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흥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2년(철종 13) 10월 24일 함경도 함흥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농민들은 이면용(李冕用)의 수창(首倡)으로 봉기하여 이서(吏胥)의 집을 습격하여 불태우고, 이속(吏屬)을 때려눕혔으며, 감옥문을 파괴하여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2년(고종 29) 초에 함경도 함흥부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이 난은 감사 이원일(李源逸)과 중군 유정(劉貞)의 불법장오(不法贓汚)로 인하여 발생하였는데, 전 정언 주욱환(朱昱煥)이 주동이 되었다. 조정에서 파견한 안핵사 ...
  • 이종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 1859년 우참찬‧이조판서를 지냈다. 1860년 판의금부사, 이어 병조판서, 1862년 함경도관찰사로 있다가 으로 파면되었다. 시문과 서화에 뛰어났고, 글씨는 독특한 필체를 이루어 세칭 석농체라 한다. 그의 행서나 초서는 신위(申緯)와 김정희(金正喜...
    이칭별칭 대여(大汝)| 석농(石農)| 문헌(文憲)
  • 함주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 인구 5만9159명(남자 3만3956명, 여자 2만5203명)이고, 전결은 한전(旱田)이 5,913결 50부 8속, 수전이 1,295결 95부 2속이었다. 부치(府治)는 주남사에 있었다. 1862년(철종 13)에는 이 일어났는데, 이는 앞서 일어난...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92년 초에 함경도 함흥부에서 일어난 민란. 이 난은 감사 이원일과 중군 유정의 불법장오(不法贓汚)로 인하여 발생하였는데, 전 정언 주욱환이 주동이 되었다. 조정에서 파견한 안핵사 이건창의 보고에 의하면, 주욱환은 조사(朝士)를 지휘하여 중군 유정을 축출하려 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