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함화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34)
- 함화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61) 함화진 1884(고종 21)∼1948. 한말, 일제강점기의 음악인. 국립국악원 소장.이칭별칭 순중(舜重)| 오당(梧堂)|화진(華鎭)
- 장인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8∼1980. 민족항일기와 광복 후에 활약한 거문고의 대가. [내용] 초명은 정봉(丁鳳). 서울 출신. 1922년 이왕직아악부 제2기생으로 입소하여 함화진(咸和鎭)‧이수경(李壽卿)에게서 거문고를 배웠다. 사람됨이 방정하였고, 굳세고...
- 현금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咸和鎭)이 아악부에서 소장하고 있던 악보를 제공하여 새로이 필사, 제작된 악보이다. 이 악보의 편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으나 이왕직아악부시대를 이끌었던 아악사장들의 업적 및 당시의 정황을 미루어볼 때, 기존음악들을 정간보로 옮겨 악보화(樂譜化)...이칭별칭아악부 현금보
- 안덕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석이었고, 명완벽(明完壁)ㆍ김영제(金寗濟)의 두 아악사(雅樂師) 밑에 함화진(咸和鎭)ㆍ이수경(李壽卿)ㆍ최순영(崔淳永) 등 쟁쟁한 우방(右坊)의 중진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제치고 아악수장의 직책을 수행할 정도로 뛰어난 악인이었다. 『한국악기대관』(장사...
- 최정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翠)‧조백조(趙白鳥) 등이 그들이다. 광복 후에는 함화진(咸和鎭)과 함께 대한국악원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민요‧잡가‧입창」(이보형‧한만영, 『문예총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고서·고문서(3)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성의 인사명령 중 이왕직에 관련된 부분이다. 4월 13일에 明完壁을 雅樂師長에, 金寧濟와 咸和鎭을 아악사에, 崔淳永, 李壽卿, 劉儀錫, 姜熙鎭, 朴德鉉, 朴德仁, 高益三, 安德秀를 雅樂手長에 임용하였다. 장신 2015. 11. 30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30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일 참봉 李澤承이 면직되었다. 4월 8일 이왕직 속 劉時爀이 의원면관 하였다. 4월 15일 雅樂師 咸和鎭은 아악사장으로 승진하고, 조선총독부 도경부 李秉浩는 이왕직 전사 장신 2015. 12. 04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喉痺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擣和醋炒以細布裹用繩繫垂入喉中腫處良久引出則惡涎淸水流出愈若惡涎未盡再用【又方】赤芍藥塗蜜含之【又方】大蒜一瓣細嚼含口內若腫滿不能嚼則細硏納口效【又方】桔梗射干薄荷等分○右細末煉蜜丸如龍眼大每一丸以綿裹含化津液下喉卽效 【經驗方】治纏喉風及喉痺牙宣牙癰口瘡 蠶退紙不計多少燒存性煉蜜和丸如鷄頭大含化...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9)
- 普校卒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거토요일에 립보셩학교 찬문야학과에셔 뎨일회 졸업증셔 슈여식을거얏 졸업은 목영 오명근 오완영 리규셩 박슈익 김원진 엄쥬식 황헌성 젼창복 함화진 송우영 졍경윤 신창휴 홍죵대 송우식 박희용 뎡규봉 박명환씨등 십팔인이오 진급은 리규영 최승칠 김익슈씨등 이십인...게재일1906년 7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_1937_26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村山智順 119 朝鮮の祭樂 咸和鎭 132 仁川の港祭 仁川府 148 獨佛西より內地朝鮮滿洲を見る...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춘추_1941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악기이야기 함화진 200 광고1 광고파일은 숫자를 먼저 표기해주고 P표시를 뒤에 해야할 듯. 그래야 다른 호들처럼 페이지가 중간에 들어갈 수 있을듯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 춘추_194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가무이야기 함화진 120 허약결핵체질개선에 필수한 비타민AD의 효과와 섭취 OPQ 126 집 이용악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2
- 춘추_1941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악기이야기 4 함화진 111 광고7 113 광고8 117 광고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주제어사전(2)
-
함화진 / 咸和鎭 [예술·체육/국악]
1884-1948년. 한말·일제강점기의 음악인. 원명은 화진(華鎭). 자는 순중(舜重), 호는 오당(梧堂). 본관은 양근(楊根). 뛰어난 이론가이며 전공은 거문고였으나 가야금에도 출중하였다. 세습적인 악사집안으로 증조부 윤옥(潤玉)은 순조·헌종 때의 악사, 할아버지
-
최경식 / 崔景植 [예술·체육/국악]
잡가 등을 정확하고 원숙한 창법으로 불러 대가를 이루었다. 서울의 남녀 소리선생은 거의 그로부터 시조나 가사·잡가를 배웠다고 할 정도로 많은 제자들을 두었고, 사례를 받지 않고 가르친 것으로 유명하다. 광복 후에는 함화진(咸和鎭)·박헌봉(朴憲鳳) 등과 대한국악원을 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