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4,6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91)

사전(1,493)

  • 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지방를 관리하는 직원(直員). [내용] 지방문묘를 수호하는 한편, 지역사회의 윤리문화의 창달을 위하여 활동하는 의 책임자이다. 원래 는 지방의 학교로서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재관(齋官) 또는 재장(齋長)을 두어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들 향학을 곧 의 전신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인가는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1127년(인종 5)에 인종이 여러 주(州)에 학교를 세우도록 조서를 내렸고, 각 군현에 학교가 설립된 여러 사례들이 나타남을 감안할 때 이 시기를 의 성립기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와 조선시대의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
    정의고려와 조선시대의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yanggyo | MR표기hyangg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7_D_0059 교육 庠序, 五部學堂, 十室之邑, 文風 鄭圃隱 行蹟 D_16_03_02 대동운부군옥 16권 3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향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지방의 향청이나 등에서 실무를 맡았던 향임(鄕任). [내용] ‘향정’이라는 용어는 문헌에서는 찾기 어렵고, 향장(鄕長)이나 향약정(鄕約正)과 같은 비슷한 용례는 많이 보인다. 조선 초기 향규(鄕規)의 그것과는 달리

논문(1)

고서·고문서(2,573)

  • 영양(英陽) 전안(田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영양(英陽)가 소유하고 있는 전답(田畓)의 전반에 관한 것을 5단으로 나누어, 1단은 자호를 기재, 2단은 장광척, 3단은 결부수, 4단은 자호내 전답 필지의 양전방향과 토지등급 및 토지형태, 지목 등을, 5단은 사표(四標), 기주(起主), 진주(陳主) 등을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전답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현소장처영양 영양향교
  • 영양(英陽) 입약(立約)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문서는 英陽내에서의 규칙과 제향시 지켜야 할 예절에 관하여 규정한 것으로 이 立約을 만든 배경과 세부내용을 적고 있다. 이 규약이전에 이미 국가에서 정한 학규가 있지만, 이 학규를 실천하는 방법에는 사람마다 각기 다른 논리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옛 방식만을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1890년 영양(英陽) 집강안(執綱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집강안은 19세기 후반의 영양내 대표적인 사족들을 대부분 망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유생들은 모두 11개 성씨, 98명이며, 예외적으로 현감과 도사가 상유사를 맡기도 하였는데 이들 관료 6명을 포함하면 총 104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집강...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양 영양향교
  • 1720년 예안(禮安) 전답안(田畓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숙종46년(1720)에 작성된 예안 《경자전답안》이다. 속 표지에 ‘경자양 전답안’이라고 되어 있어 이 문서는 조선시대 마지막으로 실시된 숙종 말년인 경자년(1720)의 양전사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전답안임을 알 수 있다. 1720년 시행된 양전사업과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전답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현소장처안동 예안향교
  • 갑술년 예안(禮安) 전답안(田畓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문서 마지막 표지 이면에 ‘갑술전장시’라 되어 있어서 갑술(1754)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답안이다. 표지 다음 장에 도산당중에서 의 전직에게 보낸 ‘전직처’ 문기가 첨부되어 있다. 그리고 토지의 자번과 복수, 채주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것으로 이어...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전답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현소장처안동 예안향교

구술자료(21)

  • 밀양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9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 제보자손태규
  • 를 옮긴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12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상봉서동 | 제보자윤점세
  • 명당 의령 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길우씨가 황덕유 원님이 풍수지리에 능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고 있던 제보자가 역시 황덕유 원님의 풍수지리에 관한 이 설화를 구술했다. 남길우씨도 알고 있는 것인 듯한 반응을 보였다.*
    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송판용
  • 에서 쫓겨난 마귀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제보자가 자청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의식해서인지 이야기를 가급적이면 사실이라는 쪽으로 이끌어 가려고 노력했다. 이 이야기를 끝으로 오전 동안의 조사를 마쳤다.*
    조사일시1984-02-0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이재녕
  • 담양는 암탉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이 지역의 자랑거리가 있다면서 다음 이야기를 이어갔다. 조사가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계속 되 었는데, 제보자는 지친 기색이 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으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11.02.0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곡리 마을회관 | 제보자진용섭

