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향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9)
- 향온(香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온 향온 香醞 어용주(御用酒) 찹쌀, 멥쌀, 누룩 향온주(香醞酒), 내국법온(內局法醞) 사온서(司醞署), 내의원(內醫院), 주방내관(酒房內官), 진상(進上), 선온(宣醞) 왕실왕실문화 음식 대한민국 ...상위어어용주(御用酒) | 하위어찹쌀, 멥쌀, 누룩 | 동의어향온주(香醞酒), 내국법온(內局法醞) | 관련어사온서(司醞署), 내의원(內醫院), 주방내관(酒房內官), 진상(進上), 선온(宣醞)
- 향온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멥쌀과 찹쌀로 빚은 맑은 술(淸酒). [내용] 조선시대 문헌인 『고사촬요(攷事撮要)』‧『규곤시의방(閨壺是議方)』에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누룩 만드는 법이 특이한 것이 특징이다. 제조법은 『규곤시의방』에서는 "밀을 갈아 체질하지...연계항목향온주(香온酒)
- 향온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통 민속주의 하나. [내용]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9호. 향온주는 멥쌀과 찹쌀로 빚는 약주의 일종으로 조선시대 문헌인 ≪고사촬요 攷事撮要≫‧≪음식디미방≫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누룩은 밀과 녹두를 섞어 만들며, 술...
- 백자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만들어 찐 다음, 여기에 잣 끓인 물을 섞어 골고루 저어 식힌 뒤, 누룩가루 석되를 섞어 항아리에 담아놓고 술이 익은 뒤에 사용한다.”고 하였다. 한편, 『요록』에서는 백미 한말에 잣 한되를 누룩가루와 섞어 찧어서 술을 빚는데 방법은 향온주(香醞酒)와 같다고 하...
- 소간(小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소간(小簡)이라고 하는데, 메모적 성격의 글이나 물목을 적은 단자 또는 조목의 성격을 가진다. [용례] 內出御書小簡 一 名日進上晝物別晝物及常供豆湯駝駱 竝全除 一 香醞非懿旨 勿進 [『성종실록』 12년 7월 13일]관련어편지(便紙), 단자(單子)
고서·고문서(19)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01 B002601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祖實錄 元年(1455) 十二月 세조실록_10112019_002 ○奉安《文宗實錄》于(寶錄閣)〔實錄閣〕, 賜修撰官宴于議政府, 命都承旨朴元亨、左副承旨成三問賜宣醞, 又命承傳宦官田畇, 賜香醞、獐鹿、柑橘等物曰: “今送犀角杯, 予所嘗御...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693 B013693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十七年(1691) 八月 숙종실록_11708008_003 ○上特遣中官于江都, 慰諭築城將士, 賜香醞六十甁, 其他賜賚甚厚。 仍令江華留守宣諭曰: “可信可恤, 非士卒乎? 無事則環衛, 有警則前驅, 休戚與共, 而今此版築之役,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民以爲洗冤之雨。 十一月, 以雷電雨雹, 命疏決中外獄囚。 給三南木花田災, 減宣惠廳大同收米, 十二月, 右議政宋時烈, 免。 庚戌十一年夏, 大旱。 五月, 連霜, 七月, 風霜。 八月, 以歲凶, 命量減各殿香醞米。 運江都米三萬石, 使之發賣于京中。 以全羅監司狀啓, 劃給戶曹案付鹽盆布二十...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皇明蹇義楊士奇等謝於萬壽節賜喜雨詩,宣內醞以宴勉,以共亮天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九齡獻千秋之錄,誠雖切於祝禧。 稚圭慰三農之情,才敢擬於贊化。 何圖宣賜之寵, 仍紆渙發之音。 奎章煌煌,旣分黃封之味。 宸衷懇懇,勉助玄縡之功。 蓋平日求助之誠,常戒宴逸。 故令節同樂之日,猶勉亮工。 拚寶墨而一唱三歎, 捧香醞而交酬百拜。 鼇山火樹,奚但千秋之盛儀。 魚水金華,別是...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彤弓之什 鶴鳴(학명)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3:10:1 鶴之聞天、聞野, 聲聞遠達也; 魚之或淵、或渚, 隱見有時也. “樂彼之園”, 吾得其所, 樂焉而忘世也. “有樹”爲句, 言有樹而其樹爲檀. “檀”者, 香蘊不洩, 葉茂成蔭, 比之人能自守不屈者也. 以下文“石”、“玉”推之, “蘀”、“穀”與“檀”性氣形色迥別非類...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2)
-
향온 / 香醞 [생활/식생활]
연회에 사용된 술. 찐 찹쌀과 멥쌀에 보리와 녹두가루로 만든 누룩가루를 섞어 만든 술이다. 내국법온이라고도하며 멥쌀 10말, 찹쌀 1말, 더운물, 보리와 녹두로 만든 누룩가루 1말 5되, 엿기름 1되를 재료로 하여 만든 술이다. 찐 찹쌀과 멥쌀에 더운물을 부어 오래
-
잠포온천 / 潛浦溫泉 [지리/인문지리]
산이 둘러싸고 있다. 전면에는 어랑천 계류가 폭포를 이루면서 흘러내린다. 어랑읍에서 서쪽으로 48㎞ 떨어진 곳이다. 어랑천을 따라 7㎞쯤 내려가면 돌수온천이 있고, 10㎞쯤 내려가면 팔향온천이 있다. 이 지대의 1월 평균기온은 -10℃, 7월 평균기온은 19.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