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운판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
사전(66)
- 해운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판관으로 개칭, 이에 소속시키매 해운판관이 조운의 책임자가 되었다. 그러나 성종 때 세곡의 수납은 국가재정상 중대 업무라는 이유로 자신이 맡고 있는 도(道)의 관찰사로 하여금 직접 수납과 발선을 책임지도록 함으로써 해운판관은 폐지되었다. 그 뒤 조운의 중...
- 해운판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전함사(典艦司) 소속의 정5품 관직으로 충청도‧전라도의 조운 업무를 담당.정의조선시대 전함사(典艦司) 소속의 정5품 관직으로 충청도‧전라도의 조운 업무를 담당.[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haeun pan-gwan | MR표기haeun p’an’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해운판관(海運判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해운판관 해운판관 海運判官 전함사(典艦司) 도제조, 전함사 제조, 전함사 제검 영선(領船), 통령(統領), 천호(千戶) 전라도수참전운판관(水站轉運判官), 해운압령관(海運押領官) 조전경차관(漕轉敬差官), 조운체찰사(體察使), 삼도해운판관비...상위어전함사(典艦司) 도제조, 전함사 제조, 전함사 제검 | 하위어영선(領船), 통령(統領), 천호(千戶) | 동의어전라도수참전운판관(水站轉運判官), 해운압령관(海運押領官) | 관련어조전경차관(漕轉敬差官), 조운체찰사(體察使), 삼도해운판관비, 수운판관, 전함사(典艦司), 사수감(司水監), 사재감(司宰監), 사수색(司水色), 전운색(轉運色), 도전운사(都轉運使), 압령만호(押領萬戶), 전운(轉運), 조운(漕運), 조운선, 조선(漕船), 조졸(漕卒), 조군(漕軍), 삼조창(三漕倉), 임선제(賃船制), 공세곶[貢稅串]
- 영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산‧진도‧낙안‧광양‧화순‧남평(南平)‧동복(同福)‧흥양(興陽)‧무안‧능성(綾城)‧영암‧보성‧장흥‧해남 등 17읍의 세곡을 수납하였다가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해운판관(海運判官)이 세곡의 수납과 운송을 주관하였으며, 운송항로는 목포 앞바다에서 북상하여 전라도‧충...
- 이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원정언ㆍ해운판관(海運判官)ㆍ사헌부장령, 영평(永平)ㆍ문의(文義)의 현령, 통례원통례(通禮院通禮)ㆍ울산부사 등의 내외직을 역임하였고, 제원찰방(濟源察訪)ㆍ진주목사ㆍ풍기군수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경보(敬甫)
고서·고문서(67)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61 B210961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7年 2月 8日_002 ○海運判官呂曾齊, 漕運事, 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66 B210966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4年 6月 4日_006 ○海運判官韓震琦, 漕運事, 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68 B210968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7年 3月 25日_002 ○海運判官呂聖齊, 漕運後入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75 B210975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0年 10月 14日_014 ○海運判官李奎老, 漕運事出去。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77 B210977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7年 3月 25日_002 ○海運判官呂聖齊, 漕運後入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해운판관 / 海運判官 [정치·법제/법제·행정]
대전≫을 제정하면서 조운업무를 전함사가 주관하게 하고 예하에 전라도·충청도의 수참전운판관을 해운판관으로 개칭, 이에 소속시키매 해운판관이 조운의 책임자가 되었다.
-
송석조 / 宋碩祚 [종교·철학/유학]
원주서, 세자시강원설서, 대교, 이조좌랑, 해운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
전선색 / 典船色 [과학기술/과학기술]
운판관 1인을 두었다. 1465년 주함(舟艦)을 관장하는 전함사로 개편되었다.
-
권두기 / 權斗紀 [종교·철학/유학]
해운판관을 지냈다. 1707년 정언을 거쳐 지평이 되어, 시사를 논하다가 파직, 유배된 수찬 김세흠의 억울함을 상소, 왕의 노여움을 사 해남으로 귀양갔다. 1711년 유배에서 풀려나 다시 정언으로 복직되었다.
-
영산창 / 榮山倉 [경제·산업/경제]
17읍의 세곡을 수납하였다가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해운판관이 세곡의 수납과 운송을 주관하였으며, 운송항로는 목포 앞바다에서 북상하여 전라도·충청도 연해안을 지나, 경기도 연해안을 거슬러 경창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