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향아설위”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이른바 향벽설위(向壁設位)의 부당성을 자각하여, 1897년 4월 5일 동학창도38주년기념식전에서 당시의 도제(道弟)들에게 “오늘의 향사는 를 함이 가하다.”라고 말하고 이 식을 단행함으로써 비롯되었다. ≪도종법경 道宗法經≫에 나타난 최시형의 ...
  • 천도교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신‧독공‧성인지덕화‧천도와 유불선‧오도지삼황‧개벽운수‧부화부순‧부인수도‧‧용시용활‧삼경‧천어‧이심치심‧이천식천‧양천주‧내칙‧내수도문‧십무천‧임사실천 10개조‧명심수덕‧수도‧삼재‧포덕‧오도지운‧강서‧강시 기타 시문 등이다. 제3세 교주 법설은 무체법경‧후...
  • 최시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개하였다. 일본군의 개입으로 1894년 12월 말 동학운동이 진압되자 피신생활을 하면서 포교에 진력을 다하였고, ()‧삼경설(三敬說)‧이심치심설(以心治心說)‧이천식천설(以天食天說)‧양천주설(養天主說) 등의 독특한 신앙관을 피력하였다. 1897년...
    이칭별칭 경오(敬悟)| 해월(海月)
  • 동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가 되고, 양천주로 한울과 사람이 하나가 된다고 설파하여, 선민들도 양천주하면 성인이나 군자가 된다고 하였다. 최시형의 ‘()’의 주장은 그의 ‘인즉천’사상의 극단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제사상을 놓을 때 신위를 향하여 향벽설위(向壁設位)하는 것이...
  • 천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례는 매주 일요일에 봉행되는 시일식(侍日式) 이외에도 교조의 득도와 승통기념일 및 운동기념일에 행하는 기념식이 있고, 개인 수행으로는 매일 밤 9시에 청수를 모시고 주문을 읽고 심고드리는 기도식이 있다. 각종 제례의식을 봉행할 때는 ()로 하는데...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천도교]

    '나를 향하여 신위(神位)를 베푼다'는 동학의 새로운 제법(祭法). 이 제사방법은 동학의 제2세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동학의 사상적극의(思想的極意)인 ‘시천주사상(侍天主思想)에 입각하여 종래 유교식 향사법(儒敎式享祀法)인 이른바 향벽설위(向壁設位)의 부당성을 자각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