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허적” 에 대한 검색결과 6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7)

사전(220)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라의 태학사로, 신라왕의 사위인 소문과 몽연공주의 사돈이다. 소유지를 며느리로 삼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허견의 아버지이다. 퇴조하는 길에 염시탁의 됨됨이를 보고 겸인으로 삼는다. 시탁이 병에 걸려 누워 있자 직접 찾아가 병문안을 하고 위로하며, 허름한 시탁의 집을 고쳐 준다. 이때 시탁 옆에 있던 귀신은 의 출현이 무서워 도망간다. 시탁이우연히 주은 돈의 주인을 찾...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63-1641) 1563(명종 18)∼1641(인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 중 의 글씨.
    이칭별칭 자하(子賀)| 수색(水色)|양릉군(陽陵君)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10(광해군 2)∼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의 글씨. 교지 ...
    이칭별칭 여차(汝車)| 묵재(默齋), 휴옹(休翁)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131 인물 () 1610 168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차(汝車), 호는 묵재(默齋), 휴옹(休翁). 1633년(인조11) 사마시에 합격하고, 1637년 정시문과에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07)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二上垈里 7 第七統統首卜 第一戶 營工匠卜年伍拾柒甲辰本김海父松正祖夏田曾祖栗男外祖朴江尙 本密陽率人女김召史年伍拾陸乙巳等丁酉戶口相准 第二戶 寡林召史年肆拾伍丙辰本羅州父東伊祖古沙曾祖前平外祖鄭己...
    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二上垈里
  • 69522 B06952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5年 7月 02日_002 ○又啓曰, 以等狀啓覆啓, 旣已判付, 答書今方撰出矣,但念前日下敎之意, 實非偶然, 將以觀其所答而處之也, 而失三思, 不卽宣言於相接之時, 乃以己見, 譯傳於藤倭之所, 不思, 甚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308 B050308 덕포 德浦 군사교통 肅宗實錄 四年(1678) 九月 숙종실록_10409028_002 ○引見大臣、備局諸臣。 領議政請於江華賊船可泊處, 築土城; 地勢沮洳處, 則築烟臺, 而先遣重臣, 審視形勢, 然後定議。” 上從之。 積又言: “府內宮城, 不可不築。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261 B050261 덕포 德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顯宗 10年 4月 23日_013 ... 。 上曰, 淸南北, 武才孰優。 曰, 淸南似優矣。 鄭知和曰, 淸北人騎蒭, 雖不能多中, 馬才則優於淸南矣。 曰, 緣[江]邊人物, 慣於馳逐, 故雖不習射, 而善於馳馬矣。 鄭太...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665 B013665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元年(1675) 四月 숙종실록_10104017_001 ○乙巳 / 往江都啓言, 喬桐均是保障之地, 請與江都, 一體試才, 從之。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4)

  • 뱀의 원귀(怨鬼)로 죽음을 당한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계속했다.*
    조사일시1982-07-23 | 조사장소충청북도 영동군 영동 | 제보자박종철
  • 뱀의 정기를 받고 태어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어른들한테 들으신 이야기를 해주세요.”라고 청하자, 제보자는, “들은 것보다도 제가 역사학에 취미를 가져서, 그래서 그 역사에 대한 거대한 일화가 있는데….”라고 말하면서 다음 설화를 구연해 주었다. *
    조사일시1983-05-23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진홍
  • 허미수의 지네 퇴치와 의 출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평양 감사에 대한 얘기가 많던데, 감사 이야기를 좀 해주시죠. 또 혹시 인조 반정 때 이야기라든가…” 라고 하자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설화를 구연해 주었다. *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엄기복
  • : 서먹서먹 하셨겠어요.] 그럼 면회도 안오는거죠 후방에 있어도. 부산에, 부산에 존어맹이 살아서이 그 존어 맹네 살고 해도 부산에는 안온거죠 면회. 󰡒게 이제 아 6.25라 그래 부산에 근무하고 있는디. 아 면회라도 있어줌서 하난.󰡓 면회 간거죠. 게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7일

