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동가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55)
-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주씨본은 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일석본과 주씨본...
- 해동가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영조 때 김수장(金壽長, 1690-?)이 편찬한 가집(歌集).정의조선 영조 때 김수장(金壽長, 1690-?)이 편찬한 가집(歌集).[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Haedong gayo | MR표기Haedong ka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세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가객(歌客). [내용] 자는 자원(子元). 『해동가요(海東歌謠)』고금창가제씨조(古今唱歌諸氏條)에 허정(許珽)‧장현(張炫)‧탁주한(卓柱漢)‧박대길(朴大吉)‧김유기(金裕器)‧박후웅(朴厚雄)‧김수장(金壽長)‧김천택(...이칭별칭 자원(子元)
- 김진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증보한 『해동가요』의 부록인 『청구가요(靑丘歌謠)』에 김수장(金壽長)이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군헌의 작품은 뜻이 뛰어나고 향운(響韻)이 매우 맑아 시속에 물들지 않았다. 지형이 험한 무협(巫峽)처럼 쓸쓸함과 울창함이 있고, 기이한 말과 아름다...이칭별칭 군헌(君獻)
- 김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3대 시조집의 하나인 『해동가요 海東歌謠』를 편찬했다는 점이다. 즉, 김천택의 『청구영언(靑丘永言)』과 제2차 청구영언이라 할 『해동가요록(海東歌謠錄)』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1755년(영조 31)에 을해본(일명 박씨본)을 처음 만들었으며 1763년(...이칭별칭 자평(子平)| 십주(十洲), 노가재(老歌齋)
고서·고문서(8)
- 해동가요(海東歌謠)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가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해동가요(海東歌謠)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해동가요(海東歌謠)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문제풀이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고국, 건축초복공사, 정답, 거중기, 철갑선, 장군, 해동가요, 가곡원류, 사주, 력사, 평안남도, 용강군, 비석, 서울시, 종로2가, 공원, 탑골공원, 다보탑대표표제어문제풀이 | 성씨양
- 민족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흥미, 슬기로운, 민족, 찬란, 문화, 그심청전, 춘향전, 흥부전, 훌륭, 작품, 찬란, 빛발, 세계, 명작, 목마른, 사람, 물, 명작, 고전소설, 다행, 소설, 재판, 귀중, 정신, 량식, 갈증, 기아, 출토, 제한, 귀중, 시, 청구영언, 시집, 해동가요, 고금가...대표표제어민족 | 성씨김
신문·잡지(3)
- 조선어문학회보_1932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고도서해제 (3)-청구영언편자와 해동가요편찬년대에 대한 재고 조윤제 15 ᄀᄂᄃ의 칭호 방종현 17 윳송 (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조선어문학회보_1932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고도서해제 (2)-해동가요 도남 17 술과 문학자 ᄀᄌᄎ 19 조선어문연구서가 (2) 의당 2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문교조선_193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母から聞いた話-鄕土の民俗 秋葉隆 23 海東歌謠を讀む 多田正知 30 體育に對する觀念の變遷 竹內一 4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주제어사전(25)
-
해동가요 / 海東歌謠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김수장이 편찬한 가집.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박씨본·일석본·주씨본·U.C본 등 4종이 있다. 풍부한 작품의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해동가요록 / 海東歌謠錄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시조작가 김천택(金天澤)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집으로 『해동가요』(박씨본)의 저본이 된 가집. 1728년(영조 4) 3대 가집 중의 하나인『청구영언』을 편찬한 남파(南坡) 김천택(金天澤, ?~?)이 1746년(영조 22)에『해동가요록』을 편찬한 것으로
-
자규삼첩 / 子規三疊 [문학/고전시가]
1732년경에 이유(李渘, 1675∼1753)가 지은 시조. 3대 시조집인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에 실려 전한다. 총 3장의 연시조인데 작자가 장릉 참봉이던 57세 때, 영월 땅을 지나면서 불행했던 단종을 생각하고 지었다. 『해동가요』의 관련 기록을 보면,
-
청구가요 / 靑邱歌謠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가인 김수장의 『해동가요』 권말에 부록으로 수록된 가집. 『해동가요』 권말에 부록되어 있으며, 모두 80수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 체재는 작품 다음에 작가명, 동일 작가의 작품이 끝나면 김수장의 발(跋)이 있고, 이름이 전하는 작가 9인의 작품 76수와 이
-
홍장 / 紅粧 [문학/한문학]
교주해동가요(校注海東歌謠)』 등에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