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향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3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3)

사전(2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택이 있다. 내후력(耐朽力)이 강하고 방향이 있다. 에 비하여 줄기가 바로 서지 못하고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고 침엽과 인엽을 함께 가지는 나무는 뚝인데, 경기도 이천시와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흔히 난다. 눈는 눈상나무‧참라 부르기도...
  • 송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송화군 원당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44호. 는 원당리 마을 가운데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가 자라고 있는 곳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서 생긴 충적토이며 모래메흙으로서 비...
  • 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전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69호. 는 주렴동 마을 어귀에 있다. 주변에는 집들과 논벌이 있고 동쪽 멀지 않은 곳에 황주천이 흐르고 있다. 가 자라는 곳의 토양...
  • 청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금야군 청백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74호. 는 백안마을 북쪽산의 남쪽기슭 아래에서 자라고 있다. 동쪽은 바다이고 남쪽 아래는 백안부락이다. 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
  • 호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남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56호. 는 호남리 산기슭의 남쪽 아래에 있다. 북쪽과 서남쪽에는 산이 막혀있고 주변에는 소나무가 주로 자라고 있다. 가 자라는 토양...

고서·고문서(62)

  • (香木)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1576 물품 및 물품가 판결서 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香木)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민제12호 1909년 03월 15일 강화군수(江華郡守) 고청룡(高靑龍) 주사(主事) 장동식(張東植) 황용희(黃龍...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3월 1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어머니, 꽃들, 길량면, 백, 조선, 경치, 사랑, 조선의땅, 고향, 타국땅, 원망, 일본어, 기초, 일본어, 국어사전, 도움, 요구
    대표표제어아지미 | 성씨
  • 3930 P-SDK-03930-P-M-06-01 P-SDK-03930-P-M-06-01-1 P-SDK-03930-P-M-06-01-2 기생 한복을 입은 4명의 기생이 양옥집 마당에 있는 큰 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수줍음을 풍기...
    자료명기생 | 발행처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3931 P-SDK-03931-P-M-06-02 P-SDK-03931-P-M-06-02-1 P-SDK-03931-P-M-06-02-2 기생 한복을 입은 4명의 기생이 양옥집 마당에 있는 큰 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수줍음을 풍기...
    자료명기생 | 발행처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 지명인사, 련락, 붉은, 일본식, 3층집, 담벽, 그루, 우산모양, 나무, , 회춘약원, 간판, 공장, 부디, 공작, 순리, 축복, 신체건강, 축복, 외손자
    대표표제어편지 | 성씨

구술자료(1)

  • 맹방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11-09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일기

신문·잡지(6)

멀티미디어(2)

  • 15세기 중반 흰[白檀]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307_토공_15세기_중반_흰[白檀] 경제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붉은[紫檀]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붉은[紫檀]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03_토공_15세기_중반_붉은[紫檀] 경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2)

  •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35.丁香 정창원 고대물품 丁香 薬物, 향료 北倉 119 重1460 향료로, 말린 정의 꽃봉오리이다.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에 향료로...
    대표표제어35.丁香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다. 침향(沈香(?) 침향(枕香) : 약재로, 팥꽃나무과 침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된 수지가 뭉쳐진 것을 말한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기 때문에 침향이라고 하였고 ‘수침향(水沈香)’이라고도 한다. 태황(太黃) 태황(太黃) : 여뀟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약재로...
    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된 수지가 뭉쳐진 것을 말한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기 때문에 침향이라고 하였고 ‘수침향(水沈香)’이라고도 한다. [면 20근] 동오중완(銅五重鋺)[면 15근] 정자향(丁子香) 정자향(丁子香) : 정의 꽃봉오리로 만든 향료이다. [면□...
    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일본의 일치주지(日置酒持)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本 天平勝寶 4) 신라 일본→신라 【번역】 申請應買物事 [가물(價物)] 14 면(綿) 면(綿) : 목면이 아니라 누에 솜을 이른다. 650근(斤) 아홀(牙笏) 침향(沈香) 침향(枕香) : 약재로, 팥꽃나무과 침에서 자연적으...
    대표표제어일본의 일치주지(日置酒持)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다. [1근] 청태(靑胎)[1근] 침향(沈香)[80근] 침향(枕香) : 약재로, 팥꽃나무과 침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된 수지가 뭉쳐진 것을 말한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기 때문에 침향이라고 하였고 ‘수침향(水沈香)’이라고도 한다. 훈육(薰陸)[103근] 화...
    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주제어사전(21)

  • / ─香─ [과학/식물]

    측백나무과 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소교목. 함경북도와 평안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300m 지역에 분포한다. 뚝의 변종 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이다. 앉은라고도 한다. 학명은 Juniperus chinensis var. ho

  • / 香─ [과학/식물]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 상나무 또는 노송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한자명은 향목(香木)·백진(柏稹)·향백송(香柏松) 등 여러 가지가 있고, 회(檜)·회백(檜柏)으로도 쓰이나 한자명에는 동명이종(同名異種)의 경우가 흔히 있다. 학명은 Juniperus chin

  • 삼전 / 三田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전리에 있는 . 북한 천연기념물 제169호. 는 주렴동 마을 어귀에 있다. 주변에는 집들과 논벌이 있고 동쪽 멀지 않은 곳에 황주천이 흐르고 있다. 가 자라는 곳의 토양은 충적토이며 메흙이고 토심이 깊고 거름기가 많

  • 송화 / 松禾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송화군 원당리에 있는 . 북한 천연기념물 제144호. 는 원당리 마을 가운데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가 자라고 있는 곳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서 생긴 충적토이며 모래메흙으로서 비료분이 많고 토양수분은 보통이다. 연평균 기온은

  • 대성산뚝 / 大城山─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대성구역 대성동에 있는 뚝. 북한 천연기념물 제16호. 뚝는 북한 중앙식물원 식물박물관의 서북쪽 100m 지점에서 자라고 있다.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질메흙이며 토양수분은 적당하다. 나무는 1600년경 남포에 심었던 것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