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향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고려가요
연구성과물(1,560)
사전(574)
- 영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원성왕 때의 승려. [내용] 천성이 익살스럽고 재물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향가(鄕歌)를 잘 하였다. 만년에 지리산으로 은거하러 가다가 대현령(大峴嶺)에 이르렀을 때 도둑 60여명을 만났다. 도둑들이 해치려 하자
- 융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 [내용] 향가의 작가로 유명하다. 진평왕 때에 거열랑(居烈郎)ㆍ실처랑(實處郎)ㆍ동보랑(同寶郎)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산(楓岳山 : 금강산)으로 여행하려고 하였다. 이때 혜성이 나타나 심(心),
- 십장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의 긴 잡가인 12잡가. [내용] 판소리 「춘향가」중에서 옥에 갇혀 있던 춘향에게 집장사령이 매질하는 대목의 사설을 경기 12잡가로 옮겨 부르는 노래이다. 춘향은 집장사령이 10대의 매질을 할 때마다 그 숫자에 맞는 말로...
- 김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날 판소리의 일반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의 「춘향가」는 김찬업(金贊業)ㆍ정응민(鄭應珉)을 통해 정권진(鄭權鎭)에게 이어지고 있다. 그는 특히「춘향가」를 잘 불렀고, 「춘향가」 중 ‘천자풀이’는 그 당시 누구도 따를 수 없었다. 그의 이론은 송만갑(宋萬甲)...
- 타향살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래, 즉 망향가처럼 불리었다. 그는 계속해서 손목인의 작품인「사막의 한(恨)」‧「짝사랑」‧「휘파람」등을 불러 1935년 이후 정상급 가수로 각광을 받았다. 고복수는 연하의 손목인을 일생동안 스승으로 모시는 정성과 예의를 잊지 않았다. 이 노래는 곡은 짧으나 가사...
단행본(1)
- 제2권: 한국 중세-근대 문학(한시, 향가, 가사, 신화, 이야기, 민요 및 소설) [카자흐스탄 한국문학(고려인문학 포함) 통합교재(교과서) 제작 및 문학 분야 전문인력 양성 |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저자 : 니 나탈리야, 정율리야 ... | 출판사 : 카자흐국립대 출판부 | 출판일 : 202303본 교재는 한국 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이곳에는 중세 시기부터 조선시대 시대 말기인 1894 년까지 한문으로 쓰여진 한국시 작품들이 포함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문으로 쓰여진 한시, 향가, 가사, 신화, 이야기, 그리고 백성들의 노래인 민요, 한글로...
고서·고문서(481)
- 소츈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374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소츈향가 [20] 츈향의 거동 보아라 오른손으로 일광을 가리오고 왼손 놉히 드러 뎌 건너 쥭림 뵌다 심어 어울고 솔 심어 졍자라 동편에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사향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4ㄱ 어와 반울 션간음신 음신: 음신(音信). 먼 곳에서 전하는 소식이나 편지. 반가울신긔고 황홀니 우리왕모 왕모: 왕모(王母). 편지 따위의 글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할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하 하: 하찰(下札). 하서(下書)....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소츈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0001 잡가 南薰太平歌 11001 白斗鏞 翰南書林 白斗鏞 金鉉秀 소츈향가 [1] 츈향의 거동보아라 오른손으로 일광을 가리고 왼손 놉히들어 져건너 쥭림뵌다 시미 울고 솔 시머 졍자라 동편에 연당이요 셔편에 우물이라 노방 시오후...구분잡가 | 편저자白斗鏞
- 小春香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441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小春香歌 [29] 春香의 擧動 보아라 오른손으로 日光을 가리으고 왼손 놉히 드러 져 건너 竹林 뷘다 대 심어 울하고 솔심어 亭子라 東便에 蓮堂이요 西便에 우물이라 路傍...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소춘향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164 잡가 천안삼거리흥타령 12049 1950 신태삼 세창서관 신태삼 二○○ 소춘향가 [112] 춘향의 거동 보아라 오른손으로 일광을 가리우고 왼손 높이 들어 저 건너 죽림뵌다 대 심어 울울하고 솔 심어 정자라 동편에 연당이요...구분잡가 | 편저자신태삼
구술자료(247)
- 춘향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7-2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 제보자양또순
- 사향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 | 제보자조두리
- 사향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5-3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 제보자조두리
- 춘향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종래 제보자가 자리를 떠나면서 오빠인 제보자에게 구연을 부탁했다. 제보자는 옛날에 어깨 너머로 배운 춘향전 한 대목을 해 보겠다며 구연 에 임했다. 이 노래는 춘향이 이도령과 이별하면서 부른 노래로 판소리창으로 애절하게 불렀다. 끝을 모른다며 어중간하게 끝을 내었...조사일시2011. 1. 20(목)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광도면 노산리 노산경로당 | 제보자조용민
