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허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3)
사전(338)
- 허목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상공[이원익]의 문관(門館)에 출입하여 빈소선생의 존재를 알게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宗實錄 肅宗實錄 記言 星湖文集 許穆의 學問과 思想(金吉煥, 韓國學報 18, 1980) 허목 초상 조선중기 대표적 학자이자 문신인 미수 허목의 초상. 생시진상이 아닌 8...이칭별칭 문보(文甫), 화보(和甫)| 미수(眉?)| 문정(文正)
- 허목부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향낭의 혼인 잔치에 하객으로 참석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목수고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허목이 자필로 쓴 책. [내용] 3종 12책. 보물 제59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수고본들의 종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동해비첩(東海碑帖) : 재료는 저지(楮紙), 장정은 첩장(帖裝), 필사본으로 총연계항목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
- 곽세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18(광해군 10)∼1686(숙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내용]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공가(公可), 호는 무위자(无爲子). 허목(許穆)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무예를 익혔으나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였고, 허목에...이칭별칭 공가(公可)| 무위자(无爲子)
고서·고문서(93)
- 허목(許穆)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600년대 허목(許穆) 시(詩)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00년대에 허목(許穆)이 지어서 유희춘(柳希春)의 증손인 유익청(柳益淸)에게 준 시를 유복삼이 전사한 것이다. 오언절구 시는 허목이 곡성 석곡에 있는 능파정(凌波亭)에 와서 지은 시로 보이므로 165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허목의 친필 시는 종가에 두었...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11 第十一統統首許穆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二城南里 11 第十一統統首許穆 第一戶 幼學許穆年伍拾陸戊申本김海父學生敦祖崇祿大夫行平薪鎭水軍僉節制 使圭曾祖贈嘉義大夫漢城左尹五衛都摠府副摠管寬外祖學生김應和本慶 州妻安氏年伍拾參辛亥本順興父學...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二城南里
- 조선시대 한글편지:1595~1682년 허목이 조카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1595~1682년 허목이 조카에게 보낸 편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허목언간 허목 미상 1595~1682년 미상 http://archive.aks.ac.kr/letter/letterViewIframe.aspx?dataUCI=G002+...발신자허목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기언(記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기초학문(2)
- 許穆 篆刻의 美學的 接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현숙, 게재일 : 201554317 김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許穆 篆刻의 美學的 接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7세기 후반~18세기 초 허목 계열 남인 문단의 산문론- 동시기 김창협 계열 산문론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0501745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5 17세기 후반~18세기 초 허목 계열 남인 문단의 산문론- 동시기 김창협 계열 산문론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7)
- 咸礦自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소관 함흥명동 금광을 리쥬영씨에게 인허건으로 통감부에셔 의졍부로 죠회야 그인허목젹을 물시라고 무수상지더니 궁부금광규측이 반포됨 리쥬영씨의 금광굴권이 연물시된지라 졍부에셔 통감부로 죠회야 명동금광도 귀폐지을 셩명엿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근위_1951_0909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월 9일 164 조선인민군 제655군부대 정치부 허목 우박 치듯 퍼붓는 적탄에 유일한 방조자이였든 위생병도 부상을 입었다. 조 동무는 단 혼자서 부상자의 구급처치를 하여 부상자를 업어내고 또 업어낸 환자는 다시 단가를 조직하여 후송을 보장하였다. 그는...대표표제어근위_1951_0909_01 | 날짜1951년 9월 9일
- 근위_1951_091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월 10일 165 조선인민군 제655군부대 정치부 허목 121군부대 1중대, 조선로동당 8월 28일 121군부대 1중대는 1178.5고지(대우산) 공격 전투 임무를 접수하였을 □ 초급선동원 리창복 동무는 정치부 중대장에게 “나는 지금까지 년령이 부...대표표제어근위_1951_0910_01 | 날짜1951년 9월 10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115호 척주동해비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금지이유 및 개요 본 비문은 이조(李朝)현종(18대, 지금으로부터 300년 전)때 허목(미수(眉叟))라는 사람이 강원도 삼척(三陟)을 지키고 있었을 때 이 비문을 세우고 해일을 막았다고 하는 유명한 ‘퇴조(退潮)비’문이다. 예로부터 그 비문의 영이(靈異)한 전서(篆書...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5호 척주동해비문 | 출판물명척주동해비문(陟州東海碑文)
- 송화강_2009_2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태초의 갈망 95 선로 차에 앉아서 외 1수 허목진 96 배고픈 사람은 밥만 생각한다 한설 97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9
기타자료(3)
- 허목;許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20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65면 허목;許沐 황해도 안악군 서촌면 신장리 본과 제9회 193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목렬;許穆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035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8면 허목렬;許穆烈 제13회 1946년 2월 1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국교육의 맥15) 미수 허목과 미천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15) 미수 허목과 미천서원 (한국교육의 맥15) 미수 허목과 미천서원 (한국교육의 맥15) 眉叟 許穆과 眉泉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만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전각(篆刻) 예술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성인근 | 경기대학교 | 202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46)
-
허목 / 許穆 [종교·철학/유학]
1595-1682. 조선 현종, 숙종대 유학자. 정구, 장현광으로부터 배웠고, 기호지방에서 퇴계학파를 계승했다. 예학에 밝았다. 제1차 예송 때 좌천되었다가 제2차 예송 때 복권되었다. 송시열에 대한 처벌문제도 탁남파와 대립되어 강경파인 청남파의 영수가 되었다. 말
-
허목설화 / 許穆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숙종 때의 문신·학자인 미수 허목에 관한 설화. 1은 허목의 도술이 강조되는 설화이다. 2는 허목의 선견지명이 강조된다. 3과 4는 반대당 당수와의 갈등을 제재로 하고 있다. 1과 2는 도술과 선견지명, 보통사람이 보지 못하는 이면의 진실까지 보아내는 이인적 면
-
허미수설화 / 許眉叟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허목(許穆)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에 속한다. 미수(眉叟)는 허목의 호이다. 허목은 남인에 속하는 인물로, 서인이던 송시열(宋時烈)과의 사이에 벌어진 예론(禮論) 관련 논쟁이 유명하다. 특히 허목은 허적(許積)과 함께 남인을 영도하여 송시열을 공격하
-
석포재서원 / 石浦齋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창평리 내내골에 있었던 서원. 1719년(숙종 4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허목(許穆)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된
-
회원서원 / 檜原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에 있었던 서원. 1634년(인조 1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와 허목(許穆)의 도덕과 학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