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시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74)
- 해시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해의 움직임에 따라 시간을 측정하던 시계. [내용] 해시계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원초적인 시계이다. 원시시대에 나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던 것으로부터 점차 발달해 온 것이 여러 가지의 해시계였다. 어느 문명에서나 해시계는 석기...이칭별칭일구 | 연계항목해시계(해시계)
- 여주보통리해시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시계. [내용] 경기도 민속자료 제2호. 이 해시계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조식(彫飾)이 없고 수평면에 2자(二字) 정도의 명문(銘文)이 있는데, 심하게 마멸되어 판독이 불가능하다. 원래 해시...연계항목여주보통리해시계(驪州甫通里해시계)
- 정남일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에 있었던 해시계. [내용] 세종 때에는 앙부일구를 비롯한 여러 가지 해시계가 제작되었는데 그 중에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것의 하나로 유물은 전하지 않지만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상의 설명은 상세히 남아 있다. 이를
- 숭정9년명신법지평일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6년(인조 14)에 제조된 평면 해시계. [내용] 보물 제839호. 가로 120㎝, 세로 58㎝, 두께 15㎝의 흰 대리석에 시각선과 절기선을 그려 만든 이 평면 해시계에는 ‘新法地平日晷(신법지평일구)’라는 글자 이외에도 ‘崇禎九年...연계항목숭정9년명신법지평일구(崇禎9年銘新法地平日晷)
- 앙부일구(仰釜日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세종대에 만든 솥 모양의 오목해시계. [개설] 세종 때의 대표적인 해시계로 앙부일구(仰釜日晷)라는 이름은 반구형의 대접과 같은 모양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그 뜻을 쉽게 풀이하면 오목해시계이다. 마치 모양이 하늘을 우러르는[仰] 가마솥[釜] 같다...상위어일구(日晷) | 관련어시반면(時盤面), 앙의(仰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장영실(蔣英實)
고서·고문서(13)
- 동북면(東北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309 B077309 동북면 東北面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2 평안도 椘山 樓亭 映湖亭在南川岸三松亭在阿耳鎭城豆巖上肅邊樓建置高麗忠烈王四年始設豆木里萬戶本高句麗渤海時契丹女眞代有之地也後二年改號理州忠惠王後三年改椘山 本朝太宗二年以山羊會都乙漢烽火臺等伊彦等地合之復爲理州 十三年改理...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인천 축항의 모습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더라도 46시간 선박 출입이 자유로웠으며 이후 동양에서 유일한 이중갑문식 독은 인천항의 상징이 되었다. 조선, 인천, 명소, 명승, 풍경, 인천항, 항구, 선박, 해시계 일본어 황진 신동규 신동규 仁川築港の景, 仁川名所. 인천 축항의 모습, 인...자료명인천 축항의 모습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2 第二統統首梁孫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准 第五戶 김井玟故代子醫生基穆年參拾柒甲子本김海父井玟祖聲喆曾祖朝奉大夫行 通禮院引儀致龍外祖김天祚本김海侍繼母陳姓年肆拾柒甲寅妻朴姓年肆 拾貳己未本慶州父相昊祖始慶曾祖根嶽外祖都益九本星州弟性穆年拾柒甲申 子萬重年拾參戊子婢分伊年丁丑等丁酉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上里
- 38 第三十八統統首朴埰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燦年肆拾參庚子本密陽父學生師珪祖學生在淳曾 祖學生守根外祖學生김璉得本김海侍繼母李氏年陸拾癸未本驪 州妻李氏年參拾玖甲辰本慶州父學生在植祖學生之華曾祖學 生東振外祖學生劉東俊本江陵弟禮燦年貳拾伍戊午嫂김氏年貳 拾貳辛酉本慶州婢元烈年辛亥等己卯戶口相准 第三戶 幼學朴埰復年伍拾玖甲申本密陽父學生之晦...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四北洞里
- 7 第七統統首김珪濟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91년_청양면(靑良面) 1891년 청양면(靑良面) 第四豆旺里 7 第七統統首김珪濟 第一戶幼學김珪濟年肆拾玖癸卯本慶州父學生商?祖學生縡喜 曾祖學生魯貞外祖學生김之牧本김海侍繼母崔氏年伍拾壹辛 丑本慶州妻鄭氏年伍拾壹辛丑本東萊父學生孝曾祖學生師錫 曾祖學生大濟外祖學...연도_면이름1891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四豆旺里
신문·잡지(3)
- 문학시대_1966_0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여향 이흥우 69 환향 이재철 71 범종 고두동 74 해시계 김요섭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홍기_1976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등소평의 매판자산계급경제사상을 평함 고로, 상과 31 복벽과 후퇴를 위한 조례-공업발전을 가속화할데 대한 몇가지 문제에 관하여를 비판함 상해시계기본자재공장 공인리론소...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6
- 홍기_1975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사물발전의 계단성을 정확히 인식하자-모순론을 학습한 약간의 체득 고려 35 양보정책론의 유가를 숭상하고 법가를 반대한 본질을 적발폭로하자 상해시계부분품공장 3 차간...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5
주제어사전(4)
-
해시계 / ─時計 [과학/과학기술]
해의 움직임에 따라 시간을 측정하던 시계. 해시계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원초적인 시계이다. 원시시대에 나무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던 것으로부터 점차 발달해 온 것이 여러 가지의 해시계였다. 어느 문명에서나 해시계는 석기시대부터 나타나게 마련이다. 마당에 세운
-
규일고 / 揆日考 [과학/과학기술]
조선후기 천문학자 이상혁이 천체의 현상을 관측하는 법을 수록하여 1850년에 편찬한 천문서. 1권 1책. 목판본. 천체의 현상을 관측하는 법을 수록한 책으로 횡판(橫板)과 입판(立板)으로 된 해시계[晷表]와 태양의 여러 경위에서의 위치를 계산하는 법을 서술하였다. 장
-
앙부일구 / 仰釜日晷 [과학/과학기술]
1434년(세종 16)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 1434년(세종 16)에 제작되었다. 앙부일구의 제작자는 불분명하지만 “(세종이) 이순지(李純之)에게 명해 의상(儀象)을 교정(校正)하게 하니, 곧 지금의 간의(簡儀)·규표(圭表)·대평(大平 또는 天平)·현
-
지평일구 / 地平日晷 [과학/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사용하던 수영면(受影面)이 수평적 평면을 이룬 해시계. 1789년(정조 13)에 감관(監官) 김영(金泳)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그 재료는 보통 대리석·오석(烏石) 등을 쓴다. 영침(影針)은 수영면에 수직이 되게 세워두기도 하고, 천구북극(天球北極)을 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