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향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67)
사전(1,451)
- 통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지만, 특히 향리의 자제들은 아버지와 자신이 가까이하는 수령의 힘을 최대로 이용, 노비 등을 뇌물로 주어 신역을 면제받는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향리층과 같이 향역을 직접 면제받거나 특권을 누릴 수 있는 위치에 있지는 못한 듯하다. 한 예로 1449년...이칭별칭공생|연직
- 향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조선시대에, 한 고을에 대물림으로 내려오던 구실아치.정의고려‧조선시대에, 한 고을에 대물림으로 내려오던 구실아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hyangni | MR표기hyangn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鄕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315 鄕吏 관직 登第, 八使 皇朝 張鎰 勝覽 D_13_04_146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4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鄕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04 鄕吏 관직 戶長, 將校, 鄕職, 九品, 軍尹, 八品, 甫尹, 七品, 正朝, 六品, 侯尹, 五品, 正甫, 顯族, 羅將, 名存而實無 前朝 高麗太祖 J_03_01_04 지봉유설 3권 1장 4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3권 1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자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를 납부할 때에는 자문을 받게 되어 있다. 각종 부담금을 납부하는 일은 향리나 경저리(京邸吏)가 하였으며, 자문을 받아 지방관에게 올리게 된다. 자문으로서 현재 남아 있는 것은 많지 않으나, 그 시대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단행본(2)
- 19세기 지방재정 운영(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1)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저자 : 손병규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본서의 주제인 ‘19세기 지방재정’은 ‘다양한 근대’의 실상을 조선왕조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전개과정으로부터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집권적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경제활동은 민의 경제생활에 근거한다. 국가와 민 사이의 권력구도를 결정짓는 조선왕조적 재정의 ...
- 식민지기 거제군 거제면의 진양 하씨 가문과 이들의 문중 문서 [부산, 동부경남지역 고문서 자료의 수집, 정리와 <고문서 연구총서>의 출간 | 동아대학교]저자 : 이훈상... | 출판사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한국학연구소 | 출판일 : 2013.02.28분야역사 | 유형단행본Ⅰ. 머리말 Ⅱ. 거제도의 향리 사회와 하씨 가문 1. 조선후기 거제도의 향리사회와 근대 이후의 양상 2. 한말의 향리 후손들과 근대 교육 3. 식민지기 이후 향리 후손들의 행적과
고서·고문서(1,333)
- 鄕吏論 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260 鄕吏論 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鄕吏論 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270 鄕吏論 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鄕吏論 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280 鄕吏論 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향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고향리 유 남자 강원도 춘천시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안도현(安图县) 석문진 신풍4촌 2...대표표제어고향리 | 성씨유
- 망향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망향리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녕안현(宁安县) 발해조선족 문화관 6 4 망향리, 가사, 새벽...대표표제어망향리 | 성씨김
구술자료(2)
- 충청남도 청양군_얼카덩어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321 충남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_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아시매기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분향리 1988.3.29 素88-3-29②B 신영균과 그 형제 신영균(191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얼카덩어리 결합형 2. 잦은 얼카뎅이 멕받형식(선녹음지역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분향리 | 녹음날짜1988.3.2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 경북 규방가사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00:00), 독창, 임진왜란 당시에 지은것으로 추측됨, 가사(청산리 주재하사/ 순향리 거이시니/~/ 어후와 꽃잎네야/태산같이 높은 격되/~) 2) 해초가(조애양): (16:22), 제창, 읊조림. 가사(우리말좀 들어보소/ 우리말야 이팔청춘/~) B면 1) 곡명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가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애양
기초학문(15)
