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허응당집”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은 모두 빼어난 문장이다. 서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승려 보우의 문집. 3권 1...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종 때의 승려 보우의 시문집
    정의명종 때의 승려 보우의 시문집 | 문광부표기Heoeungdang jip | MR표기Hŏŭngdang ch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창하여 선과 교를 다른 것으로 보고 있던 당시의 불교관을 바로잡았고, 일정설(一正說)을 정리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저서로는 『()』 3권, 『나암잡저(懶庵雜著)』 1권,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水月道場空花...
    이칭별칭 허응(虛應), 나암(懶庵)
  • 나암잡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돋보이는 뛰어난 작품이다. 유정은 발문에서 “대사의 단장(短章)ㆍ장편이 금석(金石)에서 나오는 소리와 같다.”고 찬양하였고, 일본인 다카하시(高橋亨)도 그 해제에서 극구 찬양하였다. 『()』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보우(普雨) 저, 태균(太均) 편, 영인본, 천리대학연구소, 1959, 2권 2책. 구성은 해제, 권상-하, 나암잡저(懶庵雜著)이다. 허응당 보우의 시, 법어 등을 실은 문집, 발문 뒷면에 부록으로 '나엄잡저(28장)'이 있고,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