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행장” 에 대한 검색결과 7,7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96)

사전(4,518)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관직에 나아가는 것과 물러나 은거하는 것. 『논어(論語)』 「술이(述而)」에, “등용되면 나아가 행하고 버려지면 물러나 은거한다(用之則行 舍之則藏)”는 구절에서 유래함. 適以自陷於大何 丈夫五十年 不能識 眞成崔德符之罪人矣 慙痛奈何, 정경세(鄭經世), 45-4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문 문체의 하나. 은 죽은 사람의 문생이나 친구, 옛날 동료, 아니면 그 아들이 죽은 사람의 세계(世系)‧성명‧자호‧관향(貫鄕)‧관작(官爵)‧생졸연월‧자손록 및 평생의 언행 등을 서술하여 후일 사관(史官)들이 역사를 편찬하는 사료 또는 죽은 사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통교무역자(通交貿易者)의 입국증명서. [내용] 본래 중국의 외이기미책(外夷羈縻策)에서 유래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문인(文引)‧노인(路引)이라 하였는데, 은 조선에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고려 중기부터 여진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체의 하나로, 사람이 죽은 뒤에 그의 행적을 적은 글.
    정의한문체의 하나로, 사람이 죽은 뒤에 그의 행적을 적은 글.[두산백과] | 문광부표기haengjang | MR표기haeng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3)

  • 정본 여유당전서 3-문집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4)祭文 (5)誄 (6)遺事 (7) (8)贊 (9)傳 (10)紀事 (11)偈 (12)喩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亨仲 柳眉岩日記, 宣廟朝 栗谷集, 經筵日記 有明朝鮮國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李公碣銘 朴訥齋 振威縣令林公碑銘 通訓大夫行韓山郡守柳公墓表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Ⅰ.《헌릉지》권1 1. 능침 2. 선원보략 3. 헌릉대왕 4. 신도비명 5. 비음기 6. 중건한 비석의 음기 7

고서·고문서(1,480)

구술자료(29)

  • 황보여사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를 거의 마치게 되자 제보자가 자기 집안에 훌륭한 분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하면서 시작한 것이다. *
    조사일시1982-08-07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 제보자김형효
  • 김덕령의 애첩 혜월과 소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바로 이어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1월 14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1번지 임실향교 | 제보자한준석
  • 이점례 할머니는 의성 원당이 고향으로 전쟁이 나자 고향에서 걸어서 대구까지 피난길을 떠났다. 피난 도중에 보고 듣고 한 경험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시집도 못 가보고 죽는 줄 알고 한탄했 다고 한다. 피난에서 돌아와 보니 집이 다 불타고 없어졌고, 마침 온전한 동
    조사지역경북 의성 | 조사일2014년 4월 28일
  • 박봉술 춘향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5): 휘모리 4) 춘향가 중 어사 대목(08:57) 5) 춘향가 중 농부가 대목(12:09): 중모리 \"~춘향의 설분을 식히리라소리 박봉술 북 김동준 pdf A-093.jpg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박봉술 춘향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45): 휘모리 4) 춘향가 중 어사 대목(08:57) 5) 춘향가 중 농부가 대목(12:09): 중모리 \"~춘향의 설분을 식히리라소리 박봉술 북 김동준 pdf A-093.jpg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준

기초학문(3)

  • 17~18세기 여성 대상 ‧묘지문에 나타난 여성어문생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하
    11572 이경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17~18세기 여성 대상 ‧묘지문에 나타난 여성어문생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9
    유형논문
  • 영남대본 『發心修』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우영, 게재일 : 2011
    24591 정우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소 2011 영남대본 『發心修』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무인비치(드론)의 가시권 밖 비행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무인비치 특별비행 기준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창규, 게재일 : 2018
    17560 이창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소 2018 무인비치(드론)의 가시권 밖 비행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무인비치 특별비행 기준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723)

