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항의신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9)
- 항의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서관에 있다. 隱峰全書 月沙集 增補文獻備考 항의신편 조선 광해군 때 안방준이 편찬한 의병장 조헌의 유문 및 행록을 수록한 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청주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징비록(懲毖錄)』 『난중잡록(亂中雜錄)』 『항의신편(抗義新編)』 『택당사초(澤堂史草)』 「임진란중(壬辰亂中)...
- 옥천후율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항의신편(抗義新篇) 판본 125장, 유림시판(儒林詩板) 10매, 선조가 하사한 조서(詔書) 1장이 보존되어 있었는데, 최근 금산 칠백의총(七百義塚)이 건립되면서 그 곳으로 이관되어 보존되고 있다. 뜰에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목조기와 맞배지붕의 효자각이...연계항목옥천후율당(沃川後栗堂)
- 안방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헌을 가장 숭배, 이들의 호를 한자씩 빌어 자기의 호를 은봉이라 하였다. 인조 초에 동몽교관(童蒙敎官)‧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학문에 전념하면서 정묘‧병자호란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켰다. 조헌을 추모하여 ≪항의신편 抗義...이칭별칭 사언(士彦)| 은봉(隱峰), 우산(牛山)| 문강(文康)
- 은봉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거기에는 ≪기묘록 己卯錄≫‧<혼정편록 混定編錄>‧<항의신편 抗義新編> 등이 들어 있지 않았고 시문에도 누락된 것이 있었다. 이 책은 결국 원집인 ≪우산집≫에다 ≪기묘록≫ 등의 여러 가지 책들을 휘합(彙合)시킨 것이다. 원집 1∼5책은 문집, 6‧7책은 <기...
고서·고문서(9)
- 중봉선생항의신편(重峯先生抗義新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616년 이정구(李廷龜)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16년(광해군8)7월 16일에 이정구가 친구 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아들을 통해『항의신편(抗義新編)』간행본을 전달해준 점에 경의를 표하고, 언제나 한양에 올라올 지를 물은 내용이다. 이는 안방준의 교유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23년 김류(金瑬)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23년(인조1)7월 17일에 김류가 안방준에게 보낸 답장이다. 안방준이 유리걸식하던 조헌(趙憲)의 아들들을 국가에서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김류는 조정에서 힘껏 도모해보겠다고 하고, 아울러 먼 곳까지『항의신편(抗義新編)』을 보내줘 감사하다고 말한 내용이다. 이...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220 B014220 강도 江都 정치행정 輿地圖書 忠淸道 恩津 壇廟 ... 兩家子弟一成一敗爲 殿下子孫萬世之患也見忤時輩終至癈斥判書李榟銘其墓楊應春行懷德縣監號道谷母喪遭壬辰倭亂愾然流涕曰君恩未報 國事至此雖在衰麻義不顧私墨衰從重峯趙憲大捷于淸州至錦山力戰矢盡與趙憲同死見抗義新編 肅...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88 B003988 강도 江都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恩津縣邑誌 恩津縣 祠廟 ... 成一敗為 殿下子孫萬嵗之患也見忤時輩終至廢斥判書李縡銘其墓焉 楊應春 行懐徳縣監號道谷母丧 遭壬辰亂愾然流悌曰 君恩未報 國事至此雖在衰麻義不顧私墨衰従重峯趙憲大捷于淸州至錦山力戦矢盡与趙憲同死見抗義新編...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항의신편 / 抗義新編 [종교·철학/유학]
조선 광해군 때 안방준이 편찬한 의병장 조헌의 유문 및 행록을 수록한 책. 4권 2책. 목판본. 1619년(광해군 11) 판각에 착수, 1621년에 완성하여, 1625년(인조 3)에 발행, 광포하였다. 1773년(영조 49) 처음으로 안방준의 ≪은봉집≫이 나온 뒤,
-
안방준 / 安邦俊 [종교·철학/유학]
1573(선조 6)∼1654(효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중관, 처는 정승복의 딸이다. 중돈에게 입양되었다. 박광전·박종정에게서 수학, 1591년(선조 24) 파산에 가서 성혼의 문인이 되었다. 지평,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편저로 ≪항의신편≫·≪이
-
중봉문집 / 重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였다. 이 초간본의 원형은 봉사·잡저 등 6권, 청절왜·거의병 등에 관한 소장·서격·비문·언행 등을 묶어 엮은 ≪항의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