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동속소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6)
- 해동속소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4년(고종 21) 박재형(朴在馨)이 아동의 윤리교육을 위하여 지은 책. [내용] 6권 2책. 목판본. 1912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간행하였다. 필사본도 전해지고 있는데, 책명이 『해동속소학』으로 되어 있다. 고려 이...
- 해동속소학판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4년(고종 21) 박재형(朴在馨)이 지은 ≪해동속소학≫의 판목.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 박재형은 실학파 인물로, 재래의 우리나라 자녀교육에 ≪자양소학 紫陽小學≫이 중심이 되고 있는 점을 비판하고 자주적 입장에서연계항목해동속소학판목(海東續小學板木)
- 박재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子)ㆍ절부(節婦)ㆍ의사(義士) 들의 사행(事行)으로서 세상에 모범이 될만한 것들을 수집하여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6권을 편찬하였다. 선대의 유문(遺文)이나 필찰(筆札), 사우(師友)들의 수필(手筆) 등을 편집하여 14권으로 만들고, 『척독유편(尺牘類編)』이...이칭별칭 백옹(伯翁)| 진계(進溪)
- 해동소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동소학해제」(김종권, 『해동소학』, 한국자유교육협회, 1976) 「해동속소학해제(海東續小學解題)」(최남선, 『해동속소학』, 조선광문회, 1912) 해동소학 ...
- 청도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화양읍 동상리의 청도 동헌 (淸道 東軒,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3호) 등이 있다. 이 밖에 금천면 신지리에 배자예부운략판본(排字禮部韻略板本, 보물 제917호)‧해동속소학판본(海東續小學板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1...
고서·고문서(17)
-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야, 漸次向上而飛어늘. 觀此鳥하고, 竊思其理호대, 而不能得이라. 是以로 每致遲滯하야, 蔬不盈筐也니이다. 蓋其鳥는 俗名에 從從[從從(종종) 종달새를 이름]이니. 鳥之當春에, 地氣ㅣ 上昇이라. 隨其氣所至하야, 高下而飛焉하나니. 花潭窮理之功이 奇哉ᅟᅵᆫ저. (海東續小學「善行...서명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三三 花潭窮理
-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書에 이르다, 領議政을 贈하고 文純이라 謚하다, 뒤에 文廟에 從祀하다]退溪先生與子書에 曰, 勤苦讀書하라. 今不勤苦做業하면, 隙駟[隙駟(극사) 歲月이 빠름이 작은 틈으로 駟馬의 지나감을 보는듯하다는 뜻]光陰이 一去難追리니. 千萬刻念하야, 毋忽毋忽이어다.[海東續小學「立志」...서명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八 勤苦
-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與其妻鄭氏,訣曰吾之此行,必不能返,奈祖父神主,何.鄭氏,曰當以死自保.趙公,果見殺,籍沒其家,鄭氏,無所歸.其父,欲率還其家,鄭氏,涕泣曰亡人,托我以祖父神主,妾,許之以死,豈以中負,遂抱神主,詣其家,盡誠奉祭,朝夕哭泣,以終三年.事聞于朝,旌其閭[海東續小學]서명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一七 趙之瑞妻鄭氏
-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皆大驚,馳往宿所,謝其罪.[海東續小學]서명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자료명四七 潤德儉素
주제어사전(1)
-
해동속소학 / 海東續小學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박재성(朴在聲) 찬, 신연활자본, 조선광문회, 1912, 6권 1책. 구성은 소학도, 인용서책목록, 권1-6이다. 박재성이 1884년(고종 21)에 편찬한 아동윤리교육서인《해동소학(海東小學)》을 조선광문회에서 서(序), 발(跋)을 산삭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