- 춘향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의 특별한 요구는 하지 않았고, 제보자가 바로 불렀다. 가사를 한참 기억하다가 생각이 나자 바로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09.02.0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수여마을 | 제보자유휘자(여,72세)
기초학문(20)
- 향가 형식 재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재홍, 게재일 : 200104856 신재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01 향가 형식 재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d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오늘의 향가를 위한 철학적 과제 : 鄕歌能感動天地鬼神과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창원, 게재일 : 200408240 김창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4 오늘의 향가를 위한 철학적 과제 : 鄕歌能感動天地鬼神과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유형논문 | 게재일2004
- 鄕歌 文學의 呪術的 性格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8318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0 鄕歌 文學의 呪術的 性格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향가 보현십원가의 표현 양상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8097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13 향가 보현십원가의 표현 양상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향가 작품의 시적 구조와 난해어구의 의미 범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성호경, 게재일 : 200108309 성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01 향가 작품의 시적 구조와 난해어구의 의미 범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61)
- 민세안재홍전집 : 「李朝文學」其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伊, 九雲夢, 謝氏南征記, 春香傳, 新羅鄕歌, 萬葉集, 하이네, 바이런, 톨스토이 B19380115삼천01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本人의子叅奉(容俊)이가年少沒覺야稱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子叅奉(容俊)이가年少沒覺야稱以遊覽外國고京鄕家舍文券과公州尙州全州금溝益山沃川六處에所在田畓文券을搜去얏스니內外國人間에右錄金叅奉容俊과相關치마시오 沃川 김命△ 白告게재일1905년 12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子叅奉(容俊)이가年少沒覺야稱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子叅奉(容俊)이가年少沒覺야稱以遊覽外國고京鄕家舍文券과公州尙州全州금溝益山沃川六處에所在田畓文券을搜去얏스니內外國人間에右記金叅奉容俊과相關치마시오 沃川 고게재일1905년 12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 황해로동신문_1947_0509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05 이영조 황해도 해주시 황해도로동신문사 영국, 런던, 분란, 이태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향가리 북조선통신, 로이터통신 (5일 북조선통신) 런던 1일발 로이터통신에 의하면 영국정부는 29일 야 분란 이태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향가리...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509_03 | 책임주필이영조
- 태서문예신보_1918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어 7쪽에 이어짐 유행가곡부-신춘향가 상사의 권 HM生 7 편즙여록 및 광고 6쪽, 8쪽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멀티미디어(170)
- 3) 불교문학과 관련된 한글 서사 문학 10) 한글 시가문학 1주차. 한국의 문자와 한국어 변천사 2주차. 향가와 향찰 3주차. 불경과 구결 4주차. 한글 창제와 불교 5주차. 언해불서 6주차. 불전서사 7주차. 한글 불교소설 8주차. 한글 불교가사 9주차. 근대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3) 불교문학과 관련된 한글 서사 문학 11) 한글 시가문학 1주차. 한국의 문자와 한국어 변천사 2주차. 향가와 향찰 3주차. 불경과 구결 4주차. 한글 창제와 불교 5주차. 언해불서 6주차. 불전서사 7주차. 한글 불교소설 8주차. 한글 불교가사 9주차. 근대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3) 불교문학과 관련된 한글 서사 문학 12) 한글 시가문학 1주차. 한국의 문자와 한국어 변천사 2주차. 향가와 향찰 3주차. 불경과 구결 4주차. 한글 창제와 불교 5주차. 언해불서 6주차. 불전서사 7주차. 한글 불교소설 8주차. 한글 불교가사 9주차. 근대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3) 불교문학과 관련된 한글 서사 문학 13) 한글 시가문학 1주차. 한국의 문자와 한국어 변천사 2주차. 향가와 향찰 3주차. 불경과 구결 4주차. 한글 창제와 불교 5주차. 언해불서 6주차. 불전서사 7주차. 한글 불교소설 8주차. 한글 불교가사 9주차. 근대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 3) 불교문학과 관련된 한글 서사 문학 14) 한글 시가문학 1주차. 한국의 문자와 한국어 변천사 2주차. 향가와 향찰 3주차. 불경과 구결 4주차. 한글 창제와 불교 5주차. 언해불서 6주차. 불전서사 7주차. 한글 불교소설 8주차. 한글 불교가사 9주차. 근대강좌제목문자와 한글 | 강의자김종진 황선엽 정우영 김승호
