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허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53)
- 허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허적의 서자로, 역모를 일으키다 발각이 되어 죽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허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인이 세력을 잡자 이 사건이 무옥(誣獄)임을 주장하여 허적 등 처벌을 당한 자들이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버림.)되었으나, 허견과 복선군은 비록 목전에서 반역하지는 않았지만, 불순한 마음을 품고 있었다는 이유로 신원되지 않았다. ...
- 근대신어 : 허킨스(許見士)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6148 허킨스 하항 許見士 釜山驗貨英國人許見士 부산 험화 영국인 허킨스 釜山驗貨英國人許見士 부산 험화(심사위원, 조사관) 영국인 허킨스 國內各稅務司 漢城旬報 7 博文局 1883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강성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전관 겸 내승직(宣傳官兼內乘直)을 거쳐 오위도총부도사가 되었는데, 1679년 허견(許堅)등 남인의 모함으로 제주판관에 좌천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제거되자, 훈련원정이 되어 돌아온 뒤 여러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68...
- 이진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금께 아뢰어 그의 조부인 복평군 인의 관작(官爵)을 다시 복구시켰다. 복평군은 1680년 경신대출척 때 남인 허견(許堅) 등의 추대를 받아 역모를 한다는 무고를 받고, 복선군(福善君)ㆍ복창군(福昌君)과 함께 역모죄로 유배, 사사되었었다. 1763년...이칭별칭 심여(心汝)
고서·고문서(65)
- 추안급국안 : 경신년(1680, 숙종 6) 역적 허견(許堅)‧이남(李柟) 신문기록(상)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334 008 庚申年 逆堅柟推案上 경신년(1680, 숙종 6) 역적 허견(許堅)‧이남(李柟) 신문기록(상) ○ 정원로와 강만철이 반역을 고발하다 庚申四月初五日 告者鄭元老姜萬鐵等上變書臣鄭元老段與許堅丙 辰年爲始相與交遊情意頗厚爲白如乎上年正月間許堅 與李台瑞相會於...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680년 경신환국의 발단이 되었던 고변 과정에 참여하였던 공신들을 녹훈한 기록을 담고 있는 의궤이다. 당시 영의정 허적의 서자였던 허견 및 복선군 이남에 대한 고변이 발생하여 이들에 대한 토역이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담고 있다. 본 의궤는 경신년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順川郡守尹弘烈, 安山郡守鄭允協, 昨日辭朝, 姑未發行之意, 敢啓。 傳曰, 聞都憲所奏, 其涉駭然, 下敎而卽席聞左相所奏, 曾已定式。 果然大臣則皆許見, 若此其遲滯, 勢固然矣, 皆安徐。 今此守令於來來皆畢見, 赴任事, 申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施, 令本州, 狀聞變通, 而啓聞之際, 自當稽久, 故不得不來訴云。 濟州災荒孔劇, 朝家別樣軫念, 自前內奴婢貢膳, 如此之時, 皆許蠲免, 而今年獨未蒙減, 宜有稱冤之端。 今亦一體蠲減, 何如? 上曰, 未及深思, 偶然見漏矣。 竝爲一體蠲減, 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施, 令本州, 狀聞變通, 而啓聞之際, 自當稽久, 故不得不來訴云。 濟州災荒孔劇, 朝家別樣軫念, 自前內奴婢貢膳, 如此之時, 皆許蠲免, 而今年獨未蒙減, 宜有稱冤之端。 今亦一體蠲減, 何如? 上曰, 未及深思, 偶然見漏矣。 竝爲一體蠲減, 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韓國密使許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 츅육젼보를거즉 한국밀의 도착 것을 미국사들이 쥬목바이나 당장에셩공치못줄노 각고 다만대통령은 밀의 폐현기를 인허얏다고 모신문에 게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문학과예술_1987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2 기사 하나 더 있음. 파일분절요망. 욕설과 야유를 삼가하자, 인진영, 82쪽. 사랑이란 이상야릇해 허견 작, 리창우 역 83 신녀성과 심리륜곽-<사랑이란 이상야릇...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7
기타자료(1)
- 허건행;許健行;허본건행;許本健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8074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14면 허건행;許健行;허본건행;許本健行 晉陽;경남 진양군 지수면 승내리 본과제20회 19...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허견 / 許堅 [종교·철학/유학]
을 기화로 하여, 그가 역모를 꾀한다고 종척인 김석주 등으로부터 고변당하였다. 허견과 복선군은 목전에서 반역하지는 않았지만, 신원되지 않았다.
-
허목설화 / 許穆說話 [문학/구비문학]
모가 두드러진다. 2와 3은 허목이 겪은 당대의 현실적 사건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허적의 서자 허견은 실제로 반역을 저질렀고 송시열과의 적대적 관계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1과 3은 도술을 부리고 의약에 이인적 식견을 갖고 있는 모습이 부각된다. 이것은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