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항와집”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종구(洪宗九)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4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동철(鄭東轍)의 서문이, 권말에 후손 범우(範禹)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78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유중악(柳重岳)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6년 오완근(吳浣根)이 필사하고 유중악의 방손 유제돈(柳濟敦)이 영인하였다. 권두에 오완근의 서문, 권말에 김용숙(金容肅)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고서·고문서(3)

  • 卷1 詩 淸夜次邵子吟, 夜起口號, 臨湖書院重修落成日構一律謹呈會席求和, 次龍頭亭韻三首, 次族弟箕範 殷標 遊伽倻山韻, 檀君, 箕子, 馬韓, 贈人, 贈繼幻上人, 次是非吟, 德峯, 題周鑑纂要, 丁丑正月望會諸生于虎溪齋舍講大學, 庚辰元朝, 次族叔心眞窩 穆淵 韻, 蘭秀山次木蘭柴韻,...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929년 조병규(趙昺奎)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은 늙고 병이 심해 죽을 날만 기다린다고 근황을 전하였다. 『()』을 간행하려는 일이 이미 오래 되었으나 아직까지 마무리되지 못한 것을 탄식하고, 자신이 쓴 서문(序文)을 부족하지만 상대방이 지적해 준대로 고쳐서 보낸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932년 김황(金榥)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뜻을 전하였다. 『항옹집(恒翁集)』은 송준곤(宋鐫坤)의 문집인 『()』을 가리킨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홍종구의 시문집. 석인본 4권 2책. 1934. 진양정씨 정동철의 서문과 문후손 홍범우의 발문이 있고, 소화 9년 4월 6일 자 발행 간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