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함경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89)
사전(2,301)
- 함경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宗瑞)에게 명하여 육진을 설치하였다. 1470년(성종 1)에 함흥을 강등하고 본영을 영흥으로 옮겨 영안도(永安道)로 고쳤다가 1509년(중종 4)에 함흥부 및 관찰영을 복구하고 함경도로 개칭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23부제로 개편되면서 함흥부ㆍ갑산부ㆍ경성부 등...이칭별칭관북지방
- 咸鏡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J_0019 咸鏡道 지방 擊逐, 豐沛之鄕, 拓地, 規模, 布置, 控禦, 國家威靈 太祖 高句麗, 東北面, 咸州, 女眞, 元, 我朝, 豆滿江, 六鎭, 山戎 尹瓘, 世宗 J_02_02_05 지봉유설 2권 2장 5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2권 2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함경도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함경도 부군현(府郡縣)의 지도를 모은 지도첩. [내용] 채색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전체 25장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한지의 전지 크기이다. 제작연대는 삼수부지도에 동치(同治) 11...
- 함경도전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보물 제1583호. 조선시대 비변사(備邊司)에서 행정‧군사적 목적으로 제작한 함경도 지도.정의보물 제1583호. 조선시대 비변사(備邊司)에서 행정‧군사적 목적으로 제작한 함경도 지도.[두산백과] | 문광부표기Hamgyeong-do jeondo | MR표기Hamgyŏng-do chŏn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입거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종 때 함경도‧평안도의 사민업무(徙民業務)를 주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임시관청. [내용] 이 지역에 대한 사민정책은 세종 때부터 실시되었으나 도망자들이 많아 그 쇄환(刷還)과 신규 입거가 큰 문제로 되었다. 그리하여 중종...
고서·고문서(2,001)
- 함경도 지도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8-B1-01-010 함경도 지도 사진 도면 미상 (미입력) 함경도의 영역을 표기한 지도이다. 함경도지도에는 북쪽으로 길게 백두산에서 발원하는 두만강이 펼쳐져 있으며 개마고원에서 발원하는 여러 물줄기들이 동해로 흐른다. 동해쪽으로 녹둔도 등의 몇문서종류사진 도면 | 생산일자미상
- 함경도 여제문(咸鏡道癘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경제자료(함경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기타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咸鏡道아리랑」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020 잡가 40707―A, 40707―B 株式會社日本蓄音器商會 「咸鏡道아리랑」 [2] 山(산)마루 올라서 바라를 보니 아득한 하눌가 힌구름 날고 봉오리∧ 진달레 붉어 마음은 우노라 그리운 故鄕(고향) 아리∧∧아라리오 아리랑 고개고개로 날 넘겨주...구분잡가
- 함경도내시수죄인수도성책(咸鏡道內時囚罪人囚徒成冊)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구술자료(85)
- 함경도 울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눈을 지긋히 감고 고개를 흔들면서 노래의 내용을 음미하며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1. 21(목) | 조사장소부산시 금정구 노포동 작장마을 작장여자경로당 | 제보자강정필
- 함경도 재수굿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함경도 재수굿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29 2537 서울특별시 현장녹음자료 1) 함경도 재수굿의 현장녹음자료이다. 2) 음질 중(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지귀덕
- 함경도 재수굿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함경도 재수굿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29 2537 서울특별시 현장녹음자료 1) 함경도 재수굿의 현장녹음자료이다. 2) 음질 중(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채순
- 함경도 망묵굿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함경도 망묵굿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I-235 2544 함경도 현장녹음자료 1) 함경도 망묵굿 중 왕당천수, 화청, 동갑접기가 녹음되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복순
- 함경도 민속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함경도 민속 조사 咸鏡道 民俗 調査 예술·체육 작품 현대 I-389 3250 강원 현장녹음자료 1) 함경도 민속조사 대담테이프이다 2) 이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미상
기초학문(12)
-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석화, 게재일 : 200534402 강석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005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후기 함경도 內地鎭堡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승희, 게재일 : 200534482 고승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2005 조선후기 함경도 內地鎭堡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일제강점기 함경도의 행정구역 변화와 인구 변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0902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도학회 2014 일제강점기 함경도의 행정구역 변화와 인구 변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9세기 함경도 안변의 향청 작청의 직임과 인사관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경하, 게재일 : 201449271 박경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19세기 함경도 안변의 향청 작청의 직임과 인사관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북한 대기근의 역사적 기원 - 일제시기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0242 한국연구재단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3 북한 대기근의 역사적 기원 - 일제시기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76)
- 함경도 안렴 리남규씨가 함경도 디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도 안렴 리남규씨가 함경도 디경에 들어가셔 슈령방의 장부를 안찰 초두에 덕원부윤 윤치호씨를 봉고 파츌엿다 뎐보가 작일 경부로 왓대 윤씨의 죄목인즉 민과 (셩 랑기를 넘어 과이 일) 이라더라게재일1900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재강원함경도민회보_1954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재강원함경도민회 조직계도 5 통파일 5쪽부터 시작 회칙 6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4