- 漢代鄕里統治之變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병준, 게재일 : 200448210 김병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四川省社會科學院 2004 漢代鄕里統治之變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조선후기 단성현 향리층의 분화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기중, 게재일 : 200413786 권기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4 조선후기 단성현 향리층의 분화양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단성호적에서 보이는 향리가계의 호구등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기중, 게재일 : 200508632 권기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 단성호적에서 보이는 향리가계의 호구등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1555471 이훈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5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조선후기 경상도 監營의 營房과 安東의 향리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0637105 이훈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조선후기 경상도 監營의 營房과 安東의 향리사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71)
- 放逐鄕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쳐분이 나리시기를 쥰발 공론에 가이 면관만지 못지라 면관 리용익을 시골로 치라 셧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도엿다가 향리로 방츅 민영긔씨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도엿다가 향리로 방츅 민영긔씨가 작일에 인쳔항으로 도박다고로 그집 문인들과 혹 대관이 영졉로 작일에 인쳔으로 나갓다더라게재일1900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향리로 방츅엿든 민경호 리필윤 죠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향리로 방츅엿든 민경호 리필윤 죠희영 리문구졔씨 방송이 되엿다더라게재일1900년 11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향리로 방츅엿든 리유인 리인영 쟝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향리로 방츅엿든 리유인 리인영 쟝봉환삼써 다 특방되엿다더라게재일1900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參人幷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방츅향리얏던 김영소 김셕구 현영운 삼씨 병위방송라신 죠칙이나리셧더라게재일1905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93)
- 교육위원회 소식 재일동포가 향리교에 성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위원회 소식 재일동포가 향리교에 성금 교육위원회 소식 재일동포가 향리교에 성금 교육 문헌 국제협력 재외국민교육 교육재정 유ㆍ초ㆍ중등...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제주 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교육위원회 소식 재일교포가 향리학교공사비 회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위원회 소식 재일교포가 향리학교공사비 회사 교육위원회 소식 재일교포가 향리학교공사비 회사 교육 문헌 국제협력 재외국민교육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충북 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조정근;趙正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418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6면 조정근;趙正槿 평양부 眞香里 88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우;金東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9128 남한 충남 충청남도사범학교 기념사진첩 n.r. 0 김동우;金東雨 홍성군 홍주면 조향리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작학성;雀鶴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8481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37면 작학성;雀鶴聲 평양부 履鄕里 45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8)
-
향리 / 鄕吏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관청에 속해 지방관의 명령에 따라 그 지역의 행정실무를 처리하던 하급 관인계층. 향리제도의 기본구조는 향리의 일반서무를 관장하는 사계열과 지방 주현군과 관련된 사병계열, 그리고 조세·공부의 사창계열로 구분.1018년(현종 9)에 지방제도 정비와 향
-
섭호장 / 攝戶長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향리로 각 관서에 소속된 관직. 각 군아에 소속된 향리로 호장직무를 겸임한 사람이다. 섭호장의 섭(攝)은 ‘겸(兼) 또는 가(假)’의 뜻이고, 호장은 향리의 수장을 가리키는데, 섭호장은 일종의 향리포상의 뜻으로 급첩된 것으로 생각된다. 향리급첩의 제도는 1
-
고성민란 / 固城民亂 [역사/근대사]
1869년 8월 경상도 고성에서 일어난 민란. 전 현령 윤석오(尹錫五)가 호적정리를 향리에게 일임하자, 향리들은 농간을 부려 호적이 문란해지므로 그에 대한 불만으로 민란이 일어났다.
-
색리 / 色吏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향리의 한 계층. 고려시대에 여러가지 잡무를 담당하는 ‘사’층을 색리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051년(문종 5)에 제정된〈향리승진규정표〉에 의하면, 호장층과 6방 향리층을 제외한 모든 향리는 색리층이다. 조선 초기의 색리층은 고려의 각종 ‘사’계
-
공명첩 / 空名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수취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은 백지 임명장. 관직·관작의 임명장인 공명고신첩, 양역의 면제를 인정하는 공명면역첩, 천인에게 천역을 면제하고 양인이 되는 것을 인정하는 공명면천첩, 향리에게 향리의 역을 면제해주는 공명면향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