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함대훈” 에 대한 검색결과 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6∼1949. 신극운동가, 소설가, 번역문학가.
    이칭별칭 일보(一步)
  • 조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다. 발행인은 방응모(方應謨), 편집인은 ()‧김내성(金來成)이다. 이른바 신문 잡지의 하나로 편집과 내용‧부피(초기에 400여 면)에 있어서 『신동아』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던 잡지였으나, 1940년대를 전후하여 일제의 탄압과 강요로 일문(日文)과...
  • 신경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영화감독ㆍ제작자. [내용] 1912∼1982. 경상북도 선산 출신. 대구농림학교를 졸업한 뒤 1932년 일본에 건너가 동경의 신흥키네마에 입사, 영화감독 수업을 하였다. 1936년 귀국하여 청구영화사가 제작한 () 원작...
  • 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버의 꿈>이 있다. 또 연재소설로 ()의 <빈사(瀕死)의 백조>, 꽁트에 김유정(金裕貞)의 <봄밤>, 안회남(安懷南)의 <봄밤>이 있으며, 수필에 김문집(金文輯)의 <월광곡>, 이태준(李泰俊)의 <달래>가 있다. 그밖에도 ‘내 남편을 말함’이라...
  • 김규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6∼1962. 만화가‧삽화가. [내용] 호는 웅초(熊超).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가와바다미술학교(川端美術學校)를 졸업했다. 1933년 9월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광수(李光洙)의 「유정(有情)」의 삽화를 비롯하여 (...
    이칭별칭 웅초(熊超)

단행본(1)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이해영, 한홍화...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4.04.0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영준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 양상과 그 의미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중국, 일본 이미지와 전망 모색 강경애의 만주 인식과 사회주의 이념 만주 여행과 모순된 욕망의 문학적 재현 : 의 장편소설 《북풍의 정

기초학문(2)

  • 소설에 나타난 연애서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7
    68173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17 소설에 나타난 연애서사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일제강점기 신문 연재소설의 이중 검열 양상- 장편소설 〈폭풍전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한별, 게재일 : 2016
    55546 문한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16 일제강점기 신문 연재소설의 이중 검열 양상- 장편소설 〈폭풍전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46)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874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昭和4年度 1929―12―10 129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881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昭和5年度 1930―12―20 134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888 일본 東京 東京外國語學校 東京外國語學校一覽 昭和6年度 1931―12―20 349면 ; 조선 제32회 1931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문학/현대문학]

    1906-1949년. 신극운동가·소설가·번역문학가. 호는 일보(一步). 황해도 송화 출생.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금융곡물무역에 근무하였다. 그뒤 일본대학 경제과에 입학한 후 1931년 동경외국어학교 노어과(露語科)를 졸업하고 해외문학파 동인으로서 문단에 등장하였다

  • 순정해협 / 純情海峽 [예술·체육/영화]

    의 원작을 영화화한 애정물. 각색과 감독은 심경균이 맡았고, 이 작품으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순정미담을 그린 애정영화로 당시의 암담했던 사회에 맑은 물처럼 보여졌다. 1937년 청구영화사에서 제작하였다.

  • 실험무대 / 實驗舞臺 [예술·체육/연극]

    극론, 배우론 등의 강의 및 실제 훈련을 받고 수료와 동시에 11월 8일 전속극단을 조직했다. 1932년 5월 4일부터 3일간 조선극장에서 고골리의 <검찰관>을 역, 홍해성 연출로 상연했다. 그후 제3회 공연부터는 극예술연구회 이름으로 상연하였다.

  • 현대극장 / 現代劇場 [예술·체육/연극]

    1941년 3월 16일 국민연극의 이론수립과 그 실천을 표방하고 조직된 극단. 유치진을 대표로 , 서항석, 주영섭 등이 참여했다. 우수한 연국인의 육성과 그 정신의 함양을 꾀하여 부설 국민연극엱구소를 설치하였으며, 일제의 끈질긴 강요에 못이겨 설립 후 광복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