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해녀” 에 대한 검색결과 1,1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9)

사전(8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바닷가 물 속에 들어가서 해조류와 패류를 캐는 여인. [내용] 잠녀(潛女)‧잠수(潛嫂)라고도 한다. 들은 특별한 장치가 없는 나잠어법(裸潛漁法)으로 제1종 공동어장인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전복‧미역‧톳‧우뭇가사리 등...
  • 노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주도의 어업노동요. [내용]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호. 노동은 제주도 전 해안가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보면 동쪽지역에서 이 노동이 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까지 이 민요는 구좌, 성산 등을 중심으로 한
    이칭별칭해녀 노젓는 소리 | 연계항목해녀노래(海女노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 는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분포되는데,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내용]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어서 대부분의 마을이 바닷가를 빙 둘러가면서 형성되었으며, 그 해안마을에...
  • 제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배선달이 양반티를 내며 반말을 하자,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무슨 반말이냐며 핀잔을 준다. 자세를 고친 배선달이 공손하게 서울로 가는 배를 물어오자, 친절하게 대답해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뱃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주도 민요의 하나로 들이 배를 저어 바다에 나가고 들며 부름. <잠녀노래>라고도 한다. 8분의 12박자 느린자진모리장단에 맞는다. 반장단을 메기고 반장단을 받게 되며 두 사람 이상이 부르게 되어 있는데, 다른 민요와 달리 메기는 소리는 받는 소리가 나올

논문(1)

  • 고령 제주 의 행동성 체온조절과 내한내열성의 변화: 설문조사와 국소내한성 평가를 바탕으로 [제주 해녀, 그 삶의 환경생리학적 보고 | 서울대학교]
    저자 : 이효현, 이주영(서울대학교) | 게재정보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36권, 게재일 : 2015.0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rmal adaptive properties for the elderly haenyeos by a questionnaire and a local cold tol...
    유형논문

고서·고문서(934)

  • 大邱(대구) 間諜(간첩)사건 "세被人(피해여인) 친했었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大邱(대구) 間諜(간첩)사건 "세被人(피해여인) 친했었다"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대표표제어大邱(대구) 間諜(간첩)사건 "세被害女人(피해여인) 친했었다"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간첩, 살해
  • 14 第十四統統首李孝鎰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7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五城南里 14 第十四統統首李孝鎰 第一戶 業武鰥夫李孝鎰年伍拾柒甲戌本蔚山父三得祖致弘曾祖斤石外祖김 正石本김年貳拾辛亥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 寡裵姓年陸拾貳己巳本김海父作之祖乙男二祖不知女年拾柒...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五城南里
  • 8 第八統統首李通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유포면(柳浦面) 1810년 유포면(柳浦面) 第十四堂祀里 8 第八統統首李通守 第一戶 驛人李通守年肆拾參戊子本慶州父以福祖貴石曾祖德弘外祖 李元岳本慶州妻金召史年肆拾參戊子本金海父自隱老未祖奉伊曾祖 戒介外祖金完善本金年拾玖壬子女年拾陸乙卯女年柒甲子等丁卯...
    연도_면이름1810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四堂祀里
  • 4 第四統統首金哲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청양면(靑良面) 1810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上亭子里 4 第四統統首金哲元 第一戶 鎭撫金哲元年伍拾柒甲戌本金海父秋成祖正札曾祖永伯外祖不知妻吳召 史年伍拾柒甲戌本海州父應太祖己用曾祖尙點外祖李善元本蔚山女年捌癸 年陸乙丑等丁卯戶口相準 第二戶 束伍軍...
    연도_면이름181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上亭子里
  • 2 第二統統首李八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김之會本김年拾庚子等丙午戶口相准 第三戶 瓮器匠鰥夫김聖得年肆拾捌壬戌本김海父光日祖明達曾祖善益外祖 李得新本慶州女年拾庚子等丙午戶口相准 第四戶 瓮器匠鰥夫崔得明年肆拾伍乙丑本慶州父宗得祖遠奉曾祖善仁外祖김 成振本김召史年參拾庚辰等丙午戶口相准 第五戶 瓮器匠鰥夫李春得年伍拾捌...
    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九店里里

