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해강난죽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묵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년 서화연구회(書畫硏究會)를 창설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고 이때 그의 호를 딴 ≪해강난죽보 海岡蘭竹譜≫를 발간하기도 하였다. 망국의 한을 품은 채 상해(上海)에서 죽은 민영익은 그의 심경을 기탁한 많은 묵죽과 묵란의 걸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의 대나무는 대작이...
- 판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방초간독 大方草簡牘≫(1921년)‧≪해강난죽보 海岡蘭竹譜≫와 같은 화보류(畫譜類)도 발간되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이 시기에는 시전지(詩箋紙)‧일반 회화‧민화(民畫) 등 판화가 생활 미술로 확산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들 가운데는 많지는 않지만 다색 판화가...
고서·고문서(1)
- 石菊圖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람이다. 본관은 南平, 호는 海岡이다. 侍從院 侍從長,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저서로 《書法眞訣》, 《六體筆論》, 《海岡蘭竹譜》 등이 있고, 예서ㆍ해서ㆍ행서ㆍ초서 등에 능하였을 분만 아니라 墨蘭ㆍ墨竹ㆍ墨牧丹 등 묵화를 잘 그린 근대 서화가이다. 이 작...자료구분서화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해강난죽보 / 海岡蘭竹譜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김규진(金圭鎭) 화, 김춘배(金春培) 각, 목판본(음각), 회동서관, 1916, 2권 2책(상권 31장, 하권 27장). 일제시대 대표 서화가 해강 김규진의 작품에 당대의 인사들이 제문을 붙인 것을 목판에 음각하여 찍은 첩(帖), 상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