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호랑이를 피하여 하늘로 올라간 남매가 각기 되었다는 설화. [개설] 동물담 중 유래담(由來譚)에 속하며, ‘일월전설(日月傳說)’‧‘수숫대가 빨간 이유’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내용] 옛날에...
    이칭별칭일월전설|수숫대가 빨간 이유
  • 신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담은 < 이야기>‧<남매의 결혼 이야기>와 같은 우주와 인류의 기원담과 <손톱을 함부로 버리면 못쓴다의 유래 이야기>와 같은 습속(習俗)의 기원담이 대부분이다. 변신담에는 동물이나 식물로서의 환생이계(還生異界)로의 탈신(脫身), 동물의 둔갑...
  • 일월놀이푸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런 점에서 민간에서 전승되던 흥미 있는 설화가 무가로 이입되어 개편 것으로 본다. 일월신에 대한 이 밖의 신화는 우리 나라에 없으며, 민담으로 전승되는 < >는 내용이 이와 전혀 다르다. 朝鮮巫覡의 神歌(孫晉泰, 孫晉泰...
  • 태양숭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때, 가령 고령지방의 이른바 ‘알터’ 암벽화에 새겨 넣어진 원형도형이 고구려 벽화의 사례에 준할 것인지 어떤지에 관하여 신중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구술민간전승 가운데서 널리 알려져 있는 동화 < >를 소재로 하여서 태양숭앙의...
  • 의정부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다 민담이 널리 전승되고 있다. 「 」‧「견묘쟁주(犬猫爭珠)」‧「여인국 제주도」‧「동자삼(童子蔘)」‧「보은설화(報恩說話)」 등의 민담과 소화(笑話)가 많다. 「의정부 지명유래전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 태조가 함흥으로부터 한양으로 환궁할...

구술자료(38)

  • 몽골 20171028_061_002_몽골_01_강투무르_KF_ 한국설화 2017. 10. 28(토) 오후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순천 기적의 도서관 강투무르(강부진) [몽골, 여, 1979년생, 결혼이주 10년차] 조사자 포함
    국가몽골 | 제보자강투무르(강부진) [몽골, 여, 1979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중국 20170921_002_011_중국A_01_리칭후아_F_ 민담 2017. 09. 21(수) 오전 서울시 마포구 신수동 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조사자 2인 김정은, 황승업 〈양산
    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중국(한국계) 20161207_002_004_중국B_03_김설화_F_ 민담 2016. 12. 07(수) 오후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조사자 2인 박현숙, 김현희 제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09. 2. 2(월)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2리 경로당 | 제보자박수월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경호 제보자 집에서 홍영자, 김산월 제보자가 함께 모여 이야기와 민요를 구연하였다. 청중으로는 조사자 네 명이 있었다. 먼저 민요를 한 마디씩 부른 뒤 돌아가며 이야기를 하기 시작하였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 구연 후 홍영자 제보자는 시집가기 전 유년시절...
    조사일시2009. 2. 1(일) | 조사장소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면온2리 998번지 한경호 자택 | 제보자홍영자

기초학문(4)

  • 설화 〈 〉 다시쓰기 양상과 서사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은상, 게재일 : 2014
    14929 조은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설화 〈 〉 다시쓰기 양상과 서사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를 활용한 메타글쓰기의 자기성찰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은상, 게재일 : 2015
    15122 조은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 〉를 활용한 메타글쓰기의 자기성찰 양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의 전승의 실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영, 게재일 : 2008
    23885 이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연구원 2008 〈 〉의 전승의 실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 설화의 전승의 동북아 지역 전승 양상과 그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영, 게재일 : 2009
    03784 이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 〉 설화의 전승의 동북아 지역 전승 양상과 그 특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3)

  • / [문학/구비문학]

    호랑이를 피하여 하늘로 올라간 남매가 각기 되었다는 설화. 각 편에 따라 삼 남매가 다 하늘로 올라가 각기 해·달·별이 되었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오빠가 누이와 싸우다 누이의 눈을 찔러서 결국 누이가 해가 되었다는 변이형도 있다. 그리고 달에

  • 일월놀이푸념 / 日月─ [문학/구비문학]

    가 베풀어지는데, 이 무가는 일월신제에서 구연되는 것이다. 민간에서 전승되던 흥미 있는 설화가 무가로 이입되어 개편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월신에 대한 이 밖의 신화는 우리나라에 없으며, 민담으로 전승되는 「 」는 내용이 이와 전혀 다르다.

  • 신이담 / [문학/구비문학]

    초인간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를 다룬 설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화나 전설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이 신이담은 다시 기원담(起源譚)·변신담(變身譚)·응보담(應報譚)·초인담(超人譚)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기원담은 「 이야기」·「남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