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흥차사”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돌아오지 않았다. 태종이 문안을 위하여 차사(差使)를 보냈으나 그때마다 돌아오지 않아, 이때부터 갔다가 소식도 없이 돌아오지 않는 것을 ‘’라 부르게 되었다. 일설에는 태조가 차사를 모두 죽인 것이라 하나, 문헌에는 판승추부사(判承樞府事) 박순(朴淳)의...
  • 회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을 모시고 그의 영달을 축원하였는데, 왕위에 오른 이성계가 이곳으로 무학을 찾아와서 절 이름을 회룡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 일설에는 1403년(태종 3) 태조가 끈질긴 (使)들의 노력에 의하여 노여움을 풀고 귀경한 뒤, 이 절로 무학을 찾아왔으므로 무학...
  • 동국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힌 설화와 활솜씨, 위화도회군과 이성계의 낙마(落馬), 이방원(李芳遠 : 뒤의 太宗)의 정몽주(鄭夢周) 살해, ‘조선’이라는 국호를 짓게 된 경위, 왕씨(王氏 : 고려의 왕족)의 몰해(沒害), 한양정도(漢陽定都), , 숭례문의 현판글씨, 황희(黃喜)에 대한 일화...
  • 함흥본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뜰에는 고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본궁의 건물들을 깊숙이 감싸주고 있다. 특히, 300여 년을 넘은 반송은 희귀한 천연기념물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 함흥본궁과 관련하여 ‘(使)’라는 말이 있는데, 1398년(태조 7) 권좌를 둘째 아들[定宗]에게 물려주...
  • 함흥본궁(咸興本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흥본궁 함흥본궁 咸興本宮 기은(祈恩), 영흥본궁(永興本宮), 음사(淫祀), (使) 왕실왕실건축 건축 대한민국 조선~대한제국기 이욱 함경도 영흥 [정의] 함...
    관련어기은(祈恩), 영흥본궁(永興本宮), 음사(淫祀), 함흥차사(咸興差使)

고서·고문서(4)

  • 맏고, 깊은감명, 고국, 가까워, 느낌, 강하게, 80년초, 귀방송, 애청, 고국의발전상, 알게되였고, 그당시, 중국, 보도되지않고있던, 많은사실들, 알게, 통하여, 중국매스컴, 회피, 사건, 실상, 알게, 대한민국, 편지, 되돌아오군, 종무소식,
    대표표제어선생님들 | 성씨
  • 은, 정, 찾는사람, 이름, 형님, 리씨, 65세, 갈라질때, 중국, 1947년, 고향, 맏형, 경성, 무사히, 당도, 소식, 학업, 신고, 인편, 형수님, 남편찾아, , 종무식, 가정, 자손, 동생, 심신, 몸편히, 다녀오소, 가을, 기별, KBS방송국, 인편...
    대표표제어금년 | 성씨
  • 씨, 앞, 안녕, 귀방송국, 보내준, 편지, 받아, 우리리산가족, 찾아주기, 노력, 열정, 천신만마, 성의, 찾아준, 은혜, 일생, 영원히, 잊지못하겠습니다, 감사, 수고, 오매, 말, 수차, 1년, 2년, 3년, 몇년, 기다리고, 격, 받는순간, 한입, 다표현...
    대표표제어서울시 | 성씨
  • 나종되니 태종대왕 그분이라용산앞에 피비린내 정종대왕 싫어하사개경으로 옮기신후 동생에게 선위헷네태종대왕 즉의하사 하양으로 다시옮겨용상위에 안았으나 무리하개 얻은왕의절차마다 문안하고 보내면은태조대왕 화가나서 가는차사 다죽이메 불여지는 신하까지 불행사요대궐안...
    가사유형영사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4)

  • 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의 귀신의 한을 풀어준 원님 이야기를 하는 도중에 '함흥차사'라는 말이 나왔는데, 그것을 기억해둔 제보자가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 었다. 제보자가 아는 역사 이야기는 대부분 책에서 본 것이라고 하며, 함흥차사 이야기 역시 책에서 본 것이라고 한다.
    조사일시2011. 1. 24(월)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1224-1번지 보성식당 | 제보자최은남
  • 란 말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바로 이어 다음을 이야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3. 7(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 189-1번지 박희목 자택 | 제보자박희목
  • 이성계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 이어 바로 구연했다.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리 167-3번지 향수다방 | 제보자강진구
  • 로 간 이거이[[李居易]]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들이 진천읍 상계리 상목마을 상목노인정에 도착하였다. 상목노인정 앞에 있던 제보자 이상협을 만나 조사취지를 설명하였다. 제보자 이상협은 우선 노인정으로 들어가도록 권하였다. 노인정으로 들어가자 할머니들 몇 분이 화투를 하고 있었다. 조사자들을 소개만 시키고 ...
    조사일시2011.01.08(토) | 조사장소충청북도 진천군 상계길122 | 제보자이상협

신문·잡지(4)

주제어사전(1)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다시 함흥으로 간 뒤 돌아오지 않았다. 태종이 문안을 위하여 차사(差使)를 보냈으나 그 때마다 돌아오지 않아, 이 때부터 갔다가 소식도 없이 돌아오지 않는 것을 ‘’라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