구술자료(56)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영부씨는 마라도의 할망당 전선을 해녀 노래의 사설로 불렀다. 작년에도 김 <page id="1029"></page> 영부씨는 진시황의 불로초 전설과 함께 마라도의 할망당의 유래를 해녀 노래로 부른 바 있다. (?韓國口碑文學大系?, 濟州道 濟州市篇, 삼도동 민요...
    조사일시1981-08-12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 제보자김영부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윤씨는 바다에서 헤엄치면서 부르는 노래는 불필요하느냐 하면서 해녀 노래를 자청해서 불렀다. 덕수리에는 어장이 없기 때문에 아예 해녀 노래는 수집할 수 없으리라 보았었는데 참 뜻밖이었다. 전에 산방산 기슭 동쪽에 덕수리의 어장이 있었다 하며 윤씨도 어렸을 때 해녀질을...
    조사일시1981-08-11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 제보자윤추월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박순덕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박순덕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이여수

기초학문(19)

  • 서남해 의 어로방식 변화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종오, 게재일 : 2015
    55533 박종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15 서남해 의 어로방식 변화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文化の現代的価値と持続性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1186 한국연구재단 山口大学大学院東アジア研究科 2015 文化の現代的価値と持続性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기름유출사고가 공동체에 미친 사회영향: 태안 구포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균, 게재일 : 2012
    47659 김도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12 기름유출사고가 공동체에 미친 사회영향: 태안 구포리 공동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노 젓는 소리〉의 통시적,공시적 고찰 1 -서부 경남 지역의 본토 출가 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명혜, 게재일 : 2005
    12455 강명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05 〈 노 젓는 소리〉의 통시적,공시적 고찰 1 -서부 경남 지역의 본토 출가 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의 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72206 한국연구재단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의 이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에셔 부로 죠회기를 량산군 원동포 셰무 위원 김샹학이가 월젼에샹 무시찰을 겸엿다가 타인의 무소 되야 그도 관찰 김영덕이가 부로 론보고 착샹 거조지 되엿시니 김샹학을 의당톄 터이나 그 셰무건을 소한 사으로 챠츌슈 업고로 김샹학을 ...
    게재일1901년 7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스 A. 뤼치 저, 김종운 역 112 핵무기관제의 전망 마손 윌리취 저, 노명식 역 137 한국과 일본의 홍석기, 허만란 15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쁘·아·부듸낀 김승관, 박군섭, 정언범, 유, 김휴권, 쓰딸린 평양에 다녀 온 농민 하나가 촌민을 모아놓고 큰 소리로 웨치기를… 『지금 평양 가두에는 쏘련 전차, 포차들이 지나다니며 쏘련 군인들이 많이 왔는데 일본인은 도주하고 경찰들도 보이지 않...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611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九範 29 許允碩 12 罪日記 朴信吾 80 隨想錄 (2) 柳致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0
  • 표지 및 목차 목차 상태가 좋지 않아 이하 항목들은 전부 본문을 보고 입력하였음. 이번 호는 자료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본문으로도 판독불가하거나 난해한 부분이 많음. 올름은엇더케지낼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

  • 의 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의 꿈 의 꿈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오수용, 임순기...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오수용, 임순기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4)

  • / [사회/사회구조]

    바닷속에 산소공급 장치 없이 들어가 해조류와 패류 캐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여성. 들은 특별한 장치가 없는 나잠어법(裸潛漁法)으로 제1종 공동어장인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전복·미역·톳·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한다

  • 놀이 / [생활/민속]

    제주도 들의 일상생활을 재현한 놀이. 제주도의 상징이 된 는 숙달 정도에 따라 상군, 중군, 하군로 구분한다. 상군는 물질기술을 오랫동안 익혀 숙달된 사람이다. 들은 농사일과 겸업을 하며, 봄에서 가을 시기에 물질을 한다. 들은 고된 일을

  • 촌 / [사회/촌락]

    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 는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분포되는데,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어서 대부분의 마을이 바닷가를 빙 둘러가면서 형성되었으며, 그 해안마을에는 들이 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정읍 가파도(

  • 신세타령 / [문학/구비문학]

    문이다. 따라서 「신세타령」이라는 민요의 종류는 엄격히 말해서 독립되기 어렵다. 「신세타령」을 부르더라도 맷돌질을 하면서 부르면 「맷돌노래」, 질을 하면서 부르면 「노래」에 속하며 행상해 나가면서 부를 경우면 「행상노래」에 속한다.

  • 구실할망본풀이 / ─本─ [문학/구비문학]

    특이성을 보여 주는 서사무가(敍事巫歌)인 동시에 제주 의 꿈이 담긴 설화로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