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허백정집” 에 대한 검색결과 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

사전(62)

단행본(1)

고서·고문서(6)

  • 虛白亭文集序(1611) 1 전라도관찰사 愚伏鄭經世(1563~1633)가 쓴 문집의 서문. 연산군의 폭정에 直言을 올리는 등 文行이 일치하여 백년 뒤에도 글을 보면 그 기상이 눈앞에 우뚝이 있는 듯하다. 저자의 外玄孫崔挺豪의 노력으로 문집이 간행되게 되었다. 卷1 詩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유삼일포기(遊三日浦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흰 학 네 마리가 북쪽 물안개 위를 빙빙 돌며 날다가 길게 울음소리를 내며 날아갔다. 배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기이하다고 여겼다. 호수 안의 풍경이 모두 새겨진 시 새겨진 시 : 󰡔󰡕 권1에 나오는 홍귀달의 「차고성삼일포운(次高城三日浦韻)」이라는 시를 말한다...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홍여하(洪汝河)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팔경소기(八景小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虛白堂), 본관은 부계이다. 좌참찬・경기도 관찰사를 지냈다. 저술로 󰡔()󰡕이 있다. 의 시 “천년 뒤에 다시 우리들이 와서, 여섯 글자를 보니 아직도 선명하네.[千載復吾人, 六字看猶明]” 천년……선명하네 : 󰡔󰡕 권1의 「차고성삼일포운(...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남한조(南漢朝)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금강록(遊金剛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지냈으며, 저술로 󰡔()󰡕이 있다. 선생이 기록한 것이다. 홍귀달……것이다. : 홍귀달이 삼일포에 대해 읊은 시는 󰡔󰡕 권1에 「고성 삼일포 시에 차운하다.[次高城三日浦韻]」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昔聞三日浦, 今上四仙亭. 水拍白銀盤, 山...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원(李黿)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금강산록(遊金剛山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천되었으며 중중반정 후 신원되었다. 저술로 󰡔󰡕이 있다. 이 만든 것이다. 배를 옮겨 사선정(四仙亭)에 정박하였다. 사선정은 겨우 두어 칸인데 띠 풀로 지붕을 덮었다. 안자정이 말하기를 “옛날에 사선이 여기에서 노닐었기 때문에 정자를 얽어놓고 그대로 이름을...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유운룡(柳雲龍)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홍귀달의문집. 목판본, 서:정경세(1611), 발:최정호(1611), 3권3책. 1611년(광해군 3) 외현손 최정호가 현손호의 가장초고본을 정리하고, 전라도관찰사 정경세의 서문을 받아 임소에서 3권 3책의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권1에는 시 313제 429수가 실려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