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세덕”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현대 희곡사(유민영, 기린원, 1990) 1915∼1950. 극작가.
  • 무의도기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지은 희곡. [내용] ()이 지은 희곡. 1941년 4월 월간 ≪인문평론≫에 발표되었다. 은 유치진(柳致眞)의 제자로서 1935년부터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1950년 6‧25전쟁 중 사망할 때까지 15년
  • 주영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도 하였다. 현대극장의 창립공연인 유치진의 「흑룡강(黑龍江)」(1941)을 연출하였으며, 그 외에도 ()의 「추석(秋夕)」(1941), 유치진의 「북진대(北進隊)」(1942)를 연출하는 등 현대극장의 중심 연출가로 활동하였다. 주영섭은 연극 외에도...
  • 소극장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착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유치진(柳致眞)‧() 등 리얼리즘작가들을 배출하는 등 연극계를 혁신시켰지만 이들도 일제의 탄압으로 8년만에 좌초하고 말았다. 다시 이 운동이 재개된 것은 광복을 맞이한 뒤였다. 신협(新協)의 전신인 극예술협회와 박노경(朴魯慶...
  • 조영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 함께 부위원장을 지냈다. 1946년 8월 10일 조선문학가동맹 서울지부가 결성되었을 때 박노갑(朴魯甲)‧허준(許俊)과 함께 부위원장의 직함을 가졌고 당시 가극단, 악극단의 협의체인 조선가극협의회에서도 박시춘(朴是春)‧김동환(金童煥)‧손목인(...
    이칭별칭 명암(鳴巖)

기초학문(3)

  • 인문치료적 관점에서 바라본 식민 상황의 ‘알아차림’ : 의 〈동승〉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67916 한국연구재단 한국드라마학회 2009 인문치료적 관점에서 바라본 식민 상황의 ‘알아차림’ : 의 〈동승〉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석진, 게재일 : 2004
    11374 윤석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4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에밀레종` 전설의 일본어 번역과 식민지시기 희곡의 정치성 -의 희곡 「어밀레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1364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에밀레종` 전설의 일본어 번역과 식민지시기 희곡의 정치성 -의 희곡 「어밀레종」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9)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8383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133면 ; 경기 20회 1934.3.9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연극]

    1915-1950년. 극작가. 전라남도 목포 출생. 인천광역시 강화에서 자라, 서울 선린 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일찍부터 극작가의 꿈을 가지고 충무로의 일한서방(日韓書房)에 취직하여 많은 책을 읽는 한편 유치진(柳致鎭)에게 개인적으로 극작수업을 받았다. 1936년 단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