기초학문(5)

  • 朝鮮後期 書院‧의 講學活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경용, 게재일 : 2005
    10480 김경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朝鮮後期 書院‧의 講學活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7세기 도산서원과 예안의 비교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2125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2 17세기 도산서원과 예안의 비교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濟州 所藏 조선후기 古文書 자료의 종류와 내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동전, 게재일 : 2008
    08357 김동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08 濟州 所藏 조선후기 古文書 자료의 종류와 내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朝鮮朝 濟州三邑 의 新創, 重創, 移建에 關한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진건, 게재일 : 2006
    18837 양진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朝鮮朝 濟州三邑 의 新創, 重創, 移建에 關한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강원 지역의 유교 문화와 지역성-?향약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세현, 게재일 : 2014
    18082 안세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강원 지역의 유교 문화와 지역성-?향약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30)

  • 請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쳘산군에 쥬 일본 슈비에셔 군를 차여라고 군슈의게 쳥구얏 군슈 소즁이달은것과달나 쳔이허락슈업다고학부로보고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의본의를 몰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외방에셔 립학교들을 셜시쟈 무슈나 경비를구획거슨 모다산잇자의게 보조금을쳥구야 몃원식 간신이구취야셜시나 반이나 학교창립비에셔지지안코 영원히 유지긔본금은되지못지라 혹엇던골에셔 군에 학교를셜시고 그에부속얏던위토를 학교에붓쳐
    게재일1906년 6월 9일 | 기사분류논설
  • 경향에 션들이 일노 존셩 소텽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향에 션들이 일노 존셩 소텽을 기로샤로 뎡고 작년 겨울 븟터 샹소도 엿고 근일에도 여일히 모혓 그 부비 각도 각군으로 통문 고 수젼 엿 스되 양 군 일이 만타   츙쳥도 공쥬셔 리복영 졔씨등이 그 일노 소쳥을 셜고 존셩 소를 ...
    게재일1898년 9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졍읍군 에모엿던 비류 이여명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읍군 에모엿던 비류 이여명은 츌쥬병뎡이 들어 가셔 그 괴슈 십칠명을 잡고 여당은 다산이 되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9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平安北道宣川郡居桂乃浩氏가新舊正之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平安北道宣川郡居桂乃浩氏가新舊正之任으로有時에新鄕人等이舊鄕座目으로升等事로賄賂를桂乃浩氏의게送려桂乃浩氏가不可을說明엿더니其後에御使李舜夏氏의게誣訴여同氏를捉囚本邑타가至於移囚於鉄山邑야至于今放送이못되고宣川郡守洪健氏下車以後에陽春이有脚야恩及四境은隣邑이所共知어늘...
    게재일1903년 5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8)

기타자료(60)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392)

  • / [교육/교육]

    고려와 조선시대의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 고려는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3경 12목을 비롯한 군현에 박사와 교수를 파견하여 생도를 교육, 이것이 향학의 시초이다. ≪경국대전≫에는 교수관을 교수(종6품)와 훈도(종9품)로 구분하고

  • 가산 / [교육/교육]

    평안북도 박천군(현재 운전군) 가산면 동문동 봉두산(鳳頭山) 기슭에 있는 .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노후한 건물을 이경린(李鏡麟) 등 지방유림의 공의로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

  • 가평 / 加平 [교육/교육]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에 있는 .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979년에 부속건물을 신축, 보수하고 1980년에 재실(齋室)을 신축함과 동시에 전체 건물을 보수하였다. 현존

  • 간성 / 杆城 [교육/교육]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에 있는 . 1420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다. 1546년에 군수 성헌(成軒)이 용연동에서 교동리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다. 그뒤 1640년에

  • 갑산 / 甲山 [교육/교육]

    함경남도 갑산군 갑산읍에 있는 .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유학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송조6현(宋朝六賢) 및 우리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