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방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6)
- 해방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경기‧황해‧충청도의 수군을 통할하기 위해 설치된 군영. [내용] 일명 해방영(海防營). 1883년(고종 20) 12월 5일 고종이 경기도 연해 지방 해방병포(海防兵砲)의 훈련을 통할시킬 목적으로 독판통상사무아문(督辦通商事務衙門...
- 근대신어 : 해방아문(海防衙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5694 해방아문 하항 海防衙門 海防衙門 해방아문 諭旨恭錄 漢城旬報 31 博文局 1884 7 1 9 행정, 국방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국방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연해방영 기연해방영 畿沿海防營 친군기연해방영(親軍畿沿海防營), 해방아문(海防衙門), 해방영(海防營) 기연해방사목(畿沿海防事目), 민영목(閔泳穆), 해방총관(海防總管)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의어친군기연해방영(親軍畿沿海防營), 해방아문(海防衙門), 해방영(海防營) | 관련어기연해방사목(畿沿海防事目), 민영목(閔泳穆), 해방총관(海防總管)
- 진무사(鎭撫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진무사 진무사 鎭撫使 강화진무사(江華鎭撫使) 강화유수(江華留守), 진무사겸삼도수군통어사(鎭撫使兼三道水軍統禦使), 진무영(鎭撫營), 포량미(砲糧米), 해방아문(海防衙門), 해방총관(海防總管) 정치행정/관직·관품 개념용어 대한...동의어강화진무사(江華鎭撫使) | 관련어강화유수(江華留守), 진무사겸삼도수군통어사(鎭撫使兼三道水軍統禦使), 진무영(鎭撫營), 포량미(砲糧米), 해방아문(海防衙門), 해방총관(海防總管)
- 남양진(南陽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나누어 각 2영씩 돌아가면서 훈련시켰다. 그런데 수원이 총리영으로 승격되어 빠진 뒤에는 3영을 돌아가면서 훈련시켰다. [변천] 1883년(고종 20)에 경기도 연해에 있던 해방병포(海防兵砲)의 훈련을 통할시킬 목적으로 해방아문(海防衙門)을 설치하여 처음에는...관련어수원진(水原鎭), 연해총제사(沿海總制使), 총융청(摠戎廳)
고서·고문서(11)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783 B01678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9月 1日_006 ○柳芝榮, 以議政府言啓曰, 傳曰, 海防衙門乃畿輔西沿要衝, 而江華府亦在其管轄中矣。 海防摠管兼帶江華留守, 諸般節制之存革增減, 令廟堂爛商稟處事, 命下矣。 海防衙門之建置, 旣有攸重, 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780 B01678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8月 27日_023 ○傳于金文鉉曰, 海防衙門, 乃畿輔西沿要衝, 而江華府亦在其管轄中矣。 海防摠管兼帶江華留守, 諸般節制之存革增減, 令廟堂爛商稟處。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083 B01708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二十一年(1878) 八月 고종실록_12108027_005 ○敎曰: “海防衙門乃畿輔西沿要衝, 而江華府, 亦在其管轄中矣。 海防總管兼帶江華留守, 諸般節制之存革增減, 令廟堂爛商稟處。”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德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276 B050276 덕포 德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21年 閏5月 3日_025 ○又以議政府言啓曰, 統禦使減下後, 畿沿水軍, 已屬海防衙門矣。 海西·湖西水軍, 使之一體節制, 德積·德浦·注文·靈興·長峯殿最, 令畿營句管。 南陽·長峰·仁川牧場, 旣自太僕覆啓, 劃付於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부도(大阜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534 B041534 대부도 大阜島 도서 경기도 承政院日記 高宗 22年 1月 15日_035 ○又以畿沿海防衙門言啓曰, 大阜島, 本爲水師設鎭, 而劃付本衙門矣。 謹依事目, 以本衙門軍司馬趙存億, 海防水師別將兼本鎭僉使差下, 令該曹下批,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해방아문 / 海防衙門 [역사/근대사]
구한말 경기, 황해, 충청도의 수군을 통할하기 위해 설치된 군영. 해방영(海防營)이라고도 한다. 1883년 12월 고종이 경기도 연해 지방 해방병포의 훈련을 통할시킬 목적으로 독판통상사무아문 민영목을 기연해방사무로 임명한 데서 비롯되어, 1884년 1월 부평부(富平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