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해동야언” 에 대한 검색결과 1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3)

사전(1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동야승해제」(金斗宗, 『국역대동야승』2, 민족문화추진회, 1971) 조선시대 허봉이 조선 전기의 여...
  • 어숙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촬요』 외의 저서로는 『패관잡기(稗官雜記)』 6권이 있는데, 『대동야승(大東野乘)』과 『()』에 수록돼 그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중종실록(中宗實錄)』 『패관잡기(稗官雜記)』 ...
    이칭별칭 야족당(也足堂)|예미(曳尾)
  • 허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들의 논리를 배척하고 있다. [저서] 저서로 『하곡집』‧『하곡수어 荷谷粹語』가 있다. 특히 시인으로 유명하였는데, 그의 시는 깨끗하고 산뜻하면서도 정숙하고 아름답다는 평을 들었다. 편서로 『()』‧『이산잡술(伊山雜述)』 등이 있다....
    이칭별칭 미숙(美叔)| 하곡(荷谷)
  • TD_I1_S_0009 鄭一蠧 경서·경학 窮極, 體用, 源同分殊, 善惡, 性同氣異, 儒釋, 道同迹異, 空寂, 無倫, 吾儒, 性命之學, 寃死, 士禍, 憤鬱, 容議, 茹葷, 牛馬肉, 學舍, 參禪 智異山 玉洞 五經, S_11_01_64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원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이미 죽었으나 한 도(道)의 주장(主將)으로서 먼저 항복을 하였다는 죄목으로 가산을 적몰(籍沒)하였다. 『명종실록(明宗實錄)』 『()』

고서·고문서(2)

  • 人事門5_鄭一蠹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鄭一蠹 家兄玉洞先生嘗謂余曰: “鄭一蠹入智異山, 三年不出, 窮極五經, 知體用之源同分殊, 知善惡之性同氣異, 知儒釋之道同迹異.” 其說極可疑. 以空寂無倫之說, 比之於吾儒性命之學, 而謂之“道同”, 可乎? 余考《》, 果然. 只是冤死於士禍, 人心憤鬱激發, 竝與其生平而無敢容...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九]聖賢門_鄭一蠹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吾儒性命之學, 而謂之“道同”, 可乎 乎: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없다. ? 余考《 言: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語’로 되어 있다.》, 果然. 只是冤死於士禍, 人心憤鬱激發, 竝 竝: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3)

  • / [언론·출판]

    저자 허봉(1551-1588). 필사본. 5권 2책. 각 책의 표제는 ' 건', ' 곤'이라고 쓰여 있다. 각각 66면 33장, 132면 6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 본래 태조기부터 명종기까지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민본은 태조기부터

  • 허봉 / 許篈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588(선조 21).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엽이다. 난설헌의 오빠이자 균의 형이다. 유희춘의 문인이다. 1572년(선조 5)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리, 창원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하곡집』·『하곡수어』가 있다. 편서로『』·『

  • 대동야승 / 大東野乘 [문학/구비문학]

    조선 성종 때 학자인 성현(成俔)의 『용재총화』로 시작하여 인조 때의 김시양(金時讓)의 『부계기문』으로 끝맺고 있는데, 이는 대략 250년간에 걸쳐 배출된 유가(儒家)의 작품을 저술시대순으로 선별하여 배열한 야사의 일종이다. 각 편을 살피면 『용재총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