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흥냉면”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발되어 있다. 도 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감자녹말을 주원료로 하여 매우 질긴 국수를 만들고, 함흥지방 바닷가에서 잡히는 신선한 가자미로 회를 떠서 양념하여 얹어 먹는다. 맵게 양념하여 비벼 먹는 냉면으로 평안도의 메밀 물냉면과 대조된다.
  • 냉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꿩이나 닭고기를 고아 만든 국물, 또는 시원하게 익은 배추김치국물이나 동치미국물, 동치미국물과 육수를 섞어 만든 국물이 쓰인다. 식초‧겨자‧설탕 등은 먹을 때 넣도록 한다. 냉면은 지방마다 특징이 있어 평양냉면‧, 그리고 진주냉면이 유명하다. 평양냉면은...
  • 동사구문사전 : 휘날리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명문고로 이름을 휘날리고 있다. 요즘 이 차가 경차의 대명사로 이름을 휘날리고 있다. 철수는 세계적인 스타로 명성을 휘날렸다. 평양냉면과 은 지금까지도 그 명성을 휘날리고 있다. 나는 그가 크면 대단한 사업가로 전국에 그 명...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러나 이 지방을 대표하는 에는 고춧가루양념이 애용되어 ‘다대기’라는 말이 이곳에서 나왔을 정도이다. ‧가자미식해‧강냉이밥‧북어찜‧섭죽‧되비지찌개‧순대‧가랍떡 등이 대표적인 향토식이다. [현황과 전망] 오늘날 우리 음식은 거주지의 변화...
  • 향토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있다. 음식의 간은 짜지 않고 담백하나 마늘‧고추 등 양념을 강하게 쓴다. 은 생선회를 맵게 비벼먹는다. 이 점이 다른 고장과는 다르다. 다데기라는 말도 이 고장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고춧가루 양념의 별칭이다. 그러나 함경북도로 올라갈수록...

구술자료(2)

  • 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천(博川), 목탄차, 선천(宣川), 박희순(목사), 聖美 주리아, 정만원(鄭萬元), 서성환(徐成煥), 군산, , 채널 A ‘이제 만나러 갑니다’, 중국 단동(丹東), 경희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여주(驪州), 철원(鐵原), 한국전력공사, 노동운동, 영주권
    구술자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교사 남편을 대신해 생계를 책임진 피난살이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일하고 주는 그런 것만 먹어 놨데. [조사자 : 그러면 고향에서 드시던 냉면 맛 기억나세요? ? 뭐 이름이 함흥 냉면이라고, 비빔.] 비빔. 여기서는 비빈 거 좋아하드라. 나는 비빈건 싫어.[조사자 : 원래 함흥에서는 어떻게 먹어요?] 물냉면. 물냉면 빼이 아
    조사지역경남 거제 | 조사일2014년 8월 26일

주제어사전(1)

  • / [생활/식생활]

    녹말가루를 주재료로 한 질긴 국수에 생선회를 얹어 만든 비빔국수. 함경도와 강원도 일대는 질이 좋은 감자가 많이 산출되므로 감자를 소재로 한 향토음식이 여러가지 개발되어 있다. 도 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감자녹말을 주원료로 하여 매우 질긴 국수를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