- 함경도에 로 초시못 사은 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도에 로 초시못 사은 비록 원향이라도 항교 교슈[도유]를지못 규례이더니 경쟝이후에 과거가 업스 초시가 어잇스리오 남도각군 유향들이 근일에 관찰부에 호소야 군에 몃사식 바셔 교슈시보를 시겻다가 승차게 규뎡고남도각군에셔 시보로분 사이...게재일1901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함경도 삼슈군 등디에 쳥국 비도 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도 삼슈군 등디에 쳥국 비도 슈명이 횡 촌려 며 셩의 산을 겁탈 며 집을 불질으며 간곳마다 챵궐야 변방이소요니 가히 십상이 두지 못 겟다고 디방관이 보고 엿다더라게재일1900년 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함경도 셩진군을 폐지엿 다 말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도 셩진군을 폐지엿 다 말은 이왕 긔엿 거니와 셩진군과 길쥬군을 모다 폐지고 그 두골을 합야 길셩(吉城) 부라고 고쳣더라게재일1900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
- 16세기 초반 함경도의 봉수(6)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800,000 16세기 초반 함경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100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함경도의 봉수(5)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800,000 16세기 초반 함경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99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함경도의 봉수(4)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500,000 16세기 초반 함경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98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함경도의 봉수(3)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500,000 16세기 초반 함경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97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함경도의 봉수(2)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500,000 16세기 초반 함경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96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8)
- 주창겸;朱昌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882 남한 경성 대한의원부속의학교 대한의원부속의학교일람 1909 15면 1. 제5 졸업생 상황;2) 제2회 졸업생 13인 (1903년 7월 25일) 주창겸;朱昌謙 함경도 영흥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대한의원부속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면수;宋冕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宋冕秀 함경도;동교 기숙사 내학교소재지역상하이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말갈이 사신을 보내 초서피와 건문어를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 발해→당 【번역】 개원26년 윤8월, 발해말갈이 사신을 보내어 초서피(貂鼠皮) 1000장 초서피(貂鼠皮): 담비 가죽을 말한다. 만주일대의 특산물이다.과 건문어(乾文魚) 100구 건문어(乾文魚): 말린 문어를 말한다. 『輿地圖書』에서는 강원도, 함경도,...대표표제어발해말갈이 사신을 보내 초서피와 건문어를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8년(戊寅/신라 효성왕 2/발해 문왕 大興 2/唐 玄宗 開元 26/日本 聖武天皇 天平 10)
- 삼척 요전산성 기본설계(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곳이 지정학적으로 함경도와 경상도 남해안에 이르는 동해안 중간에 위치하여 연안 항해시에는 반듯이 거쳐야 하는 해로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그러면 지금까지 조사한 요전산성의 성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전산성의 명칭: 조선시대에는 오화리산성(吾火里山城), 오화...발행연도2001/12/24 | 발굴기관강원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20. 대한제국의 일본 군대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니다. 만주에서 온 병사들은 전쟁이 끝날 때쯤에야 징집되어 피로에 지쳐있었고, 대(對) 러시아 군사작전에 참가한 적도 없었습니다. 한반도에 상주하기로 되어있는 병력은 2개 사단입니다. 이는 13사단과 15사단으로, 참모들은 평안도와 함경도의 주도(主都)인 평양과 함흥...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1월 05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수신자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2)
-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민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성준 | 한경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
조선시대 文科 試券 複本의 수집 및 정리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문종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171)
-
함경도 / 咸鏡道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통칭하는 지명. 함경이란 함흥과 경성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지명이다. 1470년(성종 1)에 함흥을 강등하고 본영을 영흥으로 옮겨 영안도, 1509년(중종 4)에 함흥부 및 관찰영을 복구하고 함경도로 개칭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23
-
영안도 / 永安道 [지리/자연지리]
격하시켜 2현으로 삼고 도호도 일시 함경도로, 이어서 함흥부도 군으로 격하되면서 감영이 영흥으로 옮겨짐에 따라 도명도 영안도로 개칭되었다.
-
동북방언 / 東北方言 [언어/언어/문자]
방언은 함경도 내의 다른 방언과 약간 다른 특성을 지닌다. 동북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ㅟ, ㅚ, ㅓ, ㅏ, ㅜ ㅗ, ㅡ’의 10모음 체계이나, 중년층의 경우 ‘ㅟ’가 [e]로, ‘ㅚ’가 [i], [wi]로 바뀌어 8모음 체계를 보이기도 한다. 이중모음체계는
-
북병영 / 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의 진영. 1400년(정종 2)에 함경도병마절도영으로 개설되었다가, 1467년(세조 13) 북청(北靑)에 남병영이 설치되면서 북도병마절도영으로 개칭되고 관할구역을 남병영과 분담하게 되었다. 북병영은 조선 초기 6진개척의 보
-
건충대위 / 建忠隊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5품 토관계 위호. 1457년(세조 3) 경관직 관계와 구분하여 제정되었고, 함경도와 평안도의 토착 무인들에게만 수여되었다.