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허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3)
사전(109)
- 허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역 연행록선집Ⅰ』(민족문화추진회, 1976) 『한국한문학사』(이가원, 민중서관, 1976) 허봉(1551-1588) 1551(명종 6)∼1588(선조 21). 조선...이칭별칭 미숙(美叔)| 하곡(荷谷)
- 許篈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450 許篈 시 贈眞上人詩, 東風, 花枝, 玉琯, 晴晝, 冰泉, 幽咽, 愁垂, 珠箔, 玲瓏, 蕙帷, 惆悵, 宿香, 洞裏, 仙人, 鶴駕, 三珠樹, 瓊樓, 五夜鐘, 簷鐸, 王孫, 芳草, 高山流水曲, 閨情, 艷體, 贈僧 瀟湘 碧雲 J_...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허봉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봉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군인‧정치인. [내용] 김일성(金日成)과 함께 만주에서 항일빨치산 활동을 한 혁명1세대이다. 소련 하바로프스크 지역으로 월경(越境)한 이후 1942년 동북항일연군 교도려(敎導旅, 소련 붉은군대 제88특별저격여단) 제3영 제5...
- 허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3(선조 16)∼1625(인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종지(宗之). 증이조참판 한(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상감사 엽(曄)이고, 아버지는 홍문관전한 봉(篈)이며, 어머니는 이우빈(李禹賓)의...이칭별칭 종지(宗之)
단행본(1)
- 韩国语 口语敎程 中級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허봉자, 김성미, 박문자, 최유학...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제1과 한국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나요 제2과 영화 속으로 여행을 떠나 볼까요? 제3과소비를 줄이는 지혜 제4과 광고를 즐기고 있나요? 제5과 누구의 팬이세요? 제
고서·고문서(209)
- 7 第七統統首許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89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四路東里 7 第七統統首許鳳 第一戶 黃山道驛吏許鳳年陸拾貳戊申本金海父驛吏仁己祖驛吏允國曾祖驛吏碩奉外祖李成春本慶州妻尹姓年陸 拾貳戊申本坡平父萬天祖爾民曾祖元哲外祖朴興達本慶州率子福守年貳拾玖辛巳婦金召...연도_면이름178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路東里
- 10 第十統統首許鳳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71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71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三路下里 10 第十統統首許鳳伊 第一戶 黃山道仍甫驛吏許鳳伊年伍拾肆戊戌本金海父驛吏仁起祖驛吏允國曾祖驛吏碩奉外祖李成春本月城妻尹 召史年肆拾肆戊申本坡平父萬天祖以民曾祖不知外祖朴興達本月城率女召史年拾參...연도_면이름1771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路下里
- 장의식에서 한 허봉학동지의 추도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장의식에서 한 허봉학동지의 추도사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 1945년 11월 3702일 창간 ...대표표제어장의식에서 한 허봉학동지의 추도사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 도발, 사격, 살해, 정전협정, 민사행정경찰, 범죄
- 국조야적(國朝野籍)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明禮宮_경기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7625 18210_1234 奎18210 明禮宮 경기도 龍面 小串里 경기도 龍面 小串里 105 105결 허봉길(許奉吉) 허봉길(許奉吉)자료번호18210_1234 [奎1821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75)
- 許鋒(許鋒)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許鋒(許鋒) 서울 許鋒 許鋒 和泉町 129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소매 20.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許鋒(許鋒)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셩진부 거 허봉등이 부로뎐보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진부 거 허봉등이 부로뎐보기를 본군이민란을적근이후에 관가에셔 로 도임야 삼삭이되 일경셩이 장 안업더니 단쳔군에 피슈 한진직이가 복어 일와 엽젼 이만량으로 김병슈와 어경즁을 쥬어 치시기고 사을 본부 송하등디에 보여 셩진과 길쥬 합군...게재일1901년 5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해방일보_1951_030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서울시 해방일보사 한강 허봉규 습격조원 용감무쌍한 허봉규 습격조원들은 2월 16일 밤 적들이 발악적으로 쏘는 포탄의 빗발을 박차고 한강을 건너 적 종심을 뚫고 들어갔다. 삼엄한 놈들의 경계망을 뚫고 목적지까지 도달한 허봉규 동무는 적의 토...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1_0303_03
- 천지_1981_09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사랑과 령혼 허룡석 10 정령동지 문예문제를 담론 18 허봉남시첩에서 허봉남 24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1
- 함남인민보_1949_051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준, 전병린, 최용한, 최원, 태주혁, 허봉학, 홍영근, 김두봉, 오백룡 강상호 김창봉 김증동 김홍 김대섭 김기만 리재운 리승호 리활 리두찬 리익성 리근산 박우섭 박금철 박효삼 백학림 서철 석두관 심승섭 심태산 안빈 안영 왕련 장평산 전문섭 전창철 정학준 전병린...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7_01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9)
- 허봉;許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8856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44-1948) n.r. 4면 허봉;許俸 경기 31회 1944.12.23.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봉이;許鳳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94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9면 허봉이;許鳳伊 제10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봉상;許鳳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36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48면 허봉상;許鳳祥 1923년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봉상;許鳳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819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19면 허봉상;許鳳祥 제1회 1924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봉구;許琫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727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15면 - 허봉구;許琫九 소화15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중앙민족대학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춘선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 2008 | 국외 | 해외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
-
허봉 / 許篈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588(선조 21).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엽이다. 난설헌의 오빠이자 균의 형이다. 유희춘의 문인이다. 1572년(선조 5)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리, 창원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하곡집』·『하곡수어』가 있다. 편서로『해동야언』·『이
-
하곡시초 / 荷谷詩鈔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인 허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7년에 간행한 시문집. 1707년(숙종 33) 허봉의 증손 허지(許墀)가 편집하고 허사규(許士奎)가 교감하여 간행하였다. 원래 허봉의 동생 허균(許筠)이 1605년(선조 38) 간행하였으나 유실되어 새로이 종가(宗家)와
-
허난설헌 / 許蘭雪軒 [종교·철학/유학]
1563(명종 18)∼1589(선조 22). 조선 전기의 여류시인. 아버지는 허엽, 오빠는 허봉, 남동생은 허균이다. 허엽이 첫 부인 청주 한씨에게서 허성과 두 딸을 낳고 사별한 뒤에 김광철의 딸과 혼인해 허봉·허초희·허균 3남매를 두었다. 국한문가사로는「규원가」와「
-
해동야언 / 海東野言 [언론·출판]
저자 허봉(1551-1588). 필사본. 5권 2책. 각 책의 표제는 '해동야언 건', '해동야언 곤'이라고 쓰여 있다. 각각 66면 33장, 132면 6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동야언>은 본래 태조기부터 명종기까지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민본은 태조기부터
-
백대붕 / 白大鵬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위항시인(委巷詩人). 천인의 신분으로 시를 잘 지어 이름을 날렸다. 언제 출생하였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유희경(劉希慶)·정치(鄭致)와 함께 노닐었다는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을 보거나 허봉(許篈)·심희수(沈希洙) 등과 더불어 터놓고 사귀었다는 『학산초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