기초학문(1)

  • 인터넷 비지니스모델의 특격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44150 한국연구재단 세창출판사 2002 인터넷 비지니스모델의 특격성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5)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경뎐을거한즉 일본 텬황폐게셔 군함척을 령솔고 항복한 아국뎨독네보갓도씨에야 아국황뎨게 젼한졍형을보고고 사상과 사로잡힌쟝죨을 셩라얏 그쟝교들이 셰아 귀국을 특허셧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花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쳔 북셩포긔디를 영인 셩필림씨가 득하고 셩의집을 훼쳘하는일노 동 셩들이 외부에 호소하는고로 인쳔감리의게 뎐칙하야 포 득 문부를 조하야 보하엿는 젼화도진에셔 인허문젹이잇다더라
    게재일1902년 8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報請水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산항 슈도 부셜뎡계안에 법입된 쵸읍 동셩지곡에셔 슈되여 부각동에 농민등이 그물을여 농더니 졸디에 슈도 부셜야 그부근뎐토 무이 폐지디경인고로 부윤김교헌씨가 인민등의 쳥원을인야 탁지부에 보고기 디슈도 년월로 칠월지 농민△에맛겨 물...
    게재일1907년 5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校舍의承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립의법학교장 민영우씨가 학교 야학과를 졍동 보통학교에 셜을 학부에 쳥원지라 학부에셔 즉시 허시고 교장에게 공기를 그 보통학교를 로 건츅고 제반 물품을 몰슈히 신비얏스니 혹 물품이나 창벽을 파상 경우에 차급 인허 물시다 얏다러라
    게재일1907년 5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陰曆七△△七日에忠淸北道에在日本人[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陰曆七△△七日에忠淸北道에在日本人[增若弊組]庫間에儲藏얏던暴發藥等類何漢에게見失와百方으로探索와도該犯을逮捕치못왓더니沃川郡駐隊副校金漢榮氏와兵卒柳風俊兩氏의盡力을由야右見失物品을無難探索고兼야本郡守의厚意從야該物品을這這還推엿기로右諸氏의盡勞을聊謝코야廣...
    게재일1904년 9월 7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초 증손, 할아버지는 잠, 아버지는 한, 어머니는 김제의 딸이다. 1637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참판, 호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남인으로서 서인의 송시열 등과 가까

  • 허미수설화 / 許眉叟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허목(許穆)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에 속한다. 미수(眉叟)는 허목의 호이다. 허목은 남인에 속하는 인물로, 서인이던 송시열(宋時烈)과의 사이에 벌어진 예론(禮論) 관련 논쟁이 유명하다. 특히 허목은 ()과 함께 남인을 영도하여 송시열을 공격하

  • 윤유근 / 尹惟謹 [종교·철학/유학]

    1599(선조 32)∼1660(현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홍의이다. 1627년(인조 5) 진사시에 합격하여 공릉참봉이 되고 의금부도사·군자감판관·형조좌랑·호조좌랑 등을 거쳐 의성현감이 되었다. 이 무렵 등 남인들에 의하여 양민을 압박하여 노비로 삼

  • 기유의서 / 己酉擬書 [역사/조선시대사]

    1669년 윤선거가 송시열에게 보낸 문서. 기유년에 썼기 때문에 ‘기유의서’라 한다. 편지의 내용은 “남인 윤휴(尹鑴)와 ()을 참적(讒賊 : 남을 헐뜯는 나쁜 무리)이라 단정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으로 송시열의 남인에 대한 가혹한 처사를 충고한 서한이다.

  • 경신환국 / 庚申換局 [정치·법제/정치]

    남인의 영수인 영의정 이 할아버지 잠(潛)의 시호를 맞이하는 잔칫날에 벌어진 이른바 유악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