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심밀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24)
- 해심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라 승려의 주석서로는 신라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10권, 원효(元曉)의 소(疏), 경흥(憬興)의 소 5권, 영인(靈因)의 소 11권 등이 있다. 이 중 원효의 것은 서문만 남아 있고, 원측의 것은 제10권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전하며, 경흥...
- 해심밀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승 불교의 유식학파의 근본 경전정의대승 불교의 유식학파의 근본 경전 | 문광부표기Haesim milgyeong | MR표기Haesim mil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해심밀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의 승려 원측(圓測)이 ≪해심밀경≫을 주석한 책. [내용] 10권 5책. 목판본. 본래 10권으로 ≪속대장경 續大藏經≫ 권34에 수록되어 전해 오는 것인데, 그 중 제8권 머리 부분과 제10권 전부가 실전(失傳)되었다. 안영...
- 해심밀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元曉)가 『해심밀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내용] 고려 때 불경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그 책 이름이 보이며, 현재는 그 서문만이 남아 있는데, 『동문선』 제83권에 인용되어 있다. 먼저 간...
- 연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통교(三乘通敎)의 입장에서 볼 때는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경전과 『해심밀경(解深密經)』 등을 공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놓았다. 조선 중기의 고승 언기(彦機)는 부처가 성문을 위하여 사제(四諦)를 설하고 연각을 위하여 십이인연(十二因緣)을 설하고, 보살을...이칭별칭벽지불(?支佛)|독각(獨覺)
기초학문(4)
- 圓測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 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성두, 게재일 : 200923091 안성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9 圓測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 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9
- 圓測『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_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5912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9 圓測『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일체법상품」을 중심으로_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중국 유식학에서의 진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고찰 : 圓測의 〈解深密經疏〉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백진순, 게재일 : 201128875 백진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불교학연구회/불교학연구회 2011 중국 유식학에서의 진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고찰 : 圓測의 〈解深密經疏〉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제2시와 제3시 설법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인식의 특징―『해심밀경소』 티벳어역 속 신발굴자료에 대한 소개를 겸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규언, 게재일 : 201458599 장규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불교학연구회 2014 제2시와 제3시 설법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인식의 특징―『해심밀경소』 티벳어역 속 신발굴자료에 대한 소개를 겸해 https://www.krm.or.k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47)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1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유통서지 解深密經疏 10 令因撰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대표표제어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1 | 대표서명解深密經疏 | 한글서명해심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2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유통서지 解深密經疏 10 圓測 五百三十枚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대표표제어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2 | 대표서명解深密經疏 | 한글서명해심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3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유통서지 解深密經疏 10 玄範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대표표제어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3 | 대표서명解深密經疏 | 한글서명해심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4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유통서지 解深密經疏 元曉 上中下 八十一枚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대표표제어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4 | 대표서명解深密經疏 | 한글서명해심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5 解深密經疏 해심밀경소 유통서지 解深密經疏 10 圓測撰 九十 古聖教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대표표제어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5 | 대표서명解深密經疏 | 한글서명해심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1)
-
해심밀경 / 海深密經 [종교·철학/불교]
불교경전의 하나. 유식파의 근본경전으로서 8품에 나누어 유식의 깊은 뜻을 말한 경전이다. 성립연대는 3세기 전후로 추정되어 중기 대승경전에 속한다.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것과 구나발타라가 번역한 <상속해탈지바라밀료의>, 진제가 번역한 <해절경>, 보리류지가 번역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