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향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6)
- 향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향절은 동황(同黃)으로 칠한 자루 위에 철우리를 달고 두석철로 만든 편전(片錢) 12개를 그 위에 두어소리가 울리도록 한다. 편전에는 천하태평(天下太平)이라는 글귀가 있다. 황색 비단으로 그 위를 감싸고 운봉 문양을 그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고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빼어난 사람을 비유하는 말. 또는 상대방에 대한 존칭. 頃因鄕姪入京 得聞高標來坐 守報恩席上 而叔平校理亦與焉, 심희수(沈喜壽), 45-23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이역죽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의 영향으로 조선 후기에 연작 단형시를 통해서 영사(詠史)를 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었다. 한말 박규수(朴珪壽)의 <봉소여향절구일백수 鳳韶餘響絶句一百首>는 그 일례이다. 조선 후기에 해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공간인식이 확대되었다. 그러한 인식의 변화가...
- 충렬실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명(旌忠壇碑銘)‧전성극적비명(全城郤敵碑銘)‧정충단사우중수비명(旌忠壇祠宇重修碑銘)이 있다. 이 밖에 시‧제문‧충민창렬양사동서사열위도(忠愍彰烈兩祠東西祠列位圖)‧예조완문(禮曹完文)‧충민창렬양사조향절목(忠愍彰烈兩祠助享節目)‧사적간록기(事蹟刊錄記)가 수록되어 있다. ...
- 절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납향절식(臘享節食)으로 끝을 맺는다. 정월 초하루의 절식과 초여름의 유두절식, 초가을의 중추절식, 섣달의 납향절식은 조상숭배의 사조 아래 행하는 천신(薦新; 새로 나는 물건을 먼저 신위에 올리는 일)의 뜻이 강하고, 중화절식‧단오절식‧중추절식 등은 기풍과 추수감...
고서·고문서(39)
- "自由(자유)갈망 내고향절반땅에 왔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自由(자유)갈망 내고향절반땅에 왔다" 대한민국(남한) 국방홍보원 기타(신문)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국방일보』: 1964년 11월 1174...대표표제어"自由(자유)갈망 내고향절반땅에 왔다" | 저작권자국방홍보원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한, 북괴, 망명, 귀순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박통사(上)_ 도다나디 아니리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박통사 151 1517_번역박통사(上) 도다나디 아니리라 1517번역박통사(상)52a.jpg 도다나디 아니리라 손개여 모욕탕애 모욕라 가져 내 새로 온 향이 탕 갑시 언메나 동 몰래라 내 너려 닐오마 탕 갑시 다 낫 돈이오 등 민 두 낫 돈...편명1517_번역박통사(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346 B00534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1年 閏6月 29日_014 ○又以備邊司言啓曰, 各道元還上及軍餉捧未捧, 先爲上來者, 前已覆啓, 而慶尙·全羅·忠淸·黃海·江原·京畿·江都狀啓, 今始畢到矣。 京畿·江原·兩道軍餉畢捧, 全羅道則元還上及軍餉準捧, 而江都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石邨卽傳 比乍阻信 戀鬱叵耐 卽因□南諸君去來聞客音 甚慰甚慰而況一依耶 更問省況一依耶 旋不勝念菀 吾初九日 發往華陽 與咸悅及諸會儒 約定廟享節次 滯雨留連 十八日到靑許 參先祖妣祀事發還 憊苶苦甚 自憐自憐 而阿婦以泄痢見苦 令人悶惱中 廚婢忽逃走 可謂失手足也 此亦時節所使也 憤歎姑捨 目...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경릉일기(景陵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903년(광무 7) 11월 15일 명헌태후의 사망시점부터 1906년(광무 10) 1월 20일 3년상을 마치고 종묘에 신주를 모시기까지 국상(國喪) 기간동안 행해졌던 능의 조성과정, 국상에 쓰인 각종 소요 물품 내역, 제향절차 등을 날짜순으로 기록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2)
-
향절 / 響節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향절은 동황으로 칠한 자루 위에 철우리를 달고 두석철로 만든 편전 12개를 그 위에 두어 소리가 울리도록 한다. 편전에는 천하태평이라는 글귀가 있다. 황색 비단으로 그 위를 감싸고 운봉 문양을 그린다. 향절의 정은 나무로
-
이역죽지사 / 異域竹枝詞 [문학/한문학]
다. 한말 박규수(朴珪壽)의 「봉소여향절구일백수 鳳韶餘響絶句一百首」는 그 일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