기타자료(6)
- 존문발해객사 등이 발해 사신이 가지고온 계첩 상자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例之由問答狀 及記錄安守等向加賀國途中消息 馳驛奏上 (『日本三代實錄』 21 淸和紀) 【원문】 四月十三日壬子 存問渤海客使 少外記大春日安守等開大使楊成規所 賚啓牒函 詰問違例之由 問答狀及記錄安守等向加賀國途中消息 馳驛奏上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대표표제어존문발해객사 등이 발해 사신이 가지고온 계첩 상자를 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 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을 향해 나아갔다. (「禰寔進 墓誌銘」: 中國歷史地理論叢 2006-2) 【원문】 公器宇深沉 幹略宏遠 虛弦落雁 挺劍飛猨 夙稟貞規 早表義節 占風異域 就日長安 이 뒤의 사적에 대해서는 “式奉文㮰 爰陪武帳 腰鞬玤鶡 䊸紫懷黃 駈十影於香街 翊九旗於綺禁 豈与夫日磾之輩由余之儔...대표표제어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0년(庚申/신라 태종무열왕 7/고구려 보장왕 19/백제 의자왕 20/唐 顯慶 5/倭 齊明 6)
- 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으로 태양을 향해 나아갔다. (「禰寔進 墓誌銘」: 『中國歷史地理論叢』 2006-2) 【원문】 公器宇深沉 幹略宏遠 虛弦落雁 挺劍飛猨 夙稟貞規 早表義節 占風異域 就日長安 이 뒤의 사적에 대해서는 “式奉文㮰 爰陪武帳 腰鞬玤鶡 䊸紫懷黃 駈十影於香街 翊九旗於綺禁 豈与夫日磾之輩由...대표표제어백제의 예식진이 당으로 이주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0년(庚申/신라 태종무열왕 7/고구려 보장왕 19/백제 의자왕 20/唐 高宗 顯慶 5/倭 齊明天皇 6)
- 존문발해객사 등이 발해 사신이 가지고온 계첩 상자를 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하국(加賀國)을 가는 도중의 소식을 기록한 것을 역마를 달려 아뢰었다.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 【원문】 (夏四月)十三日壬子 存問渤海客使少外記大春日朝臣安守等開大使楊成規所齎啓牒函 詰問違例之由問答狀 及記錄安守等向加賀國途中消息 馳驛奏上 (『日本三代實錄』 21...대표표제어존문발해객사 등이 발해 사신이 가지고온 계첩 상자를 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 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自向家門底 俄而有家裏來韓婦 用韓語言 以汝之根 入我根內 卽入家去 羽嶋便覺其意 隨後而入 於是 日羅迎來 把手使坐於座 密告之曰 僕竊聞之 百濟國主 奉疑天朝 奉遣臣後 留而弗還 所以 奉惜不肯奉進 宜宣勅時 現嚴猛色 催急召焉 羽嶋乃依其計 而召日羅 於是 百濟國主 怖畏天朝 不敢違勅 奉遣以...대표표제어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83년(癸卯/신라 진평왕 5/고구려 평원왕 25/백제 위덕왕 30/陳 至德 1/倭 敏達 12)
연구과제(1)
-
『申在孝 판소리 辭說集』 – 春香歌(男唱) & 春香歌(童唱)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변계원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5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60)
-
향가 / 鄕歌 [문학/고전시가]
향찰로 표기된 정형시가. 신라시대로부터 고려 전기까지 창작되었으며, 도솔가(兜率歌)와 사뇌가(詞腦歌)도 포함한다.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 나라 고유의 시가를 지칭하기도 하며, 신라가요·신라시가라고도 부른다.
-
남창춘향가 / 男唱春香歌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 「동창춘향가」와 짝을 이루도록 분화(分化)시킨 작품이다. 필사된 이본이 여러 개 전해 오지만 미세한 자구의 차이만 보여 주는 것들이다. 이 작품은 다른 「춘향전」·「춘향가」와 마찬가지로 춘향과 이 도령이 사랑을 성취해 나
-
동창춘향가 /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춘향가」. 「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와 짝을 이루는 작품이다. 필사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두본(星斗本)을 비롯하여 여러 이본이 전해 오지만, 미세한 부분의 차이만 보여 준다. 가람본에는 ‘童唱一云女唱(동창일운여창
-
만화본춘향가 / 晩華本春香歌 [문학/한문학]
1754년(영조 30) 유진한(柳振漢)이 지은 한시로 된 춘향가. 작자의 문집인 『만화집 晩華集』에 실려 있다. 원제목은 ‘가사 춘향가 이백구(歌詞春香歌二百句)’로 되어 있으나 보통 ‘만화본 춘향가’라 일컫는다. 판소리 「춘향가」를 직접 듣고 칠언장시(七言長詩)로 쓴
-
사향곡 / 思鄕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 2음보를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47구이며,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축을 이룬다. 작품에 나오는 “셰ᄎᆞ 경신니요”와 “규쟝각 대제학의 뉵경 ᄉᆞᆷ공 ᄉᆞ양ᄒᆞ고”라는 술회와, 낱말과 표기법 및 잘 다듬어진 형식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