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향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
사전(51)
- 향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우리말을 차자로 완전히 기록할 수 있었던 표기법이다. [내용] 향찰이라는 용어는 ≪균여전 均如傳≫에 실린 최행귀(崔行歸)의 역시(譯詩) 서문에 나타난 것으로 향찰을 당문(唐文, 漢文)에 대립되는 뜻으로 사...
- 향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라 때,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은 표기법정의신라 때,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은 표기법 | 문광부표기hyangchal | MR표기hyangch’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설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는 이 방법은 향가 표기법인 향찰(鄕札)을 가리키는 것인데, 우리말로 육경을 읽는 데 능통했다고 해서 이것을 이두 또는 향찰의 고안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향가 표기식 방법, 즉 향찰은 설총 이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568년(진흥왕 29)에 북한산...이칭별칭 총지(聰智)| 홍유(弘儒)
- 여요전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편은 한자를 이용한 향찰식표기(鄕札式表記) 노래이거나 한문과 향찰식표기 혼용으로 된 노래이다. 이 책이 저술될 때만 하여도 한글로 정착된 고려가요를 전승한 문헌은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실린 13편에 불과하였다. 그리하여 이 13편에 향찰식표기체 3편을 추...
- 도이장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내용]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 ≪평산신씨장절공유사 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 그 제작동기에 관한
고서·고문서(5)
- 洪川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五味子茯苓當歸蓁艽人蔘前胡白芨白膠香獺膽猯油獵兔頭土産鐵産縣東四十五里末乙里 馬巖驛二連峰泉甘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지 못하고 힘없이 누워있다. ○권응인(權應仁)이 와서 말하기를, “영산(靈山)에 사는 맹인이 매우 영험해서 앞으로 일어날 일을 점칠 수 있다고 합니다” 라고 했다. 성주(星州)에서 가요(歌謠) 가요(歌謠) : 시가의 한 형태, 구송성‧음악성을 갖는다. 삼국시대의 鄕札로...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석독구결 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의 표기라는 근본적인 한계는 여전히 지니고 있었지만, 석독구결은 이두나 향찰에 비해 한국어의 어휘와 문법 현상의 표기가 훨씬 더 풍부하게 이루어졌고 자료의 양도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석독구결 자료의 해독은 14세기 이전에 사용된 한국어의...대표표제어〈석독구결 사전〉 해제 | 편저자 황선엽, 이전경, 하귀녀, 이용, 박진호, 김성주, 장경준, 서민욱, 이지영, 서형국 | 권수 1책
- 王安石【荆國文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不必盡數以對韶既畔安石亦以安石言上之 仁宗朝韓富二公爲相凡言聞邊者皆不納熙寧初公執政始有開邊之議王韶者罷新安簿遊邊得其説遂上開河湟之䇿公以爲奇謀乃有熙河之役獨岷州白石大潭秦州屬縣有賦税其餘無㪷粟尺布惟【晁以道論配享劄】仰陜西州郡朝廷帑藏供給故自開熙河以來陜西民日困朝廷財用益耗初唃厮囉分處諸子於熙河洮...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歷代兵要 卷第四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俱下此爲長江之險已與我 共之矣而勢力衆寡又不可論愚謂大討不 如迎之魯肅獨不言權起更依肅追於宇下 (屋四岳爲宇)權知其意執肅手曰鄕欲何言肅曰 向察衆人之議專欲誤將軍不足與圖大事 今肅可迎操耳如將軍不可也何以言之今 肅迎操操當以肅還付鄕黨品其名位猶不 失下曺從事(下曺從事諸曺從事之最下者)乘犢車(犢...서명歷代兵要 | 저자정인지(鄭麟趾)‧유효통(兪孝通)‧이석형(李石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1)
- 훌륭한 선생님 쭈반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향찰 같은 거.] 향찰 같은, 비슷한. [조사자1: 한문을 활용해서 베트남 말을 기록할 수 있게 하는 쯔놈이라는 기호체계를 만들었네요?] 아, 그거 만든 거 아니라. 글은, 그 문자를 이용해서 그, 한문을 많이 번역해서 가르치는 그, 선생님. 그리고. [조사자1: 한문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멀티미디어(60)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구결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구결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구결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구결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생성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인도에서 유래해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된 불교가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창조된 다양한 불교 어문학의 세계를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4가지의 주제를 다룹니다. 1) 한국어의 발달과 한글 창제 2) 향찰 표기와 구결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기타자료(2)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德 日月所炤 共被深仁 臣地隔蓬壺 天慈洽遠 鄕䏅華夏 睿澤單幽 伏覩瓊文 跪披玉匣 含九霄之雨露 帶五彩之 鵷鸞 辨惠靈禽 素蒼兩妙 或稱長安之樂 或傳聖主之恩 羅錦彩章·金銀寶鈿 見之者爛目 聞之者驚心 原其獻款之功 實繇先祖 錫此非嘗[常]之寵 延及未孫 微效若塵 重恩如岳 循涯揣分 何以上酬...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伏惟陛下 執象開元 聖文神武 應千齡之昌運 致萬物之嘉祥 風雲所通 咸承至德 日月所炤 共被深仁 臣地隔蓬壺 天慈洽遠 鄕䏅華夏 睿澤單幽 伏覩瓊文 跪披玉匣 含九霄之雨露 帶五彩之 鵷鸞 辨惠靈禽 素蒼兩妙 或稱長安之樂 或傳聖主之恩 羅錦彩章·金銀寶鈿 見之者爛目 聞之者驚心 原其獻款之功 實繇...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주제어사전(12)
-
향찰 / 鄕札 [언어/언어/문자]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우리말을 차자로 완전히 기록할 수 있었던 표기법이다. 향찰이라는 용어는 ≪균여전 均如傳≫에 실린 최행귀(崔行歸)의 역시(譯詩) 서문에 나타난 것으로 향찰을 당문(唐文, 漢文)에 대립되는 뜻으로 사용하였는데, 향가(鄕歌)의 문장과 같은
-
도이장가 / 悼二將歌 [문학/고전시가]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 『평산신씨장절공유사 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 그 제작동기에 관한 소상한 기록과 함께 작품이 전한다. 창작
-
말음첨기법 / 末音添記法 [언어/언어/문자]
향찰·구결·이두에서 우리말 단어의 끝 음절이나 끝 자음을 부기하는 한자 차자표기법. 말음첨기는 첨기된 대상에 따라 ‘음절말 자음 첨기’와 ‘어말 음절 첨기’로 구별된다. 즉, ‘夜音, 雲音, 唯, 入, 只火乙’에 나타난 첨기자는 음절말 자음 첨기가 반영된 것
-
향가 / 鄕歌 [문학/고전시가]
향찰로 표기된 정형시가. 신라시대로부터 고려 전기까지 창작되었으며, 도솔가(兜率歌)와 사뇌가(詞腦歌)도 포함한다.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 나라 고유의 시가를 지칭하기도 하며, 신라가요·신라시가라고도 부른다.
-
구결체이두 / 口訣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광의의 이두의 관점에서 구결을 이르는 말. 한자의 음(音)과 훈(訓,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을 차자표기라 하는데, 차자표기에는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