  • 締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진회에춍를 파송야 작일졍부에 권고기를 북간도에 관장을셜치야 거류민을 관활케라 엿다데 졍부에셔 북간도건으로 관원을 아즉파송치 못것이 년젼에 북간도를 뎡계야 됴약을쳬결로 쳥국공에계 죠회엿더니 쳥공가 그졍부훈령을 등인야 죠복기를 동양국셰가...
    게재일1906년 5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免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항구에잇일인들이 미곡에 관셰 업시기를 열심으로 오 운동얏 필경 면셰가 되모양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公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북도관찰 리곤씨는 상소야 쳬임얏데 그  명명간 졍부회의에 명예잇쟈로 공쳔셔임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移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대신 리근씨 한셩병원에셔 지금지 치료즁인데 상팔이 아즉쾌히 낫지못다며 치료에편리기위야 교동집은 방고 한셩병원뒤 젼심의졍집을사셔반이기로 작뎡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懲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공쥬뎐보쥬 최죵악씨가 작년 쥬뎐보에 시무에 쳥국샹션의 어벌금 팔여원을 의쥬뎐보쥬 오경근씨와 함게수봉야 몰수히잠식고 지우금임푼도 외부에 샹납지아니고 금년에 어를 검찰여야 엽젼삼쳔량을 뇌물야 김남식셩명으로 훈령을 어더가지고 쥬연로 다닌...
    게재일1905년 6월 8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

  • 화성 반송리 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화성 반송리 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j3-0168_#1 유구 원색사진 2. 유적원경(①), 2호 측구부탄요 전경(②) j3-0168_1_2015-05-15_2675_원색사진 2. 유적원경(①), 2호 측구부탄요 전
    제목화성 반송리 행장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2명 고아 미국 입양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2명의 혼혈아동들이 미국의 입양가정으로 떠나기 위해 출국하는 내용의 영상. '해리 홀트'를 비롯한 인솔자들이 12명의 아동과 함께 비에 보여 기념사진을 촬영한 뒤 비행기에 탑승하였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6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저축의 날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박정희 대통령은 범국민저축운동 기간에 즈음하여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라는 담화를 발표했다. 이는 소비를 줄여 저축을 함으로써 산업기반을 마련하자는 내용으로서 적은 돈이라도 아껴서 저금을 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제2회 저축의 날 기념식에서는 국민은과 부산시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5년 9월 2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137)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2) 발심 수 (원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2) 발심 수 (원효)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2) 발심 수 (원효)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2) 發心 修 (元曉) 교육 문헌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은목 | 사료철명문교행정
  • 화성 반송리 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j3-0168 유구 j3-0168_1_2015-05-15_7160_華城 盤松里 골遺蹟.JPG 화성 반송리 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華城 盤松里 골遺蹟 : 東灘 宅地開發事業地區內 20地點 發掘調査報告書 2004 ...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기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 전명섭;全明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48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07면 전명섭;全明燮 朝鮮航空事業社 (京城 第2飛) 제15회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군사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비, 건설 치스차코프, 푸르소프, 샤닌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비...
    키워드비행장, 건설 | 대표주제어비행장 | 발신자치스차코프, 푸르소프, 샤닌
  • 단기4286년도 세출예산집행상황표-9월말현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단기4286년도 세출예산집행상황표-9월말현재 단기4286년도 세출예산집행상황표-9월말현재 檀紀4286年度 歲出豫算執況表-9月末現在 교육 문헌 교육재정 중앙교육재정...
    범주1교육재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876)

  • / [언론·출판/출판]

    사망한 자의 생전의 평생 이력과 업적을 기록한 글. 한 가문의 행적을 기록한 글을 가장(家狀)이라고 하여, 흔히 문집에는 ()과 가장(家狀)이 부록으로 첨부된다.

  • 선조 / 先朝 [언어/언어/문자]

    인조(仁祖)가 죽은 해인 1649년(인조 27)에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이 왕명을 받고 한문으로 지은 인조(仁祖)의 ()을 17세기 중엽에 언해한 책. 이 책에는 인조의 출생부터 승하(昇遐)까지 인조가 남긴 행적이 시간 순서대로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을

  • 영빈 / 暎嬪 [역사/조선시대사]

    정조가 직접 지은 할머니 영빈이씨(暎嬪李氏)의 . 이 글을 ≪홍재전서≫에서는 찾을 수 없는데, 영조를 "금상"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보아 세손 시절에 지은 듯하다.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도 영빈이 영조의 빈으로서 지켰던 부덕(婦德)을 매우 세세히 보여준다. 그 중에

  • 발심수 / 發心修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쓴 저서. 처음 출가하여 수행의 길에 들어선 승려들을 위하여 마련한 안내서이다. 성불을 이루기 위하여 초발심을 일으킨 자가 명심하여야 할 바를 706자의 사언절구로 표현하였다. 세월이 빨리 지나감을 말하고 젊어서 부지런히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발심수언해 / 發心修諺解 [언어/언어/문자]

    원효(元曉)의 『발심수(發心修)』을 언해한 책.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