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석헌” 에 대한 검색결과 1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 등이 있다. 1901-1989. 기독교 문필가, 민중운동가.
  • 유영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탐구하여 나갔다. 1914년 최남선(崔南善)과 교류하며『청춘』지에 「농우(農牛)」ㆍ「오늘」 등을 1918년까지 기고하였다. 1921년 조만식(曺晩植)의 후임으로 오산학교 교장에 부임하여, 1년 재직하는 동안 김교신(金敎臣)ㆍ() 등 제...
    이칭별칭 다석(多夕)
  • 성서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신을 비롯하여 ()ㆍ정상훈(鄭相勳)ㆍ송두용(宋斗用)ㆍ양인성(梁仁性)ㆍ유석동(柳錫東)의 6인이었다. 창간호는 국판 44면으로, 창간사에 이어 이들 6인의 무교회 신앙에 대한 고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논문이 실렸고, 끝부분에 동인들이 나누어 쓴 단상(...
  • 씨알의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70년 4월에 창간된 월간 교양평론잡지. [내용] 원제명은 ‘씨알의 소리’이다. 발행인은 ()이었다. 창간호와 5월호를 낸 뒤 문화공보부로부터 등록취소처분을 받았으나, 대법원의 승소판결을 받아 1971년 9월호부터
  • 계훈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고 5‧16군사정변 후 군사독재와 한일회담을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였고, ()‧장준하(張俊河) 등과 함께 자유언론수호협회를 결성하여 언론의 자유를 위하여 투쟁하였다. 1970년 이 ‘씨의 소리’를 창간하는데 참여하여 1979년 폐간될 때까지...

구술자료(5)

  • 유태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8. 황석영의 미국 체류와 소설 󰡔장길산󰡕의 영화화 시도, 북한 거절 9. 종교 민족 이념문제 10. 동두천 미7사단 군목 복무 경험과 민족 모순 체험, 역사의식 고양 계기 11. 을 통해 종교의 본질 고민 12. 5.16 쿠데타 후 박정희 정권 하 미국유학
    구술자유태영 | 직업재미동포 동부연합회장 | 지역황해도
  • 오인동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한글 연세대학교 의사 AKS_2015_KFR_1230004_084_오인동.pdf pdf 오인동.jpg
    구술자오인동 | 직업의사 | 지역황해도
  • 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신의주(新義州), 용천(龍川), 미션계통학교, 신의주 제일교회, (), 김홍일(金弘壹), 중국 북경(北京), 8.15 해방, 한국전쟁, 중국 천진(天津), LST 미군수송선, 해주(海州), 황해도 토성(土城), 신의주 반공학생사건, 해방촌, 서북청년단, 치과
    구술자김진형, 함태현, 유영희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이계준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동, 송흥국, 안상윤, 안성결, 안상현, 안세희, 양희륭, 원일한, 유성덕, 유형기, 육완순, 윤병상, 은준관, 이극찬, 이기붕, 이상현, 이승규, 이재면, 정재식, 조승혁, 조화순, 주영광, 최인호, 함성국, 한승호, , 홍기주, 조지 오글(George Ogle
    구술자이계준 | 직업목사 | 지역평안도
  • 서광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경렬, 이광수, 이근호, 이기호, 이만열, 이삼열, 이상화, 이승만(목사), 이장식, 이종성, 이태영, 이효재, 이희호, 장준하, 정의숙, 조순영, 조화순, 최성, 최희준, 한경직, 함병춘, 한완상, 한태동, , 현영학, 그레그(Donald P. Gregg), 시
    구술자서광선 | 직업목사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11)

  • 의 문화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재순, 게재일 : 2001
    11605 박재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신학회 2001 의 문화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c6b4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의 간디 사상 수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홍규, 게재일 : 2012
    56597 박홍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석당학술원 2012 의 간디 사상 수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의 위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수, 게재일 : 2005
    07615 김성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의 위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김교신, 그리고 우찌무라 간죠(內村鑑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현혜, 게재일 : 2006
    07618 양현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회사학회 2006 김교신, 그리고 우찌무라 간죠(內村鑑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의 모성성의 주춧돌 위에 세워진 씨알, 생명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1561 한국연구재단 한국종교학회 2008 의 모성성의 주춧돌 위에 세워진 씨알, 생명 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35)

  • 동아 인터뷰 민주화물결 누구도 거스르지 못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6) 민주화 투쟁, 계엄철폐, 정치일정 완결요구 동아 인터뷰 민주화물결 누구도 거스르지 못해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4월 15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6 은 이 인터뷰에서 정치인들의 국가관이 낡았음...
    대표표제어동아 인터뷰 민주화물결 누구도 거스르지 못해 함석헌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함석헌, 민주화, 민주화세력
  • 세 번째 국민에게 부르짖는 말: 오늘은 우리에게 무엇을 호소하는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1) 베트남파병 세 번째 국민에게 부르짖는 말: 오늘은 우리에게 무엇을 호소하는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5년 5월 사상계(pp.28-39) 평론 12 이 글은 이 기존의 정부와 외세를 비판하며 국민들이 끝까지
    대표표제어세 번째 국민에게 부르짖는 말: 오늘은 우리에게 무엇을 호소하는가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함석헌 | 출처사상계(pp.28-39) | 키워드함석헌, 월남파병, 미국 정책, 한일회담
  • 표지 및 목차 인간의 본연성 3 의 역사이해 소고 김경재 13 푸로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 수난의 여왕께 드리는 유언․예언(遺言·豫言): 잠시 고국을 떠나면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4) 정치활동정화와 정치풍토쇄신 수난의 여왕께 드리는 유언․예언(遺言·豫言): 잠시 고국을 떠나면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2년 3월 사상계 105호(pp.40-43) 평론 4 이 글은 이 1962년 2월 10일
    대표표제어수난의 여왕께 드리는 유언․예언(遺言·豫言): 잠시 고국을 떠나면서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함석헌 | 출처사상계 105호(pp.40-43) | 키워드함석헌, 미국 국무성, 민정이양, 군부세력, 정치적 망명자
  •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32) 필화사건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58년 8월 『사상계』61호(pp.25-35) 평론 11 체제의 부인 및 대한민국의 폄하, 그리고 비상시국 하에서의 사회적 질서를 동요시킨 혐의로 사상계 발...
    대표표제어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함석헌 | 출처『사상계』61호(pp.25-35) | 키워드국가보안법, 참 해방, 통일정신, 독립정신, 신앙정신, 회개

멀티미디어(81)

  •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_10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김선희 외 9명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_10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김선희 외 9명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_10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김선희 외 9명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_10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김선희 외 9명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호_ 유영모와 _10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김선희 외 9명 사상으로서의 영성_ 안창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

    현대의 문필가·민중운동가(1901∼1989). 1927년 동인지 《성서조선》 창간에 참여하였다. 1956년 이후에 계간지 《사상계》를 통하여 정치적·사회적 문제들을 비판하였다. 저서로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인간혁명》·《뜻으로 본 한국역사》 등이 있다.

  • 성서조선 / 聖書朝鮮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김교신, ,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

  • 최태용 / 崔泰瑢 [종교·철학/개신교]

    본에 건너가 동경영어학교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무교회주의자인 우치무라(內村鑑三)에게 사사하면서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이때 뜻을 같이한 동지 중에는 《성서조선 聖書朝鮮》의 김교신(金敎臣)·() 등이 있었다. 1923년 관동대지진사건이 일어나자 《일본에 보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