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향약집성방” 에 대한 검색결과 1,3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07)

사전(2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런데 세종은 우리 나라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는 우리 나라 풍토에 적합하고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병과 약에 대한 의토성(宜土性)을 강조하여 의약 제민(濟民)에 대한 자주적 방책을 세우고자 향약방을 종합수집한 ≪≫을 편집하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3년 왕명에 의해 편찬된 향약에 관한 의방서(醫方書).
    정의1433년 왕명에 의해 편찬된 향약에 관한 의방서(醫方書).[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Hyangyak jipseongbang | MR표기Hyangyak chipsŏng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T1_O_0004 新增 의학서 最初療病之書, 新增, 鄕藥, 本草, 炮製法 我東, 國朝 金烋, 權仲和, 趙浚, 兪孝通, 盧重禮, 權採 海東文獻錄, 新增, 鄕藥簡易方, , O_16_02_19 ...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6권 2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학서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유효통(兪孝通), 노중례( 盧重禮), 박윤덕(朴允德) 1433년(세종 15) 85권 ...
  • 권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행하도록 하였으며, 1435년에는 동부승지가 되고, 다음해 우부승지가 되었다. 1438년 유호통(兪好通)ㆍ노중례(盧重禮)ㆍ박윤덕(朴允德) 등과 함께 『신증(新增)』을 편찬, 간행했다. 그 해에 우승지가 되었으나 40세로 죽었다....
    이칭별칭 여서(汝鋤)

고서·고문서(1,049)

  • 第八十五 跋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跋 藥有君臣佐使古也而亦有以俗方單劑取 效尤速要之藥當其病而已我 國負山環 海産藥甚而甿俗朴陋不曉採取之法至 於 上國珍産又無由以致之世宗大王始命醫官攷正藥名撰輯方書名...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第一 序 序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02 序 自農黃而下代有醫官以掌萬民之疾而各醫之診病用藥皆隨氣施巧初非拘以一法蓋百里不同俗千里不同風草木之生各有所宜人之食飮嗜欲亦有所習此古昔聖人嘗百草之味順四方之性而治之者也惟我國天作一區據...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5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5권) 의약학 한의학 기초한의학 (5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편 일월서각 서울 1993 한의학; ...
    대표표제어향약집성방(5권)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한의학 | 소분류기초한의학
  • 第五十五 婦人食癥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婦人食癥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第五十五 婦人積年血癥塊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婦人積年血癥塊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1)

  • 조선 전기 鄕藥 정책과 『』의 편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수, 게재일 : 2015
    64556 김성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15 조선 전기 鄕藥 정책과 『』의 편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4)

  •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의가류(醫家類) 세종(世宗) 명편, 신연활자본, 행림서원, 1942, 85권 3책. 1433년에 여말선초의 향약류(鄕藥類)와 경험방류(經驗方類)를 모아 간행한 의서이다.

  • 구급이해방 / 救急易解方 [언어/언어/문자]

    , 내의(內醫) 김흥수(金興守) 등이 왕명에 따라서 찬집하고 이를 또한 언해하여, 1499년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 반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세종 때의 ≪ ≫과 ≪의방유취 醫方類聚≫는 너무 호한(浩瀚)하고 세조 때의 ≪구급방≫은 너무 간략하므로

  • 들깨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과학/식물]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에는 임자(荏子) 또는 수임자(水荏子)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학명은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이다. 높이는 60∼90㎝로 사각이 지며 곧게 자라고 긴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 의학 / 醫學 [과학/의약학]

    신과 함께 새로운 전문의방서들을 편성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도 세종대왕의 자주적 민족문화 건설의 일환으로 고려 중반기 경부터 시작해온 향약의 연구를 집대성하여 『』 85권을 편성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우리 나라에 이미 전해 온 한의방서들을 다시 각 부분에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