물관 소장 자료 원주 한산이씨가 소장 자료 정선 신동주씨댁 소장 자료 평창
고서·고문서(168)
- 기유년 허준(許濬)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869년 허준(許濬)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9년 11월 29일에 보성작천에서 허준(許濬)이 사돈 기양연(奇陽衍)에게 보낸 편지이다. 객지 생활은 편안한지, 도정(都政)이 멀지 않았으니 그때는 직함을 얻을 수 있는지 등을 묻고, 연세 많으신 부모님 봉양을 오래토록 못하고 있으니 대신 민망하다는 말을 하고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859년 허육(許堉), 허준(許埈) 등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정정동의보감(訂正東醫寶鑑)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민속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의보감(東醫寶鑑)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민속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5)
- 허준 선생의 의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에 이어 성조의 인정(仁政)을 말하는 내용의 이 설화를 애기했다. 제보자의 조카와 조사자는, 제보자의 지칠 줄 모르는 애기에 감탄하면서 주의를 기울이자, 더욱 만족한 표정으로 이어서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4-11-10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 제보자임일록
- 허준이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주읍 상리 경노당에서 안평국씨와 같이 조사자가 정한 여관에 가서 조사자와 둘이 앉아서 구연한 이야기다. 조사자가 동물보은에 대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두꺼비 보은□을 간단하게 요약해서 말하고 이어서 구연한 자료인데 구연자는 주인공을 허균(許筠)이라고 했으나 이...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제보자안평국
- '군'(君) 칭호 얻은 허준(許浚)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0시 쯤 구시 경로당을 방문했는데 마침 가까운 곳에서 공연중인 서커스 구"<page id="174"/>"경을 간 모양이라며 경로당에는 소수의 노인밖에 나와 있지 않았다. 그나마 노는 일이며 얘기 같은 것에는 취미가 없어 보이는 분들이라서 조사자의 계속적인 시도에도...조사일시1981-02-27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대천 | 제보자장성춘
- 명의(名醫) 허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용정씨의 자택에서 조사했다. 조사자가 이득선씨의 안내로 이용정씨 댁을 찾아 갔을 때 이용정씨는 손자들과 함께 텔리비젼을 보고 있었다. 방안에는 침구가 그대로 펴져 있었고 요강도 있었으며 곡식 등 여러 가지 자루가 쌓여 있었다. 조사자가 인사를 마치고 이야기를 들려...조사일시1981-05-02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송악면 | 제보자이용정
- 대막거리마을의 괴질을 치료해 준 허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계리 하목경로당에서 조사를 마친 후, 제보자 김승회를 따라서 바로 아래 동네인 상계리 연평마을에 갔다. 조사자들은 김승회의 집에 들어가 마을의 유래 등을 물어 보았다. 경로당에서 구연하였던 이야기를 다시 해 줄 것을 요청하자, 제보자 김승회가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1.01.19(수) | 조사장소충청북도 진천군 김유신길26 | 제보자김승회
기초학문(4)
- 존재론적 성찰과 자기 초월의 윤리로서의 문학 - 허준의 ‘습작실’ 연작을 통해 본 문학 개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병삼, 게재일 : 201451503 송병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남어문학회 2014 존재론적 성찰과 자기 초월의 윤리로서의 문학 - 허준의 ‘습작실’ 연작을 통해 본 문학 개념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효과적인 영어듣기학습을 위한 인터넷 활용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준, 게재일 : 200401895 허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04 효과적인 영어듣기학습을 위한 인터넷 활용 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준, 게재일 : 200607891 허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허준혁, 게재일 : 201347322 허준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구과학회 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https://ww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27)
- 許埈(掌苑藥房)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許埈(掌苑藥房) 서울 許埈 掌苑藥房 昭格町 18-1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15.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許埈(掌苑藥房)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許準(大邱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許準(大邱商店) 대구 許準 大邱商店 京町 1丁目 - - 곡물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許準(大邱商店)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곡물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민주조선_1949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をめぐって 韓德銖 3 南朝鮮の政治情勢とその展望について 許準 9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49
- 투사신문_1950_0519_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호 평양시 민본리13 투사신문사 리태준, 한설야, 락세영, 김순석, 허준 북조선문학동맹 북조선문학동맹산하 평양지구작가시인들은 국가공채구매에 열성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작가 한설야씨의 추가공채구매 1만원을 비롯하여 작가 리태준씨는 7천원...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9_01_02 | 책임주필한호
- 주간씨티_2000_1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4 교민소식 38 학생만화-멍구(107) 조은진 39 인물탐구-허준 ...발행국가캐나다 | 발행연도2000
멀티미디어(33)
- 유교와 불교 11주차. 최종평가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_ 2019_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_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_ 2020_「조선 전기강좌제목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 강의자허준 교수
- 유교와 불교 12주차. 최종평가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_ 2019_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_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_ 2020_「조선 전기강좌제목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 강의자허준 교수
- 유교와 불교 13주차. 최종평가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_ 2019_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_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_ 2020_「조선 전기강좌제목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 강의자허준 교수
- 유교와 불교 14주차. 최종평가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_ 2019_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_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_ 2020_「조선 전기강좌제목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 강의자허준 교수
- 유교와 불교 15주차. 최종평가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_ 2019_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_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_ 2020_「조선 전기강좌제목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 강의자허준 교수
기타자료(6)
- 허준;許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197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19면 8. 1939년도 졸업생(3년제) 허준;許準 충남 천안군 1940.3.3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준;許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627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19면 허준;許壿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제9회(39명) 1929년 3월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준;許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8615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36-1943) n.r. 52면 허준;許準 경기 25회(連37回) 1939년 3월 4일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준;許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831 일본 東京 法政大學 法政大學校友名鑑 1941―05―25 52면 허준;許俊 조선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法政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준;許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774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78면 1. 卒業生;19) 19회(47명: 1928년 3월 졸업) 허준;許俊 평북 용천군 外上面 新龍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손승철 | 강원대학교 | 2009 | 국내 | 강원
-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오영교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2021 | 국내 | 강원
주제어사전(8)
-
허준 / 許浚 [과학기술/의약학]
허준(1539~1615). 조선 선조 때의 명의. 어의(御醫)로 있으면서 선조의 명으로 의서 편찬에 착수하여 1610년에 <동의보감> 25권을 완성하였으며, 각종 의서를 국역하였다.
-
허준설화 / 許浚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의 허준에 관한 인물 설화. 허준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는 문헌으로는 이희령(李希齡)의 『악파만록(樂坡漫錄)』과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중국에 간 이유, 범을 고쳐 주고 받은 보배, 환자와 이물(異物)과의
-
동의보감 / 東醫寶鑑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의가류(醫家類) 허준(許浚) 봉교찬, 목판본, 전주, 완영(1814), 23권, 목록 2권 합 25권 25책. 선조의 명으로 중국과 조선의 의서(醫書)들과 체험을 통한 치류방을 모아 집성한 한의학의 백과전서, 1613년(광해군 5)에 초간 후 여러 차
-
언해태산집요 / 諺解胎産集要 [언론·출판/출판]
1608년(선조 41)에 허준(許浚)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1권 1책. 목판본. 원래 1434년(세종 16)에 노중례가 편찬한 ≪태산요록≫ 2권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유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
-
언해두창집요 / 諺解痘瘡集要 [언론·출판/출판]
1601년(선조 34)에 허준(許浚)이 왕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에 내의원(內醫院)에서 발간한 의서(醫書).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상권에 두창의 원인·예방법 및 그 증상, 그리고 이들의 해독법(解毒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권에는 두창에서 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